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마스크 손소독제 구입비 65억 지원…68명 요양시설 업무배제”
입력 2020.02.18 (12:17)
수정 2020.02.18 (13: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기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마스크와 손소독제 구입비로 예비비 65억62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요양시설에서 현재까지 업무배제된 사람은 모두 68명이며 이가운데 48명이 업무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늘(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전국 3만 7천여개 어린이집에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구입하도록 예비비 65억 6,20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김강립 부본부장은 "어린이집 지원은 코로나19 대비 방역물품 지원이 포함된 '2020년도 일반회계 일반예비비 지출안'이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유치원과 초중고교에도 방역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특별교부금이 지원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교육부는 특별교부금 249억 원을 전국 시도교육청에 긴급 지원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서 방역물품 구입을 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말했습니다.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일반회계 목적예비비 1,041억 원 지출안에는 '코로나19 국내 확산 방지를위한 긴급방역 대응조치 예산'과 '우한 귀국국민 임시시설 운영 지원'이 포함됐습니다.
지출안에는 ▲방역대응 체계 확충(41억 원), ▲검역·진단역량 강화(203억 원), ▲격리자 치료지원(313억 원), ▲방역물품 확충(277억 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원(153억 원), ▲우한 귀국 국민의 임시생활시설 운영(27억 원), ▲그 밖의 연구개발(10억 원), ▲홍보(17억 원) 등이 포함됐습니다.
전국 5,500여 개 요양시설과 7만 3000여명의 요양보호사에 대한 코로나19 감시도 강화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지난 1월 28일과 1월 31일, 2월 4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지자체와 건보공단, 요양시설협회에 시설 대응 요령을 통보했다"며 "어제 기준 시설에서 업무배제된 인원은 모두 68명이고 이 가운데 48명이 업무에 복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종사자가 중국 등 해외를 방문한 경우 업무를 배제하도록 한 정부 방안에 따른 조치입니다.
김 부본부장은 또 "요양시설 종사자와 발열 또는 호흡기 의심증상이 우려되는 입소자에 대해 매일 체온 측정 등 모니터링을 실시토록 했다"며 "시설 내 오염 가능한 표면은 청소 소독하고, 종사자는 마스크를 상시 착용토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늘(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전국 3만 7천여개 어린이집에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구입하도록 예비비 65억 6,20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김강립 부본부장은 "어린이집 지원은 코로나19 대비 방역물품 지원이 포함된 '2020년도 일반회계 일반예비비 지출안'이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유치원과 초중고교에도 방역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특별교부금이 지원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교육부는 특별교부금 249억 원을 전국 시도교육청에 긴급 지원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서 방역물품 구입을 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말했습니다.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일반회계 목적예비비 1,041억 원 지출안에는 '코로나19 국내 확산 방지를위한 긴급방역 대응조치 예산'과 '우한 귀국국민 임시시설 운영 지원'이 포함됐습니다.
지출안에는 ▲방역대응 체계 확충(41억 원), ▲검역·진단역량 강화(203억 원), ▲격리자 치료지원(313억 원), ▲방역물품 확충(277억 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원(153억 원), ▲우한 귀국 국민의 임시생활시설 운영(27억 원), ▲그 밖의 연구개발(10억 원), ▲홍보(17억 원) 등이 포함됐습니다.
전국 5,500여 개 요양시설과 7만 3000여명의 요양보호사에 대한 코로나19 감시도 강화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지난 1월 28일과 1월 31일, 2월 4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지자체와 건보공단, 요양시설협회에 시설 대응 요령을 통보했다"며 "어제 기준 시설에서 업무배제된 인원은 모두 68명이고 이 가운데 48명이 업무에 복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종사자가 중국 등 해외를 방문한 경우 업무를 배제하도록 한 정부 방안에 따른 조치입니다.
