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공공주택사업’으로 50년 영등포 쪽방촌 정비
입력 2020.01.21 (07:35) 수정 2020.01.21 (08:38) 뉴스광장
[앵커]
1970년대 집창촌과 여인숙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영등포 쪽방촌이 주거 지역으로 새롭게 정비됩니다.
고층 주상복합 건물 4동에 1,200가구가 공급되는데, 개발 과정에 공공주택사업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슬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인 한 명이 눕기에도 비좁고 제대로 먹고 씻기도 어려운 곳, 바로 쪽방촌입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2000년대부터 쪽방촌 정비를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복잡한 지분 관계로 인한 수익성 확보와 주민 재정착 문제 때문입니다.
[김승범/국토부 공공택지기획과장 : "(과거에는)쪽방 주민에 대한 재정착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간에 중단되었고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영등포 쪽방촌에 적용한 것은 도시환경정비법이 아닌 공공주택특별법을 통한 정비입니다.
공공주택법에 맞춰 쪽방촌 정비는 민간이 아니라 LH 등 공공기관이 시행을 맡고, 원주민의 재정착이 보장됩니다.
서울 도심에서 이런 방식의 정비가 이뤄지는 건 처음입니다.
1만제곱미터 면적의 부지에 건물 4동이 들어섭니다.
36층짜리 주상복합 두 동에는 민간 분양 600가구가, 나머지 두 동에는 쪽방 주민을 위한 영구임대 370가구와 행복주택 220가구가 각각 입주합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새로이 마련되는 임대주택은 주거면적이 4.8평으로 2~3배 넓어지고 큰 부담이었던 월 임대료도 3~4만 원 수준으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주거시설 외에 자활·돌봄 시설과 국공립유치원, 도서관 등 주민 편의시설, 상업시설도 함께 들어섭니다.
2023년 입주를 목표로 추진되는 영등포 쪽방촌 정비사업에는 3천억 원 안팎의 비용이 예상됩니다.
발생하는 적자의 상당 부분은 LH와 SH가 감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1970년대 집창촌과 여인숙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영등포 쪽방촌이 주거 지역으로 새롭게 정비됩니다.
고층 주상복합 건물 4동에 1,200가구가 공급되는데, 개발 과정에 공공주택사업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슬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인 한 명이 눕기에도 비좁고 제대로 먹고 씻기도 어려운 곳, 바로 쪽방촌입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2000년대부터 쪽방촌 정비를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복잡한 지분 관계로 인한 수익성 확보와 주민 재정착 문제 때문입니다.
[김승범/국토부 공공택지기획과장 : "(과거에는)쪽방 주민에 대한 재정착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간에 중단되었고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영등포 쪽방촌에 적용한 것은 도시환경정비법이 아닌 공공주택특별법을 통한 정비입니다.
공공주택법에 맞춰 쪽방촌 정비는 민간이 아니라 LH 등 공공기관이 시행을 맡고, 원주민의 재정착이 보장됩니다.
서울 도심에서 이런 방식의 정비가 이뤄지는 건 처음입니다.
1만제곱미터 면적의 부지에 건물 4동이 들어섭니다.
36층짜리 주상복합 두 동에는 민간 분양 600가구가, 나머지 두 동에는 쪽방 주민을 위한 영구임대 370가구와 행복주택 220가구가 각각 입주합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새로이 마련되는 임대주택은 주거면적이 4.8평으로 2~3배 넓어지고 큰 부담이었던 월 임대료도 3~4만 원 수준으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주거시설 외에 자활·돌봄 시설과 국공립유치원, 도서관 등 주민 편의시설, 상업시설도 함께 들어섭니다.
2023년 입주를 목표로 추진되는 영등포 쪽방촌 정비사업에는 3천억 원 안팎의 비용이 예상됩니다.
발생하는 적자의 상당 부분은 LH와 SH가 감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공공주택사업’으로 50년 영등포 쪽방촌 정비
-
- 입력 2020-01-21 07:41:45
- 수정2020-01-21 08:38:44

[앵커]
1970년대 집창촌과 여인숙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영등포 쪽방촌이 주거 지역으로 새롭게 정비됩니다.
