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두 달 새 7배…독감 의심환자 급증
입력 2020.01.21 (15:00) 수정 2020.01.22 (02:18) 뉴스9(대전)
[앵커멘트]
이웃 중국에서
우한 폐렴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독감 의심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지
두 달 만에 7배나 늘었는데
이동이 많은 설 연휴를 앞두고
감염병 예방 수칙 준수가 절실합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어린이 전문 병원입니다.
오전부터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대기실이 북새통입니다.
지난주 고열 증상으로
병원에 왔던 한 어린이는
독감으로 확진됐습니다.
[인터뷰]
이현숙 /독감 확진 어린이 보호자
"순간적으로 열도 나고 하니까, 안 내려가
니까 너무 걱정되더라고요. 바이러스 검사
했더니 독감이라고…."
두 달 전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뒤
의심 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전국의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지난해 11월 천 명당 7명 수준이었지만
이달 초 49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주로 고열과 구토를 동반하는
증세가 많은데 두 달 만에
7배나 불어난 겁니다.
같은 기간
대전에서는 더 빠른 속도로
독감이 퍼졌습니다.
[인터뷰]
원방연 /대전시 위생안전과장
"발령 이후에 대전지역 의심 환자 발생이 꾸준히 증가 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천 명당) 3.4명 에서 이달 초 50명대로 크게 는
상황입니다."
통상 독감은
봄까지 유행하는 데다
한 차례 앓았어도
다른 독감에 걸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김태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특히 임산부라든가 노약자, 24개월 미만의
환자들 같은 경우는 면역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그래서 예방 접종을 꼭 맞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당국은 예방접종 외에도
설 연휴 감염병 확산 우려에 따라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이웃 중국에서
우한 폐렴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독감 의심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지
두 달 만에 7배나 늘었는데
이동이 많은 설 연휴를 앞두고
감염병 예방 수칙 준수가 절실합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어린이 전문 병원입니다.
오전부터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대기실이 북새통입니다.
지난주 고열 증상으로
병원에 왔던 한 어린이는
독감으로 확진됐습니다.
[인터뷰]
이현숙 /독감 확진 어린이 보호자
"순간적으로 열도 나고 하니까, 안 내려가
니까 너무 걱정되더라고요. 바이러스 검사
했더니 독감이라고…."
두 달 전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뒤
의심 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전국의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지난해 11월 천 명당 7명 수준이었지만
이달 초 49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주로 고열과 구토를 동반하는
증세가 많은데 두 달 만에
7배나 불어난 겁니다.
같은 기간
대전에서는 더 빠른 속도로
독감이 퍼졌습니다.
[인터뷰]
원방연 /대전시 위생안전과장
"발령 이후에 대전지역 의심 환자 발생이 꾸준히 증가 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천 명당) 3.4명 에서 이달 초 50명대로 크게 는
상황입니다."
통상 독감은
봄까지 유행하는 데다
한 차례 앓았어도
다른 독감에 걸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김태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특히 임산부라든가 노약자, 24개월 미만의
환자들 같은 경우는 면역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그래서 예방 접종을 꼭 맞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당국은 예방접종 외에도
설 연휴 감염병 확산 우려에 따라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 두 달 새 7배…독감 의심환자 급증
-
- 입력 2020-01-22 02:16:36
- 수정2020-01-22 02:18:25
[앵커멘트]
이웃 중국에서
우한 폐렴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독감 의심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지
두 달 만에 7배나 늘었는데
이동이 많은 설 연휴를 앞두고
감염병 예방 수칙 준수가 절실합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어린이 전문 병원입니다.
오전부터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대기실이 북새통입니다.
지난주 고열 증상으로
병원에 왔던 한 어린이는
독감으로 확진됐습니다.
[인터뷰]
이현숙 /독감 확진 어린이 보호자
"순간적으로 열도 나고 하니까, 안 내려가
니까 너무 걱정되더라고요. 바이러스 검사
했더니 독감이라고…."
두 달 전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뒤
의심 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전국의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지난해 11월 천 명당 7명 수준이었지만
이달 초 49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주로 고열과 구토를 동반하는
증세가 많은데 두 달 만에
7배나 불어난 겁니다.
같은 기간
대전에서는 더 빠른 속도로
독감이 퍼졌습니다.
[인터뷰]
원방연 /대전시 위생안전과장
"발령 이후에 대전지역 의심 환자 발생이 꾸준히 증가 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천 명당) 3.4명 에서 이달 초 50명대로 크게 는
상황입니다."
통상 독감은
봄까지 유행하는 데다
한 차례 앓았어도
다른 독감에 걸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김태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특히 임산부라든가 노약자, 24개월 미만의
환자들 같은 경우는 면역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그래서 예방 접종을 꼭 맞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당국은 예방접종 외에도
설 연휴 감염병 확산 우려에 따라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이웃 중국에서
우한 폐렴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독감 의심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지
두 달 만에 7배나 늘었는데
이동이 많은 설 연휴를 앞두고
감염병 예방 수칙 준수가 절실합니다.
한솔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전의 한 어린이 전문 병원입니다.
오전부터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대기실이 북새통입니다.
지난주 고열 증상으로
병원에 왔던 한 어린이는
독감으로 확진됐습니다.
[인터뷰]
이현숙 /독감 확진 어린이 보호자
"순간적으로 열도 나고 하니까, 안 내려가
니까 너무 걱정되더라고요. 바이러스 검사
했더니 독감이라고…."
두 달 전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내려진 뒤
의심 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전국의 독감 의심 환자 수는
지난해 11월 천 명당 7명 수준이었지만
이달 초 49명으로 급증했습니다.
주로 고열과 구토를 동반하는
증세가 많은데 두 달 만에
7배나 불어난 겁니다.
같은 기간
대전에서는 더 빠른 속도로
독감이 퍼졌습니다.
[인터뷰]
원방연 /대전시 위생안전과장
"발령 이후에 대전지역 의심 환자 발생이 꾸준히 증가 했습니다. 지난해 11월 (천 명당) 3.4명 에서 이달 초 50명대로 크게 는
상황입니다."
통상 독감은
봄까지 유행하는 데다
한 차례 앓았어도
다른 독감에 걸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김태순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특히 임산부라든가 노약자, 24개월 미만의
환자들 같은 경우는 면역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그래서 예방 접종을 꼭 맞는 것이
좋습니다."
보건당국은 예방접종 외에도
설 연휴 감염병 확산 우려에 따라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한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한솔 기자 sole@kbs.co.kr
한솔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