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폐기용 마스크를 최대 3배나 비싸게 팔다 적발
입력 2020.02.20 (22:08) 수정 2020.02.20 (23:59) 뉴스9(대전)
[앵커멘트]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이 빚어지자
폐기용 마스크 수만 장을
대량 유통한 제조업자와 판매업자가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판매업자는
이렇게 사들인 불량 마스크에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했습니다.
박병준 기잡니다.
[리포트]
각종 캐릭터가 그려진
어린이용 마스크 입니다.
하지만 애초 허가내용엔
캐릭터 디자인이
들어있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제조업체는
지난해 11월 식약처로부터
전량 폐기 명령을 받았지만
업제 대표는 이를 어기고
마스크 5만 5천여 개를
소매업체에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김범수/충남경찰청 지능수사대장
"마스크 품귀현상이 벌어지니까 욕심이 좀 생겨서 폐기하지 않고 시중에 유통시켰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천 원에 팔던 마스크를
1,200원 꼴로 유통업자와
소매업체에 판매했고
소매업자는
이 마스크가 폐기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 등에
되팔았습니다.
제조업체로부터 6개들이
마스크 한 팩을
8천 원 가량에 사들인 소매업체는
소비자들에겐
최저 만 5천 원에서
최대 2만 7천 원씩 받고
온라인을 통해 판매했습니다.
경찰은
마스크 제조업체 대표 51살 A씨 등 3명을 사기와 약사법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또 해당 제품이
인체에 유해하진 않았다며
제품을 썼다고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KBS뉴스 박병준입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이 빚어지자
폐기용 마스크 수만 장을
대량 유통한 제조업자와 판매업자가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판매업자는
이렇게 사들인 불량 마스크에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했습니다.
박병준 기잡니다.
[리포트]
각종 캐릭터가 그려진
어린이용 마스크 입니다.
하지만 애초 허가내용엔
캐릭터 디자인이
들어있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제조업체는
지난해 11월 식약처로부터
전량 폐기 명령을 받았지만
업제 대표는 이를 어기고
마스크 5만 5천여 개를
소매업체에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김범수/충남경찰청 지능수사대장
"마스크 품귀현상이 벌어지니까 욕심이 좀 생겨서 폐기하지 않고 시중에 유통시켰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천 원에 팔던 마스크를
1,200원 꼴로 유통업자와
소매업체에 판매했고
소매업자는
이 마스크가 폐기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 등에
되팔았습니다.
제조업체로부터 6개들이
마스크 한 팩을
8천 원 가량에 사들인 소매업체는
소비자들에겐
최저 만 5천 원에서
최대 2만 7천 원씩 받고
온라인을 통해 판매했습니다.
경찰은
마스크 제조업체 대표 51살 A씨 등 3명을 사기와 약사법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또 해당 제품이
인체에 유해하진 않았다며
제품을 썼다고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KBS뉴스 박병준입니다.
- 폐기용 마스크를 최대 3배나 비싸게 팔다 적발
-
- 입력 2020-02-20 22:08:29
- 수정2020-02-20 23:59:23

[앵커멘트]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이 빚어지자
폐기용 마스크 수만 장을
대량 유통한 제조업자와 판매업자가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판매업자는
이렇게 사들인 불량 마스크에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했습니다.
박병준 기잡니다.
[리포트]
각종 캐릭터가 그려진
어린이용 마스크 입니다.
하지만 애초 허가내용엔
캐릭터 디자인이
들어있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제조업체는
지난해 11월 식약처로부터
전량 폐기 명령을 받았지만
업제 대표는 이를 어기고
마스크 5만 5천여 개를
소매업체에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김범수/충남경찰청 지능수사대장
"마스크 품귀현상이 벌어지니까 욕심이 좀 생겨서 폐기하지 않고 시중에 유통시켰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천 원에 팔던 마스크를
1,200원 꼴로 유통업자와
소매업체에 판매했고
소매업자는
이 마스크가 폐기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 등에
되팔았습니다.
제조업체로부터 6개들이
마스크 한 팩을
8천 원 가량에 사들인 소매업체는
소비자들에겐
최저 만 5천 원에서
최대 2만 7천 원씩 받고
온라인을 통해 판매했습니다.
경찰은
마스크 제조업체 대표 51살 A씨 등 3명을 사기와 약사법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또 해당 제품이
인체에 유해하진 않았다며
제품을 썼다고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KBS뉴스 박병준입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마스크 품귀 현상이 빚어지자
폐기용 마스크 수만 장을
대량 유통한 제조업자와 판매업자가
경찰에 적발됐습니다.
판매업자는
이렇게 사들인 불량 마스크에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했습니다.
박병준 기잡니다.
[리포트]
각종 캐릭터가 그려진
어린이용 마스크 입니다.
하지만 애초 허가내용엔
캐릭터 디자인이
들어있지 않았습니다.
이 때문에 제조업체는
지난해 11월 식약처로부터
전량 폐기 명령을 받았지만
업제 대표는 이를 어기고
마스크 5만 5천여 개를
소매업체에 판매하다
적발됐습니다.
[인터뷰]
김범수/충남경찰청 지능수사대장
"마스크 품귀현상이 벌어지니까 욕심이 좀 생겨서 폐기하지 않고 시중에 유통시켰다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체는
천 원에 팔던 마스크를
1,200원 꼴로 유통업자와
소매업체에 판매했고
소매업자는
이 마스크가 폐기 대상이라는
사실을 알고도
최대 3배의 이윤을 붙여
인터넷 중고거래 사이트 등에
되팔았습니다.
제조업체로부터 6개들이
마스크 한 팩을
8천 원 가량에 사들인 소매업체는
소비자들에겐
최저 만 5천 원에서
최대 2만 7천 원씩 받고
온라인을 통해 판매했습니다.
경찰은
마스크 제조업체 대표 51살 A씨 등 3명을 사기와 약사법위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습니다.
또 해당 제품이
인체에 유해하진 않았다며
제품을 썼다고 과도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KBS뉴스 박병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병준 기자 lol@kbs.co.kr
박병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