김 부본부장은 또 "요양시설 종사자와 발열 또는 호흡기 의심증상이 우려되는 입소자에 대해 매일 체온 측정 등 모니터링을 실시토록 했다"며 "시설 내 오염 가능한 표면은 청소 소독하고, 종사자는 마스크를 상시 착용토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어린이집 마스크 손소독제 구입비 65억 지원…68명 요양시설 업무배제”
-
- 입력 2020-02-18 12:17:02
- 수정2020-02-18 13:34:57

정부가 '코로나19' 감염 확산을 막기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마스크와 손소독제 구입비로 예비비 65억6200만원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요양시설에서 현재까지 업무배제된 사람은 모두 68명이며 이가운데 48명이 업무에 복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늘(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전국 3만 7천여개 어린이집에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구입하도록 예비비 65억 6,20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김강립 부본부장은 "어린이집 지원은 코로나19 대비 방역물품 지원이 포함된 '2020년도 일반회계 일반예비비 지출안'이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유치원과 초중고교에도 방역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특별교부금이 지원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교육부는 특별교부금 249억 원을 전국 시도교육청에 긴급 지원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서 방역물품 구입을 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말했습니다.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일반회계 목적예비비 1,041억 원 지출안에는 '코로나19 국내 확산 방지를위한 긴급방역 대응조치 예산'과 '우한 귀국국민 임시시설 운영 지원'이 포함됐습니다.
지출안에는 ▲방역대응 체계 확충(41억 원), ▲검역·진단역량 강화(203억 원), ▲격리자 치료지원(313억 원), ▲방역물품 확충(277억 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원(153억 원), ▲우한 귀국 국민의 임시생활시설 운영(27억 원), ▲그 밖의 연구개발(10억 원), ▲홍보(17억 원) 등이 포함됐습니다.
전국 5,500여 개 요양시설과 7만 3000여명의 요양보호사에 대한 코로나19 감시도 강화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지난 1월 28일과 1월 31일, 2월 4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지자체와 건보공단, 요양시설협회에 시설 대응 요령을 통보했다"며 "어제 기준 시설에서 업무배제된 인원은 모두 68명이고 이 가운데 48명이 업무에 복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종사자가 중국 등 해외를 방문한 경우 업무를 배제하도록 한 정부 방안에 따른 조치입니다.
김 부본부장은 또 "요양시설 종사자와 발열 또는 호흡기 의심증상이 우려되는 입소자에 대해 매일 체온 측정 등 모니터링을 실시토록 했다"며 "시설 내 오염 가능한 표면은 청소 소독하고, 종사자는 마스크를 상시 착용토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오늘(18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전국 3만 7천여개 어린이집에 마스크와 손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구입하도록 예비비 65억 6,200만원을 지원한다"고 밝혔습니다.
김강립 부본부장은 "어린이집 지원은 코로나19 대비 방역물품 지원이 포함된 '2020년도 일반회계 일반예비비 지출안'이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유치원과 초중고교에도 방역물품을 구입하기 위한 특별교부금이 지원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교육부는 특별교부금 249억 원을 전국 시도교육청에 긴급 지원해 유치원과 초중고교에서 방역물품 구입을 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고 말했습니다.
오늘(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일반회계 목적예비비 1,041억 원 지출안에는 '코로나19 국내 확산 방지를위한 긴급방역 대응조치 예산'과 '우한 귀국국민 임시시설 운영 지원'이 포함됐습니다.
지출안에는 ▲방역대응 체계 확충(41억 원), ▲검역·진단역량 강화(203억 원), ▲격리자 치료지원(313억 원), ▲방역물품 확충(277억 원),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 지원(153억 원), ▲우한 귀국 국민의 임시생활시설 운영(27억 원), ▲그 밖의 연구개발(10억 원), ▲홍보(17억 원) 등이 포함됐습니다.
전국 5,500여 개 요양시설과 7만 3000여명의 요양보호사에 대한 코로나19 감시도 강화됩니다.
김 부본부장은 "지난 1월 28일과 1월 31일, 2월 4일 등 세 차례에 걸쳐 지자체와 건보공단, 요양시설협회에 시설 대응 요령을 통보했다"며 "어제 기준 시설에서 업무배제된 인원은 모두 68명이고 이 가운데 48명이 업무에 복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는 종사자가 중국 등 해외를 방문한 경우 업무를 배제하도록 한 정부 방안에 따른 조치입니다.
김 부본부장은 또 "요양시설 종사자와 발열 또는 호흡기 의심증상이 우려되는 입소자에 대해 매일 체온 측정 등 모니터링을 실시토록 했다"며 "시설 내 오염 가능한 표면은 청소 소독하고, 종사자는 마스크를 상시 착용토록 했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민혁 기자 hyuk@kbs.co.kr
김민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