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ES서 기술력 인정, 기술기반 스타트업 키워야
입력 2020.01.21 (22:26) 수정 2020.01.22 (00:07) 뉴스9(대구)
[앵커멘트]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CES에서
일부 지역 기업들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같은 성과가
대구시의 강소기업 육성 정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동 배팅볼 기계를 개발한
이 업체는 지난해 CES에서 2백만 달러
공급 계약을 맺은데 이어 올해는
250만 달러 규모 계약에 성공했습니다.
기계의 성능을 인정받은 것은 물론
데이터와 영상 관리 기술까지
업그레이드를 예고하면서
시장을 더욱 넓혀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주)제스트 대표이사
"앱으로 내가 어떻게 쳤는지 알 수 있게
만들어서 소비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의 판단과 예측, 치료 모델을 개발한 이 업체는 지역 최초로
CES혁신상을 받았습니다.
게임을 이용해 접근성을 높였고
치료와 상담을 온라인으로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병일/우리소프트 대표이사
"발달장애 내지는 인지 훈련이 필요한
아동들, 노인들도 자연스럽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여러가지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이처럼 올해 CES에서
지역 신생 벤처기업은 단순 참가를 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참가 기업수가
지난해 39개에서 35개로 줄었고
현지 계약 성과도 728만 달러에서
414만 달러로 줄었지만 소기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이 때문에 대구시도
천6백여개가 넘는 스타트업 가운데
옥석을 골라 집중 지원에 나섭니다.
[인터뷰]
김희석/대구시 스마트시티과장
"기술개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요청이 많고 CES라던지 세계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역 업체들이 CES에서
예년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둔 가운데 기술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강소기업 육성에
중요한 시사점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재노입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CES에서
일부 지역 기업들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같은 성과가
대구시의 강소기업 육성 정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동 배팅볼 기계를 개발한
이 업체는 지난해 CES에서 2백만 달러
공급 계약을 맺은데 이어 올해는
250만 달러 규모 계약에 성공했습니다.
기계의 성능을 인정받은 것은 물론
데이터와 영상 관리 기술까지
업그레이드를 예고하면서
시장을 더욱 넓혀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주)제스트 대표이사
"앱으로 내가 어떻게 쳤는지 알 수 있게
만들어서 소비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의 판단과 예측, 치료 모델을 개발한 이 업체는 지역 최초로
CES혁신상을 받았습니다.
게임을 이용해 접근성을 높였고
치료와 상담을 온라인으로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병일/우리소프트 대표이사
"발달장애 내지는 인지 훈련이 필요한
아동들, 노인들도 자연스럽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여러가지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이처럼 올해 CES에서
지역 신생 벤처기업은 단순 참가를 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참가 기업수가
지난해 39개에서 35개로 줄었고
현지 계약 성과도 728만 달러에서
414만 달러로 줄었지만 소기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이 때문에 대구시도
천6백여개가 넘는 스타트업 가운데
옥석을 골라 집중 지원에 나섭니다.
[인터뷰]
김희석/대구시 스마트시티과장
"기술개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요청이 많고 CES라던지 세계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역 업체들이 CES에서
예년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둔 가운데 기술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강소기업 육성에
중요한 시사점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재노입니다.
- CES서 기술력 인정, 기술기반 스타트업 키워야
-
- 입력 2020-01-21 22:26:00
- 수정2020-01-22 00:07:06

[앵커멘트]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CES에서
일부 지역 기업들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같은 성과가
대구시의 강소기업 육성 정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동 배팅볼 기계를 개발한
이 업체는 지난해 CES에서 2백만 달러
공급 계약을 맺은데 이어 올해는
250만 달러 규모 계약에 성공했습니다.
기계의 성능을 인정받은 것은 물론
데이터와 영상 관리 기술까지
업그레이드를 예고하면서
시장을 더욱 넓혀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주)제스트 대표이사
"앱으로 내가 어떻게 쳤는지 알 수 있게
만들어서 소비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의 판단과 예측, 치료 모델을 개발한 이 업체는 지역 최초로
CES혁신상을 받았습니다.
게임을 이용해 접근성을 높였고
치료와 상담을 온라인으로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병일/우리소프트 대표이사
"발달장애 내지는 인지 훈련이 필요한
아동들, 노인들도 자연스럽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여러가지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이처럼 올해 CES에서
지역 신생 벤처기업은 단순 참가를 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참가 기업수가
지난해 39개에서 35개로 줄었고
현지 계약 성과도 728만 달러에서
414만 달러로 줄었지만 소기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이 때문에 대구시도
천6백여개가 넘는 스타트업 가운데
옥석을 골라 집중 지원에 나섭니다.
[인터뷰]
김희석/대구시 스마트시티과장
"기술개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요청이 많고 CES라던지 세계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역 업체들이 CES에서
예년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둔 가운데 기술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강소기업 육성에
중요한 시사점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재노입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가전제품 박람회인 CES에서
일부 지역 기업들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같은 성과가
대구시의 강소기업 육성 정책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재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자동 배팅볼 기계를 개발한
이 업체는 지난해 CES에서 2백만 달러
공급 계약을 맺은데 이어 올해는
250만 달러 규모 계약에 성공했습니다.
기계의 성능을 인정받은 것은 물론
데이터와 영상 관리 기술까지
업그레이드를 예고하면서
시장을 더욱 넓혀가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무성/(주)제스트 대표이사
"앱으로 내가 어떻게 쳤는지 알 수 있게
만들어서 소비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게끔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에 대한 빅데이터를 이용해
장애의 판단과 예측, 치료 모델을 개발한 이 업체는 지역 최초로
CES혁신상을 받았습니다.
게임을 이용해 접근성을 높였고
치료와 상담을 온라인으로 연결하겠다는
계획이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김병일/우리소프트 대표이사
"발달장애 내지는 인지 훈련이 필요한
아동들, 노인들도 자연스럽게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고 여러가지 사업모델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이처럼 올해 CES에서
지역 신생 벤처기업은 단순 참가를 넘어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참가 기업수가
지난해 39개에서 35개로 줄었고
현지 계약 성과도 728만 달러에서
414만 달러로 줄었지만 소기의
성과가 있었다고 평가받는 이유입니다.
이 때문에 대구시도
천6백여개가 넘는 스타트업 가운데
옥석을 골라 집중 지원에 나섭니다.
[인터뷰]
김희석/대구시 스마트시티과장
"기술개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요청이 많고 CES라던지 세계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원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역 업체들이 CES에서
예년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거둔 가운데 기술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강소기업 육성에
중요한 시사점이 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재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구)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재노 기자 delaro@kbs.co.kr
김재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