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벌써 해빙기?'…빙판 깨짐 사고 주의
입력 2020.01.21 (20:09) 수정 2020.01.21 (23:58) 뉴스9(춘천)
[앵커멘트]
강원도 하면
추위와 얼음으로 유명한데요.
올해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유난히 따뜻한 겨울이 이어지면서
얼음을 제대로 안 얼어
겨울축제에 차질이 빚어지는가하면,
얼음판이 깨져
낚시꾼들이 빠지는 사고까지
벌써 시작됐습니다.
조휴연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사시사철 붕어가 잘 나와
한겨울에도 낚시꾼들이 몰리는 저수집니다.
지난 주말 이곳에서
얼음 낚시를 하던 70대 노인 두 명이
물에 빠졌다가
119구조대에 의해 간신히 구조됐습니다.
예년에 비해 얼음이 덜 얼었는데,
이를 모르고 빙판에 올랐다가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용수/홍천군 시동4리 이장[인터뷰]
"얼음이 거의 안 어는 상황이 됐는데요. 평상시에는 뭐 20cm, 30cm까지 업니다. 그런데 올해는 산 쪽이나 둑방 쪽. 햇빛이 쬐는 쪽은 얼음이 전혀 얼지를 않았고요."
사고가 난 지 이틀 뒤.
평일 오전부터
낚시꾼들이 저수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조휴연 기자/
저수지 주변의 얼음은 이렇게 얇아서 나뭇가지로도 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손으로 잡아뜯을 수 있을 정돕니다.
하지만, 낚시꾼들은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기자: 위험하지 않으세요?[인터뷰]
얼음낚시꾼: 위험하죠.
기자: 왜 하세요 그런데?
얼음낚시꾼: 허허허. 재미있으니까 하는 거죠.
북한강 상류의 또다른 얼음낚시터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강 주위에
빙 둘러쳐 놓은 출입금지 표지는
있으나 마납니다.
낚시꾼들이 몰려들어,
얼음판 여기저기에 구멍을 뚫어 놨습니다.
내 자리는 괜찮다고 합니다.
낚시꾼/[녹취]
"아니 이 쪽으로만 해야지 저 쪽으로는 못 들어가. 여긴 두꺼운데 저 쪽은 얇아서."
보통 얼음판이 깨지는 사고는
입춘을 지날 무렵 많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 올해는
사고가 보름 이상 빨라진 겁니다.
한규영/춘천소방서 119구조대장[인터뷰]
"평년 기온이 따뜻해지기 때문에 얼음이 얇게 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음 낚시를 위해서 구멍을 여러 개 뚫으면 얼음 강도가 약해져서 안전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119구조대는
얼음 낚시를 즐기려면,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얼음 두께가
적어도 20cm는 되는 곳을 골라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끝)
강원도 하면
추위와 얼음으로 유명한데요.
올해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유난히 따뜻한 겨울이 이어지면서
얼음을 제대로 안 얼어
겨울축제에 차질이 빚어지는가하면,
얼음판이 깨져
낚시꾼들이 빠지는 사고까지
벌써 시작됐습니다.
조휴연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사시사철 붕어가 잘 나와
한겨울에도 낚시꾼들이 몰리는 저수집니다.
지난 주말 이곳에서
얼음 낚시를 하던 70대 노인 두 명이
물에 빠졌다가
119구조대에 의해 간신히 구조됐습니다.
예년에 비해 얼음이 덜 얼었는데,
이를 모르고 빙판에 올랐다가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용수/홍천군 시동4리 이장[인터뷰]
"얼음이 거의 안 어는 상황이 됐는데요. 평상시에는 뭐 20cm, 30cm까지 업니다. 그런데 올해는 산 쪽이나 둑방 쪽. 햇빛이 쬐는 쪽은 얼음이 전혀 얼지를 않았고요."
사고가 난 지 이틀 뒤.
평일 오전부터
낚시꾼들이 저수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조휴연 기자/
저수지 주변의 얼음은 이렇게 얇아서 나뭇가지로도 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손으로 잡아뜯을 수 있을 정돕니다.
하지만, 낚시꾼들은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기자: 위험하지 않으세요?[인터뷰]
얼음낚시꾼: 위험하죠.
기자: 왜 하세요 그런데?
얼음낚시꾼: 허허허. 재미있으니까 하는 거죠.
북한강 상류의 또다른 얼음낚시터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강 주위에
빙 둘러쳐 놓은 출입금지 표지는
있으나 마납니다.
낚시꾼들이 몰려들어,
얼음판 여기저기에 구멍을 뚫어 놨습니다.
내 자리는 괜찮다고 합니다.
낚시꾼/[녹취]
"아니 이 쪽으로만 해야지 저 쪽으로는 못 들어가. 여긴 두꺼운데 저 쪽은 얇아서."
보통 얼음판이 깨지는 사고는
입춘을 지날 무렵 많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 올해는
사고가 보름 이상 빨라진 겁니다.
한규영/춘천소방서 119구조대장[인터뷰]
"평년 기온이 따뜻해지기 때문에 얼음이 얇게 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음 낚시를 위해서 구멍을 여러 개 뚫으면 얼음 강도가 약해져서 안전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119구조대는
얼음 낚시를 즐기려면,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얼음 두께가
적어도 20cm는 되는 곳을 골라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끝)
- 벌써 해빙기?'…빙판 깨짐 사고 주의
-
- 입력 2020-01-21 20:09:26
- 수정2020-01-21 23:58:16

[앵커멘트]
강원도 하면
추위와 얼음으로 유명한데요.
