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춘절 앞두고 초비상…공항·항만 검역·방역 강화
입력 2020.01.21 (19:08) 수정 2020.01.21 (20:01) 뉴스 7
[앵커]
국내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리어스 확진자가 나오면서 관문인 공항과 항만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특히 춘절을 앞두고 중국인 승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승객 검역과 시설 소독이 크게 강화됐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이 발생했습니다."]
중국에서 온 승객들이 공항 검역소 앞을 지납니다.
혹시 발열 증상은 없는지, 검역관들은 열화상 카메라를 유심히 지켜봅니다.
특히 우한에서 들어오는 여객기의 경우 입국자 한 명, 한 명 일일이 체온을 잽니다.
[김기범/우한발 항공기 승객 : "중국 비행기다 보니 중국인이 많이 탈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계속 중국 공항에서 부터 마스크를 계속 끼고 왔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중국 우한에서 도착한 여객들이 나오는 출구입니다.
평소라면 도착해 짐을 찾아 나오는 데까지 15분 정도 걸리지만 탑승한 모든 승객이 일일이 체온 측정을 하다 보니 나오는데 시간이 50분 정도 더 걸렸습니다.
인천공항도 1주일에 한 번 하던 소독을 두 번으로 늘렸습니다.
입국장 바닥뿐 아니라 의자 아래에 소독약을 뿌리고, 승객이 항공기에서 내리자마자 밟는 탑승교 구석구석까지 소독합니다.
[김의주/인천공항 살균 작업 담당 : "바이러스라는 것은 전체적으로 사람이 볼 수 없는 데까지 다 이동을 하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히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만 하루 3만 명이고 특히 춘절과 설을 앞두고 있어 긴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 해 100만 명이 들어오는 인천항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입국자들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공항과 항만은 설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국내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리어스 확진자가 나오면서 관문인 공항과 항만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특히 춘절을 앞두고 중국인 승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승객 검역과 시설 소독이 크게 강화됐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이 발생했습니다."]
중국에서 온 승객들이 공항 검역소 앞을 지납니다.
혹시 발열 증상은 없는지, 검역관들은 열화상 카메라를 유심히 지켜봅니다.
특히 우한에서 들어오는 여객기의 경우 입국자 한 명, 한 명 일일이 체온을 잽니다.
[김기범/우한발 항공기 승객 : "중국 비행기다 보니 중국인이 많이 탈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계속 중국 공항에서 부터 마스크를 계속 끼고 왔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중국 우한에서 도착한 여객들이 나오는 출구입니다.
평소라면 도착해 짐을 찾아 나오는 데까지 15분 정도 걸리지만 탑승한 모든 승객이 일일이 체온 측정을 하다 보니 나오는데 시간이 50분 정도 더 걸렸습니다.
인천공항도 1주일에 한 번 하던 소독을 두 번으로 늘렸습니다.
입국장 바닥뿐 아니라 의자 아래에 소독약을 뿌리고, 승객이 항공기에서 내리자마자 밟는 탑승교 구석구석까지 소독합니다.
[김의주/인천공항 살균 작업 담당 : "바이러스라는 것은 전체적으로 사람이 볼 수 없는 데까지 다 이동을 하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히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만 하루 3만 명이고 특히 춘절과 설을 앞두고 있어 긴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 해 100만 명이 들어오는 인천항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입국자들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공항과 항만은 설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 춘절 앞두고 초비상…공항·항만 검역·방역 강화
-
- 입력 2020-01-21 19:09:42
- 수정2020-01-21 20:01:05

[앵커]
국내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리어스 확진자가 나오면서 관문인 공항과 항만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특히 춘절을 앞두고 중국인 승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승객 검역과 시설 소독이 크게 강화됐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이 발생했습니다."]
중국에서 온 승객들이 공항 검역소 앞을 지납니다.
혹시 발열 증상은 없는지, 검역관들은 열화상 카메라를 유심히 지켜봅니다.
특히 우한에서 들어오는 여객기의 경우 입국자 한 명, 한 명 일일이 체온을 잽니다.
[김기범/우한발 항공기 승객 : "중국 비행기다 보니 중국인이 많이 탈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계속 중국 공항에서 부터 마스크를 계속 끼고 왔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중국 우한에서 도착한 여객들이 나오는 출구입니다.
평소라면 도착해 짐을 찾아 나오는 데까지 15분 정도 걸리지만 탑승한 모든 승객이 일일이 체온 측정을 하다 보니 나오는데 시간이 50분 정도 더 걸렸습니다.
인천공항도 1주일에 한 번 하던 소독을 두 번으로 늘렸습니다.
입국장 바닥뿐 아니라 의자 아래에 소독약을 뿌리고, 승객이 항공기에서 내리자마자 밟는 탑승교 구석구석까지 소독합니다.
[김의주/인천공항 살균 작업 담당 : "바이러스라는 것은 전체적으로 사람이 볼 수 없는 데까지 다 이동을 하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히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만 하루 3만 명이고 특히 춘절과 설을 앞두고 있어 긴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 해 100만 명이 들어오는 인천항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입국자들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공항과 항만은 설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국내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리어스 확진자가 나오면서 관문인 공항과 항만에도 긴장감이 흐르고 있습니다.
특히 춘절을 앞두고 중국인 승객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승객 검역과 시설 소독이 크게 강화됐습니다.
신지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리포트]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질환이 발생했습니다."]
중국에서 온 승객들이 공항 검역소 앞을 지납니다.
혹시 발열 증상은 없는지, 검역관들은 열화상 카메라를 유심히 지켜봅니다.
특히 우한에서 들어오는 여객기의 경우 입국자 한 명, 한 명 일일이 체온을 잽니다.
[김기범/우한발 항공기 승객 : "중국 비행기다 보니 중국인이 많이 탈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계속 중국 공항에서 부터 마스크를 계속 끼고 왔습니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중국 우한에서 도착한 여객들이 나오는 출구입니다.
평소라면 도착해 짐을 찾아 나오는 데까지 15분 정도 걸리지만 탑승한 모든 승객이 일일이 체온 측정을 하다 보니 나오는데 시간이 50분 정도 더 걸렸습니다.
인천공항도 1주일에 한 번 하던 소독을 두 번으로 늘렸습니다.
입국장 바닥뿐 아니라 의자 아래에 소독약을 뿌리고, 승객이 항공기에서 내리자마자 밟는 탑승교 구석구석까지 소독합니다.
[김의주/인천공항 살균 작업 담당 : "바이러스라는 것은 전체적으로 사람이 볼 수 없는 데까지 다 이동을 하기 때문에 최대한 꼼꼼히 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중국에서 들어오는 사람만 하루 3만 명이고 특히 춘절과 설을 앞두고 있어 긴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 한 해 100만 명이 들어오는 인천항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입국자들의 상태를 꼼꼼히 확인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안내문을 나눠주고 있습니다.
공항과 항만은 설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7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신지수 기자 js@kbs.co.kr
신지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