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유학생 입국 관리 비상
입력 2020.02.24 (18:00)
수정 2020.02.25 (0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한
충북 지역에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이
시작됐습니다.
대학마다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유학생을 공항에서 학교까지 이송하고
기숙사 격리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유학생의 격리를 강제할 수 없어
통제가 제대로 될지 어려움이 많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대학 기숙사에
버스 한 대가 도착합니다.
중국에서 입국한 유학생을
인천공항에서 직접 태우고 온 겁니다.
코로나 19 확산에 대비해
입국 직후부터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려는 조치입니다.
첫날 버스를 타고 온
유학생은 19명.
기숙사 입구에서
손 세정제를 바르고,
열화상 카메라를 지나
준비된 방으로 입실합니다.
이들은 이곳에서
잠복기인 14일 동안 생활 하며
건물 밖 출입이 제한됩니다.
하루에 2차례 체온을 재고,
건강 상태를 직접 기록합니다.
하루 2번 소독도 이뤄집니다.
송기동 사무국장/충북대학교[인터뷰]
"(학생들은) 출입이 통제되고, 일일 삼식은 도시락이 제공됩니다."
다음 달 초까지 입국하는
충북지역 중국인 유학생은 1,300여 명.
문제는 '자율 격리'라
기숙사를 나와 캠퍼스를 활보해도
확인하거나 제지할 방법은 없습니다.
더욱이 기숙사에 수용하지 못한
학교 밖 중국인 유학생은
현실적으로 통제가 어렵습니다.
대학 관계자[녹취]
"자취방에 있는 아이들이 나간다고 해서
우리가 일일이 앞에서 감시할 수도 없는 거고 참 난감하죠"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학생 책임자를 정해
학생 관리를 맡기거나
문제 발생 시 책임을 묻는
서약서를 받는 등 대학마다 유학생
관리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인 유학생 격리 방안은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인 만큼
자치단체의 협조와
유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는 게 관건입니다.
케이비에스 뉴스 권기현입니다.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한
충북 지역에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이
시작됐습니다.
대학마다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유학생을 공항에서 학교까지 이송하고
기숙사 격리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유학생의 격리를 강제할 수 없어
통제가 제대로 될지 어려움이 많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대학 기숙사에
버스 한 대가 도착합니다.
중국에서 입국한 유학생을
인천공항에서 직접 태우고 온 겁니다.
코로나 19 확산에 대비해
입국 직후부터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려는 조치입니다.
첫날 버스를 타고 온
유학생은 19명.
기숙사 입구에서
손 세정제를 바르고,
열화상 카메라를 지나
준비된 방으로 입실합니다.
이들은 이곳에서
잠복기인 14일 동안 생활 하며
건물 밖 출입이 제한됩니다.
하루에 2차례 체온을 재고,
건강 상태를 직접 기록합니다.
하루 2번 소독도 이뤄집니다.
송기동 사무국장/충북대학교[인터뷰]
"(학생들은) 출입이 통제되고, 일일 삼식은 도시락이 제공됩니다."
다음 달 초까지 입국하는
충북지역 중국인 유학생은 1,300여 명.
문제는 '자율 격리'라
기숙사를 나와 캠퍼스를 활보해도
확인하거나 제지할 방법은 없습니다.
더욱이 기숙사에 수용하지 못한
학교 밖 중국인 유학생은
현실적으로 통제가 어렵습니다.
대학 관계자[녹취]
"자취방에 있는 아이들이 나간다고 해서
우리가 일일이 앞에서 감시할 수도 없는 거고 참 난감하죠"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학생 책임자를 정해
학생 관리를 맡기거나
문제 발생 시 책임을 묻는
서약서를 받는 등 대학마다 유학생
관리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인 유학생 격리 방안은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인 만큼
자치단체의 협조와
유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는 게 관건입니다.
케이비에스 뉴스 권기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인 유학생 입국 관리 비상
-
- 입력 2020-02-25 00:01:44
- 수정2020-02-25 00:03:16

[앵커멘트]
코로나 19 확진자가 발생한
충북 지역에 중국인 유학생의 입국이
시작됐습니다.
대학마다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유학생을 공항에서 학교까지 이송하고
기숙사 격리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유학생의 격리를 강제할 수 없어
통제가 제대로 될지 어려움이 많습니다.
권기현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청주의 한 대학 기숙사에
버스 한 대가 도착합니다.
중국에서 입국한 유학생을
인천공항에서 직접 태우고 온 겁니다.
코로나 19 확산에 대비해
입국 직후부터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려는 조치입니다.
첫날 버스를 타고 온
유학생은 19명.
기숙사 입구에서
손 세정제를 바르고,
열화상 카메라를 지나
준비된 방으로 입실합니다.
이들은 이곳에서
잠복기인 14일 동안 생활 하며
건물 밖 출입이 제한됩니다.
하루에 2차례 체온을 재고,
건강 상태를 직접 기록합니다.
하루 2번 소독도 이뤄집니다.
송기동 사무국장/충북대학교[인터뷰]
"(학생들은) 출입이 통제되고, 일일 삼식은 도시락이 제공됩니다."
다음 달 초까지 입국하는
충북지역 중국인 유학생은 1,300여 명.
문제는 '자율 격리'라
기숙사를 나와 캠퍼스를 활보해도
확인하거나 제지할 방법은 없습니다.
더욱이 기숙사에 수용하지 못한
학교 밖 중국인 유학생은
현실적으로 통제가 어렵습니다.
대학 관계자[녹취]
"자취방에 있는 아이들이 나간다고 해서
우리가 일일이 앞에서 감시할 수도 없는 거고 참 난감하죠"
사정이 이렇다 보니
유학생 책임자를 정해
학생 관리를 맡기거나
문제 발생 시 책임을 묻는
서약서를 받는 등 대학마다 유학생
관리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인 유학생 격리 방안은 강제성이 없는
권고 사항인 만큼
자치단체의 협조와
유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는 게 관건입니다.
케이비에스 뉴스 권기현입니다.
-
-
권기현 기자 js-kwon@kbs.co.kr
권기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