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日 “독도는 일본 땅” 7배 늘려 재개관…외신 취재는 ‘불허’
입력 2020.01.21 (06:25) 수정 2020.01.21 (08:41) 뉴스광장 1부
[앵커]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우기는 상설 전시관을 7배나 더 넓혀 어제(20일), 문을 열었습니다.
여기에 일본 외무상도 독도 망언을 이어갔는데 새해 들어 일본의 역사문제 도발이 심상치 않습니다.
도쿄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영토·주권 전시관'이 2년 만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기존 전시관보다 규모가 7배 더 커졌고, 장소도 지하철 가까운 도심부로 옮겼습니다.
전시관 중앙에 위치한 독도 전시실.
["한국은 국제법을 어기고, 일방적으로 다케시마(독도)를 불법 점거했습니다."]
외국 자료는 거의 없고, 시마네현 어업허가서 같은 아전인수 자료들을 대거 늘어놓았습니다.
[에토 세이이치/일본 영토문제담당상 : "수학여행 학생들의 견학을 촉진하는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중국명 댜오위다오, 즉 센카쿠 열도 관련 자료도 확대 배치했고 특히 러시아와 시비 중인 북방열도 전시실까지 새로 만들었습니다.
일본 내각부는 전시장 내부가 혼잡하다는 이유로 한국 등 외신에 대해선 직접 취재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전시관 관계자 : "전면적으로 (취재가) 금지돼 있습니다. '전례가 없다'고 해도 우리 입장에선 규칙으로 정했기 때문에..."]
때맞춰 일본 외무상도 국회 연설에서 7년째 독도 도발을 이어갔습니다.
[모테기 도시미쓰/일본 외무상 : "다케시마(독도)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국제법상으로도 일본의 고유 영토입니다."]
외교부는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항의와 유감의 뜻을 전하고, 외무상의 발언 철회와 전시관 즉각 폐쇄를 요구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우기는 상설 전시관을 7배나 더 넓혀 어제(20일), 문을 열었습니다.
여기에 일본 외무상도 독도 망언을 이어갔는데 새해 들어 일본의 역사문제 도발이 심상치 않습니다.
도쿄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영토·주권 전시관'이 2년 만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기존 전시관보다 규모가 7배 더 커졌고, 장소도 지하철 가까운 도심부로 옮겼습니다.
전시관 중앙에 위치한 독도 전시실.
["한국은 국제법을 어기고, 일방적으로 다케시마(독도)를 불법 점거했습니다."]
외국 자료는 거의 없고, 시마네현 어업허가서 같은 아전인수 자료들을 대거 늘어놓았습니다.
[에토 세이이치/일본 영토문제담당상 : "수학여행 학생들의 견학을 촉진하는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중국명 댜오위다오, 즉 센카쿠 열도 관련 자료도 확대 배치했고 특히 러시아와 시비 중인 북방열도 전시실까지 새로 만들었습니다.
일본 내각부는 전시장 내부가 혼잡하다는 이유로 한국 등 외신에 대해선 직접 취재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전시관 관계자 : "전면적으로 (취재가) 금지돼 있습니다. '전례가 없다'고 해도 우리 입장에선 규칙으로 정했기 때문에..."]
때맞춰 일본 외무상도 국회 연설에서 7년째 독도 도발을 이어갔습니다.
[모테기 도시미쓰/일본 외무상 : "다케시마(독도)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국제법상으로도 일본의 고유 영토입니다."]
외교부는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항의와 유감의 뜻을 전하고, 외무상의 발언 철회와 전시관 즉각 폐쇄를 요구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日 “독도는 일본 땅” 7배 늘려 재개관…외신 취재는 ‘불허’
-
- 입력 2020-01-21 06:29:32
- 수정2020-01-21 08:41:35

[앵커]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우기는 상설 전시관을 7배나 더 넓혀 어제(20일), 문을 열었습니다.
여기에 일본 외무상도 독도 망언을 이어갔는데 새해 들어 일본의 역사문제 도발이 심상치 않습니다.
도쿄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영토·주권 전시관'이 2년 만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기존 전시관보다 규모가 7배 더 커졌고, 장소도 지하철 가까운 도심부로 옮겼습니다.
전시관 중앙에 위치한 독도 전시실.
["한국은 국제법을 어기고, 일방적으로 다케시마(독도)를 불법 점거했습니다."]
외국 자료는 거의 없고, 시마네현 어업허가서 같은 아전인수 자료들을 대거 늘어놓았습니다.
[에토 세이이치/일본 영토문제담당상 : "수학여행 학생들의 견학을 촉진하는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중국명 댜오위다오, 즉 센카쿠 열도 관련 자료도 확대 배치했고 특히 러시아와 시비 중인 북방열도 전시실까지 새로 만들었습니다.
일본 내각부는 전시장 내부가 혼잡하다는 이유로 한국 등 외신에 대해선 직접 취재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전시관 관계자 : "전면적으로 (취재가) 금지돼 있습니다. '전례가 없다'고 해도 우리 입장에선 규칙으로 정했기 때문에..."]
때맞춰 일본 외무상도 국회 연설에서 7년째 독도 도발을 이어갔습니다.
[모테기 도시미쓰/일본 외무상 : "다케시마(독도)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국제법상으로도 일본의 고유 영토입니다."]
외교부는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항의와 유감의 뜻을 전하고, 외무상의 발언 철회와 전시관 즉각 폐쇄를 요구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이라고 우기는 상설 전시관을 7배나 더 넓혀 어제(20일), 문을 열었습니다.
여기에 일본 외무상도 독도 망언을 이어갔는데 새해 들어 일본의 역사문제 도발이 심상치 않습니다.
도쿄 황현택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영토·주권 전시관'이 2년 만에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기존 전시관보다 규모가 7배 더 커졌고, 장소도 지하철 가까운 도심부로 옮겼습니다.
전시관 중앙에 위치한 독도 전시실.
["한국은 국제법을 어기고, 일방적으로 다케시마(독도)를 불법 점거했습니다."]
외국 자료는 거의 없고, 시마네현 어업허가서 같은 아전인수 자료들을 대거 늘어놓았습니다.
[에토 세이이치/일본 영토문제담당상 : "수학여행 학생들의 견학을 촉진하는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중국명 댜오위다오, 즉 센카쿠 열도 관련 자료도 확대 배치했고 특히 러시아와 시비 중인 북방열도 전시실까지 새로 만들었습니다.
일본 내각부는 전시장 내부가 혼잡하다는 이유로 한국 등 외신에 대해선 직접 취재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전시관 관계자 : "전면적으로 (취재가) 금지돼 있습니다. '전례가 없다'고 해도 우리 입장에선 규칙으로 정했기 때문에..."]
때맞춰 일본 외무상도 국회 연설에서 7년째 독도 도발을 이어갔습니다.
[모테기 도시미쓰/일본 외무상 : "다케시마(독도)는 역사적 사실에 비춰봐도, 국제법상으로도 일본의 고유 영토입니다."]
외교부는 주한 일본대사관 총괄공사를 불러 항의와 유감의 뜻을 전하고, 외무상의 발언 철회와 전시관 즉각 폐쇄를 요구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황현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황현택 기자 news1@kbs.co.kr
황현택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