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러시아 항일독립운동 대부 최재형 선생 손자 최발렌틴 영결식 엄수
입력 2020.02.20 (12:41) 수정 2020.02.20 (12:45) 뉴스 12
[앵커]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의 영결식이 어제 모스크바에서 엄수됐습니다.
올해는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이 일본군에 의해 순국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여서 안타까움을 더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인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회장의 영결식이 엄수됐습니다.
지난 14일 향년 83세로 별세한 최 회장은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과 언론인 등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일대기를 알리는데 힘을 쏟았습니다.
[이석배/주러시아 대사 : "최 회장님의 노력 덕분에 최재형 선생을 비롯한 선조들의 고귀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은 시대를 초월한 교훈으로 우리들의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1860년 함경북도 경원에서 태어난 최재형 선생은 가족과 연해주로 이주한 후 자수성가한 동포 사업가로, 한인 교육사업과 무장 투쟁에 거액을 쾌척하고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는 등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러 하얼빈으로 떠나기 전, 최 선생의 집에 머물며 사격 연습을 했습니다.
최 선생은 1919년 4월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에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이어 1919년 1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단을 조직하고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다가, 1920년 4월 일본군에 연행된 뒤 순국했습니다.
[문영숙/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최재형 선생님 같은 분은 정말 많이 기려져야 하고, 우리가 경제적으로 나아졌을 때 나눔의 문화 노블레스 오블리주(도덕적 의무)를 실천하는 역할 모델이기도 하고..."]
정부는 최 선생의 공적을 기려 순국 42년 만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의 영결식이 어제 모스크바에서 엄수됐습니다.
올해는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이 일본군에 의해 순국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여서 안타까움을 더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인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회장의 영결식이 엄수됐습니다.
지난 14일 향년 83세로 별세한 최 회장은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과 언론인 등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일대기를 알리는데 힘을 쏟았습니다.
[이석배/주러시아 대사 : "최 회장님의 노력 덕분에 최재형 선생을 비롯한 선조들의 고귀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은 시대를 초월한 교훈으로 우리들의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1860년 함경북도 경원에서 태어난 최재형 선생은 가족과 연해주로 이주한 후 자수성가한 동포 사업가로, 한인 교육사업과 무장 투쟁에 거액을 쾌척하고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는 등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러 하얼빈으로 떠나기 전, 최 선생의 집에 머물며 사격 연습을 했습니다.
최 선생은 1919년 4월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에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이어 1919년 1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단을 조직하고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다가, 1920년 4월 일본군에 연행된 뒤 순국했습니다.
[문영숙/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최재형 선생님 같은 분은 정말 많이 기려져야 하고, 우리가 경제적으로 나아졌을 때 나눔의 문화 노블레스 오블리주(도덕적 의무)를 실천하는 역할 모델이기도 하고..."]
정부는 최 선생의 공적을 기려 순국 42년 만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러시아 항일독립운동 대부 최재형 선생 손자 최발렌틴 영결식 엄수
-
- 입력 2020-02-20 12:43:31
- 수정2020-02-20 12:45:17

[앵커]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의 영결식이 어제 모스크바에서 엄수됐습니다.
올해는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이 일본군에 의해 순국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여서 안타까움을 더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인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회장의 영결식이 엄수됐습니다.
지난 14일 향년 83세로 별세한 최 회장은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과 언론인 등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일대기를 알리는데 힘을 쏟았습니다.
[이석배/주러시아 대사 : "최 회장님의 노력 덕분에 최재형 선생을 비롯한 선조들의 고귀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은 시대를 초월한 교훈으로 우리들의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1860년 함경북도 경원에서 태어난 최재형 선생은 가족과 연해주로 이주한 후 자수성가한 동포 사업가로, 한인 교육사업과 무장 투쟁에 거액을 쾌척하고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는 등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러 하얼빈으로 떠나기 전, 최 선생의 집에 머물며 사격 연습을 했습니다.
최 선생은 1919년 4월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에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이어 1919년 1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단을 조직하고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다가, 1920년 4월 일본군에 연행된 뒤 순국했습니다.
[문영숙/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최재형 선생님 같은 분은 정말 많이 기려져야 하고, 우리가 경제적으로 나아졌을 때 나눔의 문화 노블레스 오블리주(도덕적 의무)를 실천하는 역할 모델이기도 하고..."]
정부는 최 선생의 공적을 기려 순국 42년 만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의 영결식이 어제 모스크바에서 엄수됐습니다.
올해는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이 일본군에 의해 순국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여서 안타까움을 더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김준호 특파원이 보도합니다.
[리포트]
러시아 항일독립운동의 대부인 최재형 선생의 손자 최발렌틴 회장의 영결식이 엄수됐습니다.
지난 14일 향년 83세로 별세한 최 회장은 러시아 한국독립유공자후손협회 회장과 언론인 등으로 활동하면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의 일대기를 알리는데 힘을 쏟았습니다.
[이석배/주러시아 대사 : "최 회장님의 노력 덕분에 최재형 선생을 비롯한 선조들의 고귀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은 시대를 초월한 교훈으로 우리들의 가슴에 남아 있습니다."]
1860년 함경북도 경원에서 태어난 최재형 선생은 가족과 연해주로 이주한 후 자수성가한 동포 사업가로, 한인 교육사업과 무장 투쟁에 거액을 쾌척하고 안중근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는 등 일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했습니다.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러 하얼빈으로 떠나기 전, 최 선생의 집에 머물며 사격 연습을 했습니다.
최 선생은 1919년 4월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에 선임되기도 했습니다.
이어 1919년 1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단을 조직하고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다가, 1920년 4월 일본군에 연행된 뒤 순국했습니다.
[문영숙/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최재형 선생님 같은 분은 정말 많이 기려져야 하고, 우리가 경제적으로 나아졌을 때 나눔의 문화 노블레스 오블리주(도덕적 의무)를 실천하는 역할 모델이기도 하고..."]
정부는 최 선생의 공적을 기려 순국 42년 만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습니다.
모스크바에서 KBS 뉴스 김준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12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준호 기자 jhk88@kbs.co.kr
김준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