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슈퍼/로컬)시설.인력 부족 현실화...대책은?
입력 2020.02.20 (19:40) 포항
[앵커멘트]
이처럼 대구경북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의료 시설과 인력은 이미
한계에 이르렀습니다.
당장 확진 환자를
격리수용해야 하는
음압병실이 부족해
30여 명의 환자들이
병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확진자들이
격리 치료를 받고 있는
대구의료원 음압 병동입니다.

하지만 현재 병동를 비롯해
본관 32개 병실 전체가
확진자와 의심 환자들로 가득 차
추가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탭니다.

지역 내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이곳을 포함한
지역 병원들이 환자 수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대구의 음압병실은 70여곳/

확진자와 의심환자들로 이미
병실이 가득 찬 데다,
오늘 하루만 51명의 확진자가 추가되면서
30여 명이 병실을 배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대구의료원의
병동 하나를 비워
격리 병실 88개를 확보하고,
필요하면 다른 기관의 시설까지
동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경증 환자는
일반병실에 입원시킬 수 있도록
정부에 정책 전환을 요구했습니다.

권영진/대구시장[인터뷰]
"현재의 유입 및 확산 차단에 맞춰진 방역 대책으로는 지역 사회 감염 확산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정부의 전향적인 정책 방향의 전환을 (요청드립니다)."

인력 수급도 비상입니다.

확진자가 무더기로 확인되면서
검체도 쏟아지고 있지만,
대구.경북의 검체 검사기관은
두 곳뿐입니다.

[녹취]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음성 변조)
"어제 같은 경우에는 한 90건, 원래 있던 인력으로는 도저히 해낼 수가 없죠. 다른 옆에 있는 여러 부서들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또 확진자와의 접촉자가
수천 명을 넘어서고 있지만
대구.경북의 역학조사관은
23명에 불과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인근 광역단체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지만,
예상보다 빠른 확산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슈퍼/로컬)시설.인력 부족 현실화...대책은?
    • 입력 2020-02-21 16:22:11
    포항
[앵커멘트]
이처럼 대구경북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의료 시설과 인력은 이미
한계에 이르렀습니다.
당장 확진 환자를
격리수용해야 하는
음압병실이 부족해
30여 명의 환자들이
병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코로나19 확진자들이
격리 치료를 받고 있는
대구의료원 음압 병동입니다.

하지만 현재 병동를 비롯해
본관 32개 병실 전체가
확진자와 의심 환자들로 가득 차
추가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탭니다.

지역 내 코로나19 환자가
급증하면서 이곳을 포함한
지역 병원들이 환자 수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대구의 음압병실은 70여곳/

확진자와 의심환자들로 이미
병실이 가득 찬 데다,
오늘 하루만 51명의 확진자가 추가되면서
30여 명이 병실을 배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대구시는 대구의료원의
병동 하나를 비워
격리 병실 88개를 확보하고,
필요하면 다른 기관의 시설까지
동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경증 환자는
일반병실에 입원시킬 수 있도록
정부에 정책 전환을 요구했습니다.

권영진/대구시장[인터뷰]
"현재의 유입 및 확산 차단에 맞춰진 방역 대책으로는 지역 사회 감염 확산을 막아내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정부의 전향적인 정책 방향의 전환을 (요청드립니다)."

인력 수급도 비상입니다.

확진자가 무더기로 확인되면서
검체도 쏟아지고 있지만,
대구.경북의 검체 검사기관은
두 곳뿐입니다.

[녹취]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음성 변조)
"어제 같은 경우에는 한 90건, 원래 있던 인력으로는 도저히 해낼 수가 없죠. 다른 옆에 있는 여러 부서들이 (투입되고 있습니다)."

또 확진자와의 접촉자가
수천 명을 넘어서고 있지만
대구.경북의 역학조사관은
23명에 불과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인근 광역단체의 인력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지만,
예상보다 빠른 확산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지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