고층 주상복합 건물 4동에 1,200가구가 공급되는데, 개발 과정에 공공주택사업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슬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인 한 명이 눕기에도 비좁고 제대로 먹고 씻기도 어려운 곳, 바로 쪽방촌입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2000년대부터 쪽방촌 정비를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복잡한 지분 관계로 인한 수익성 확보와 주민 재정착 문제 때문입니다.
[김승범/국토부 공공택지기획과장 : "(과거에는)쪽방 주민에 대한 재정착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간에 중단되었고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영등포 쪽방촌에 적용한 것은 도시환경정비법이 아닌 공공주택특별법을 통한 정비입니다.
공공주택법에 맞춰 쪽방촌 정비는 민간이 아니라 LH 등 공공기관이 시행을 맡고, 원주민의 재정착이 보장됩니다.
서울 도심에서 이런 방식의 정비가 이뤄지는 건 처음입니다.
1만제곱미터 면적의 부지에 건물 4동이 들어섭니다.
36층짜리 주상복합 두 동에는 민간 분양 600가구가, 나머지 두 동에는 쪽방 주민을 위한 영구임대 370가구와 행복주택 220가구가 각각 입주합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새로이 마련되는 임대주택은 주거면적이 4.8평으로 2~3배 넓어지고 큰 부담이었던 월 임대료도 3~4만 원 수준으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주거시설 외에 자활·돌봄 시설과 국공립유치원, 도서관 등 주민 편의시설, 상업시설도 함께 들어섭니다.
2023년 입주를 목표로 추진되는 영등포 쪽방촌 정비사업에는 3천억 원 안팎의 비용이 예상됩니다.
발생하는 적자의 상당 부분은 LH와 SH가 감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1970년대 집창촌과 여인숙을 중심으로 형성됐던 영등포 쪽방촌이 주거 지역으로 새롭게 정비됩니다.
고층 주상복합 건물 4동에 1,200가구가 공급되는데, 개발 과정에 공공주택사업 방식이 적용됩니다.
이슬기 기자입니다.
[리포트]
성인 한 명이 눕기에도 비좁고 제대로 먹고 씻기도 어려운 곳, 바로 쪽방촌입니다.
정부와 서울시는 2000년대부터 쪽방촌 정비를 추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복잡한 지분 관계로 인한 수익성 확보와 주민 재정착 문제 때문입니다.
[김승범/국토부 공공택지기획과장 : "(과거에는)쪽방 주민에 대한 재정착문제를 해소할 수 없었기 때문에 중간에 중단되었고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영등포 쪽방촌에 적용한 것은 도시환경정비법이 아닌 공공주택특별법을 통한 정비입니다.
공공주택법에 맞춰 쪽방촌 정비는 민간이 아니라 LH 등 공공기관이 시행을 맡고, 원주민의 재정착이 보장됩니다.
서울 도심에서 이런 방식의 정비가 이뤄지는 건 처음입니다.
1만제곱미터 면적의 부지에 건물 4동이 들어섭니다.
36층짜리 주상복합 두 동에는 민간 분양 600가구가, 나머지 두 동에는 쪽방 주민을 위한 영구임대 370가구와 행복주택 220가구가 각각 입주합니다.
[김현미/국토교통부 장관 : "새로이 마련되는 임대주택은 주거면적이 4.8평으로 2~3배 넓어지고 큰 부담이었던 월 임대료도 3~4만 원 수준으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주거시설 외에 자활·돌봄 시설과 국공립유치원, 도서관 등 주민 편의시설, 상업시설도 함께 들어섭니다.
2023년 입주를 목표로 추진되는 영등포 쪽방촌 정비사업에는 3천억 원 안팎의 비용이 예상됩니다.
발생하는 적자의 상당 부분은 LH와 SH가 감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슬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슬기 기자 wakeup@kbs.co.kr
이슬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