올해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유난히 따뜻한 겨울이 이어지면서
얼음을 제대로 안 얼어
겨울축제에 차질이 빚어지는가하면,
얼음판이 깨져
낚시꾼들이 빠지는 사고까지
벌써 시작됐습니다.
조휴연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사시사철 붕어가 잘 나와
한겨울에도 낚시꾼들이 몰리는 저수집니다.
지난 주말 이곳에서
얼음 낚시를 하던 70대 노인 두 명이
물에 빠졌다가
119구조대에 의해 간신히 구조됐습니다.
예년에 비해 얼음이 덜 얼었는데,
이를 모르고 빙판에 올랐다가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용수/홍천군 시동4리 이장[인터뷰]
"얼음이 거의 안 어는 상황이 됐는데요. 평상시에는 뭐 20cm, 30cm까지 업니다. 그런데 올해는 산 쪽이나 둑방 쪽. 햇빛이 쬐는 쪽은 얼음이 전혀 얼지를 않았고요."
사고가 난 지 이틀 뒤.
평일 오전부터
낚시꾼들이 저수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조휴연 기자/
저수지 주변의 얼음은 이렇게 얇아서 나뭇가지로도 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손으로 잡아뜯을 수 있을 정돕니다.
하지만, 낚시꾼들은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기자: 위험하지 않으세요?[인터뷰]
얼음낚시꾼: 위험하죠.
기자: 왜 하세요 그런데?
얼음낚시꾼: 허허허. 재미있으니까 하는 거죠.
북한강 상류의 또다른 얼음낚시터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강 주위에
빙 둘러쳐 놓은 출입금지 표지는
있으나 마납니다.
낚시꾼들이 몰려들어,
얼음판 여기저기에 구멍을 뚫어 놨습니다.
내 자리는 괜찮다고 합니다.
낚시꾼/[녹취]
"아니 이 쪽으로만 해야지 저 쪽으로는 못 들어가. 여긴 두꺼운데 저 쪽은 얇아서."
보통 얼음판이 깨지는 사고는
입춘을 지날 무렵 많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 올해는
사고가 보름 이상 빨라진 겁니다.
한규영/춘천소방서 119구조대장[인터뷰]
"평년 기온이 따뜻해지기 때문에 얼음이 얇게 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음 낚시를 위해서 구멍을 여러 개 뚫으면 얼음 강도가 약해져서 안전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119구조대는
얼음 낚시를 즐기려면,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얼음 두께가
적어도 20cm는 되는 곳을 골라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끝)
강원도 하면
추위와 얼음으로 유명한데요.
올해는 사정이 좀 다릅니다.
유난히 따뜻한 겨울이 이어지면서
얼음을 제대로 안 얼어
겨울축제에 차질이 빚어지는가하면,
얼음판이 깨져
낚시꾼들이 빠지는 사고까지
벌써 시작됐습니다.
조휴연 기자가 현장을 돌아봤습니다.
[리포트]
사시사철 붕어가 잘 나와
한겨울에도 낚시꾼들이 몰리는 저수집니다.
지난 주말 이곳에서
얼음 낚시를 하던 70대 노인 두 명이
물에 빠졌다가
119구조대에 의해 간신히 구조됐습니다.
예년에 비해 얼음이 덜 얼었는데,
이를 모르고 빙판에 올랐다가
사고를 당했습니다.
이용수/홍천군 시동4리 이장[인터뷰]
"얼음이 거의 안 어는 상황이 됐는데요. 평상시에는 뭐 20cm, 30cm까지 업니다. 그런데 올해는 산 쪽이나 둑방 쪽. 햇빛이 쬐는 쪽은 얼음이 전혀 얼지를 않았고요."
사고가 난 지 이틀 뒤.
평일 오전부터
낚시꾼들이 저수지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조휴연 기자/
저수지 주변의 얼음은 이렇게 얇아서 나뭇가지로도 쉽게 구멍을 뚫을 수 있습니다.
손으로 잡아뜯을 수 있을 정돕니다.
하지만, 낚시꾼들은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기자: 위험하지 않으세요?[인터뷰]
얼음낚시꾼: 위험하죠.
기자: 왜 하세요 그런데?
얼음낚시꾼: 허허허. 재미있으니까 하는 거죠.
북한강 상류의 또다른 얼음낚시터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강 주위에
빙 둘러쳐 놓은 출입금지 표지는
있으나 마납니다.
낚시꾼들이 몰려들어,
얼음판 여기저기에 구멍을 뚫어 놨습니다.
내 자리는 괜찮다고 합니다.
낚시꾼/[녹취]
"아니 이 쪽으로만 해야지 저 쪽으로는 못 들어가. 여긴 두꺼운데 저 쪽은 얇아서."
보통 얼음판이 깨지는 사고는
입춘을 지날 무렵 많이 발생합니다.
이에 비해 올해는
사고가 보름 이상 빨라진 겁니다.
한규영/춘천소방서 119구조대장[인터뷰]
"평년 기온이 따뜻해지기 때문에 얼음이 얇게 어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음 낚시를 위해서 구멍을 여러 개 뚫으면 얼음 강도가 약해져서 안전 사고 위험이 높습니다."
119구조대는
얼음 낚시를 즐기려면,
반드시 구명조끼를 입고,
얼음 두께가
적어도 20cm는 되는 곳을 골라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조휴연입니다. (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춘천)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조휴연 기자 dakgalbi@kbs.co.kr
조휴연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