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③도청이 뭐길래.."줄줄이 도청 앞으로!"
입력 2020.01.22 (21:42) 수정 2020.01.23 (00:23) 뉴스9(춘천)
시군 공무원들이 지역을 떠나,
가장 많이 전출하는 기관은 어디일까요?
바로 강원도청입니다.
개인적 고충 해소 등 전출 이유도 다양한데요.
일선 시군에서는
해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 만큼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성군에서는
최근 10년 간 채용 인력 중 36명이 전출했습니다.
어디로 갔는지 봤더니,
절반이 넘는 19명이 강원도청이었습니다.
다른 시군도 사정이 다르지 않습니다.
양양에서도 같은 기간 전출자 21명 가운데 10명이
도청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2천1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강원도 내 18개 시군의 전출 인원은 모두 573명입니다.
이 가운데 201명이 도청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단일 기관 가운데, 가장 많았습니다.
이렇게 도청 전출이 많은 건 고충 해소와 자기 계발,
생활 여건 개선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시군이 전출로 손해 보는 건 숙련된 인력 뿐만이 아닙니다.
도청 전출 이후 일정 기간 '파견' 형식이 적용돼,
시군이 임금을 부담합니다.
도청에서 도청 일을 하는데도 월급은 시군이 주는 겁니다.
이에 대해 강원도는
파견을 기존 1년에서 지난해부터 6개월로 단축했고,
자체 신규 선발을 늘려
시군의 전출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일선 시군에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전출 제한을 법제화하는 등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선택을 해서 지역에 왔으면 지역에 와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게 강제 조항이 법령이 개정돼서 강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전출이라는 개인의 선택을
사실상 강제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인력 유출에 따른 시군 고민은 올해도 반복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끝)
- ③도청이 뭐길래.."줄줄이 도청 앞으로!"
-
- 입력 2020-01-22 21:42:40
- 수정2020-01-23 00:23:27

시군 공무원들이 지역을 떠나,
가장 많이 전출하는 기관은 어디일까요?
바로 강원도청입니다.
개인적 고충 해소 등 전출 이유도 다양한데요.
일선 시군에서는
해마다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 만큼
개선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성군에서는
최근 10년 간 채용 인력 중 36명이 전출했습니다.
어디로 갔는지 봤더니,
절반이 넘는 19명이 강원도청이었습니다.
다른 시군도 사정이 다르지 않습니다.
양양에서도 같은 기간 전출자 21명 가운데 10명이
도청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2천1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강원도 내 18개 시군의 전출 인원은 모두 573명입니다.
이 가운데 201명이 도청으로 자리를 옮겼습니다.
단일 기관 가운데, 가장 많았습니다.
이렇게 도청 전출이 많은 건 고충 해소와 자기 계발,
생활 여건 개선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시군이 전출로 손해 보는 건 숙련된 인력 뿐만이 아닙니다.
도청 전출 이후 일정 기간 '파견' 형식이 적용돼,
시군이 임금을 부담합니다.
도청에서 도청 일을 하는데도 월급은 시군이 주는 겁니다.
이에 대해 강원도는
파견을 기존 1년에서 지난해부터 6개월로 단축했고,
자체 신규 선발을 늘려
시군의 전출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일선 시군에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전출 제한을 법제화하는 등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선택을 해서 지역에 왔으면 지역에 와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게 강제 조항이 법령이 개정돼서 강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전출이라는 개인의 선택을
사실상 강제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인력 유출에 따른 시군 고민은 올해도 반복될 전망입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