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거리로 나선 새내기 유권자…'올바른 역사 인식부터'
입력 2020.02.14 (21:42) 수정 2020.02.14 (23:13) 뉴스9(전주)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멘트]
지난해 선거법이 바뀌면서
올해부터 만 18세 청소년들도
투표권을 갖게 됐죠.
생애 첫 투표를 하게 된
청소년들이 바라는 정치는
어떤 모습일까요?
새내기 유권자들의 목소리를
한희조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올해로 만 18살.

다음 달 입학을 앞둔
대학 신입생들이
거리로 나섰습니다.

선거법이 바뀌면서
오는 4월 총선부터 투표권이 생긴,
새내기 유권자들입니다.

대학 생활의 꿈에
젖어있을 시기지만,
소중한 한 표를
어떻게 행사할지에
관심이 모아져 있습니다.


한은순/ 유권자 운동 '투표는 처음이라' 참여 학생[인터뷰]
"만 18세로 유권자를 하향 조정하는 것에 대한 많은 반대 우려가 있었지만, 학교에서 정치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인식을 세워주고 그로 인해 학생들이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중근 의사가
사형 선고를 받은 2월 14일을 기려,
자발적으로 모인 청소년들.

왜곡된 역사 인식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환수와
친일파 서훈 취소 등을 위한
법 제정을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친일파 국립묘지 이전, 친일파 훈장 서훈 취소라는 법안들이 있어요. 이런 법안들에 대해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목소리를 내고.."

시민들도
새내기 유권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김소형·장수경/전주시 덕진동[인터뷰]
"많은 친구들이 많은 미디어 환경을 접하면서 지금은 적잖이 역사의식, 정치의식이 깨어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격려하고 지지하고 응원합니다."

첫 유권자 운동에 나선
청소년들은 SNS 등을 통해
올바른 역사 인식을 알리고,

총선 후보들에게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등의
활동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한희조입니다.###
  • 거리로 나선 새내기 유권자…'올바른 역사 인식부터'
    • 입력 2020-02-14 21:42:39
    • 수정2020-02-14 23:13:28
    뉴스9(전주)
[앵커멘트]
지난해 선거법이 바뀌면서
올해부터 만 18세 청소년들도
투표권을 갖게 됐죠.
생애 첫 투표를 하게 된
청소년들이 바라는 정치는
어떤 모습일까요?
새내기 유권자들의 목소리를
한희조 기자가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올해로 만 18살.

다음 달 입학을 앞둔
대학 신입생들이
거리로 나섰습니다.

선거법이 바뀌면서
오는 4월 총선부터 투표권이 생긴,
새내기 유권자들입니다.

대학 생활의 꿈에
젖어있을 시기지만,
소중한 한 표를
어떻게 행사할지에
관심이 모아져 있습니다.


한은순/ 유권자 운동 '투표는 처음이라' 참여 학생[인터뷰]
"만 18세로 유권자를 하향 조정하는 것에 대한 많은 반대 우려가 있었지만, 학교에서 정치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인식을 세워주고 그로 인해 학생들이 바른 선택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안중근 의사가
사형 선고를 받은 2월 14일을 기려,
자발적으로 모인 청소년들.

왜곡된 역사 인식을
바로 세워야 한다는데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 환수와
친일파 서훈 취소 등을 위한
법 제정을 요구했습니다.

[인터뷰]
"친일파 국립묘지 이전, 친일파 훈장 서훈 취소라는 법안들이 있어요. 이런 법안들에 대해 국회의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목소리를 내고.."

시민들도
새내기 유권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입니다.

김소형·장수경/전주시 덕진동[인터뷰]
"많은 친구들이 많은 미디어 환경을 접하면서 지금은 적잖이 역사의식, 정치의식이 깨어있는 것 같아요. 그래서 격려하고 지지하고 응원합니다."

첫 유권자 운동에 나선
청소년들은 SNS 등을 통해
올바른 역사 인식을 알리고,

총선 후보들에게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등의
활동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KBS 뉴스 한희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