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보건소 점검…당정청은 3조 4천억 원 푼다
입력 2020.02.05 (19:08)
수정 2020.02.05 (20: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당정청이 예비비 3조 4천억 원을 풀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더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 대통령은 보건소를 방문해 현장 대응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보건소 중 유일하게 음압 시설을 갖춘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는 성동구 보건소입니다.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위한 총력 대응 체제를 주문한 문 대통령이 현장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지역 사회 감염을 막아주시고, 그 다음에 주민들 불안하지 않게 해 주시고..."]
특히 개강을 앞두고 한국에 오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여유 시설이 없을 경우에는 좀 자치단체하고 대학이 협력해서 또 교육부까지 협력해서 그런 격리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저희들이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함께 만들어 갈 생각입니다."]
당정청도 긴급 대응에 나섰습니다.
3조 4천억 원 규모의 예비비를 투입해 방역과 검역, 특히 소상공인 등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기업에 대해선 세금 납부 기한을 연장하고 세무조사도 유예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중국 후베이성 외 지역으로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정세균/국무총리 : "후베이성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상황도 면밀히 확인하면서 양국 간 협력하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입니다."]
확진자가 늘면서 추가 입국 금지 조치에 대해 적극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중국인 입국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해 문제가 생길 경우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앞으로 주 2회 신종코로나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구체적 업종별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당정청이 예비비 3조 4천억 원을 풀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더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 대통령은 보건소를 방문해 현장 대응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보건소 중 유일하게 음압 시설을 갖춘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는 성동구 보건소입니다.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위한 총력 대응 체제를 주문한 문 대통령이 현장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지역 사회 감염을 막아주시고, 그 다음에 주민들 불안하지 않게 해 주시고..."]
특히 개강을 앞두고 한국에 오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여유 시설이 없을 경우에는 좀 자치단체하고 대학이 협력해서 또 교육부까지 협력해서 그런 격리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저희들이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함께 만들어 갈 생각입니다."]
당정청도 긴급 대응에 나섰습니다.
3조 4천억 원 규모의 예비비를 투입해 방역과 검역, 특히 소상공인 등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기업에 대해선 세금 납부 기한을 연장하고 세무조사도 유예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중국 후베이성 외 지역으로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정세균/국무총리 : "후베이성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상황도 면밀히 확인하면서 양국 간 협력하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입니다."]
확진자가 늘면서 추가 입국 금지 조치에 대해 적극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중국인 입국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해 문제가 생길 경우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앞으로 주 2회 신종코로나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구체적 업종별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문 대통령, 보건소 점검…당정청은 3조 4천억 원 푼다
-
- 입력 2020-02-05 19:10:16
- 수정2020-02-05 20:04:33

[앵커]
당정청이 예비비 3조 4천억 원을 풀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더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 대통령은 보건소를 방문해 현장 대응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보건소 중 유일하게 음압 시설을 갖춘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는 성동구 보건소입니다.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위한 총력 대응 체제를 주문한 문 대통령이 현장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지역 사회 감염을 막아주시고, 그 다음에 주민들 불안하지 않게 해 주시고..."]
특히 개강을 앞두고 한국에 오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여유 시설이 없을 경우에는 좀 자치단체하고 대학이 협력해서 또 교육부까지 협력해서 그런 격리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저희들이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함께 만들어 갈 생각입니다."]
당정청도 긴급 대응에 나섰습니다.
3조 4천억 원 규모의 예비비를 투입해 방역과 검역, 특히 소상공인 등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기업에 대해선 세금 납부 기한을 연장하고 세무조사도 유예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중국 후베이성 외 지역으로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정세균/국무총리 : "후베이성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상황도 면밀히 확인하면서 양국 간 협력하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입니다."]
확진자가 늘면서 추가 입국 금지 조치에 대해 적극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중국인 입국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해 문제가 생길 경우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앞으로 주 2회 신종코로나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구체적 업종별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당정청이 예비비 3조 4천억 원을 풀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을 막고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더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문 대통령은 보건소를 방문해 현장 대응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김지선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보건소 중 유일하게 음압 시설을 갖춘 선별진료소를 운영하고 있는 성동구 보건소입니다.
'신종 코로나' 확산을 막기위한 총력 대응 체제를 주문한 문 대통령이 현장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지역 사회 감염을 막아주시고, 그 다음에 주민들 불안하지 않게 해 주시고..."]
특히 개강을 앞두고 한국에 오는 중국인 유학생들에 대한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여유 시설이 없을 경우에는 좀 자치단체하고 대학이 협력해서 또 교육부까지 협력해서 그런 격리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박원순/서울시장 : "저희들이 구체적으로 가이드라인을 함께 만들어 갈 생각입니다."]
당정청도 긴급 대응에 나섰습니다.
3조 4천억 원 규모의 예비비를 투입해 방역과 검역, 특히 소상공인 등 피해 기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피해 기업에 대해선 세금 납부 기한을 연장하고 세무조사도 유예해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중국 후베이성 외 지역으로 입국 금지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정세균/국무총리 : "후베이성뿐 아니라 주변 지역의 상황도 면밀히 확인하면서 양국 간 협력하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 나갈 것입니다."]
확진자가 늘면서 추가 입국 금지 조치에 대해 적극 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중국인 입국자의 스마트폰에 앱을 설치해 문제가 생길 경우 위치 추적을 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당정청은 앞으로 주 2회 신종코로나 대응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구체적 업종별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입니다.
KBS 뉴스 김지선입니다.

-
-
김지선 기자 3rdline@kbs.co.kr
김지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