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오늘 강원] 6개 시군 하나로 묶은 ‘괴물 선거구’…강원 정치권 ‘반발’
입력 2020.03.04 (20:22) 수정 2020.03.05 (03:31) 뉴스7(춘천)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어제(3일)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놓은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여야 모두 한목소리로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급기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선거구 획정안을 다시 만들어달라고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엄기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은 이번 선거구 획정안을 역대 최악의 선거구로 규정했습니다.

무려 6개 시군을 묶는 사상 초유의 괴물 선거구는 공직선거법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겁니다.

[허영/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 : "(획정안은) 서울의 강남을 살리기 위한 안입니다. 강남 주민이 150만 강원도민보다 더 위에 있는 것 입니까?"]

미래통합당 강원도당 역시, 수용불가 방침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이번 획정안의 문제는 단순히 국회의원의 지역대표성이 아닌 도민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권성동/미래통합당 강원도당위원장 : "심재철 대표에게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춘천만 분구해서 9석 만드는 방안에 대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정의당 강원도당도 지역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획정안을 철회하라고 촉구했고, 강원도의회는 이번 선거에서 투표를 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수철/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 : "선거구 재획정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에는 4‧15 총선을 보이콧 함은 물론 대정부 투쟁을 위한 총궐기도 불사할 것이다."]

반발이 이어지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선거구획정위원회에 선거구를 다시 짜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번에 나온 안이 법에서 정한 인구 수 기준을 위반했고, 농산어촌의 지역 대표성도 반영하지 못했다는 이윱니다.

하지만, 여기서 더 발전된 안이 나올 수 있을지는 미지숩니다.

또, 선거구를 다시 손질하다보면, 자칫 선거 일정 전체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선거법 개정이 불발돼 이번 선거는 현행 선거구로 치러질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 [오늘 강원] 6개 시군 하나로 묶은 ‘괴물 선거구’…강원 정치권 ‘반발’
    • 입력 2020-03-04 20:22:24
    • 수정2020-03-05 03:31:10
    뉴스7(춘천)
[앵커]

어제(3일) 선거구획정위원회가 내놓은 선거구 획정안에 대해 여야 모두 한목소리로 비판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급기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선거구 획정안을 다시 만들어달라고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엄기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은 이번 선거구 획정안을 역대 최악의 선거구로 규정했습니다.

무려 6개 시군을 묶는 사상 초유의 괴물 선거구는 공직선거법의 취지에 어긋난다는 겁니다.

[허영/더불어민주당 강원도당위원장 : "(획정안은) 서울의 강남을 살리기 위한 안입니다. 강남 주민이 150만 강원도민보다 더 위에 있는 것 입니까?"]

미래통합당 강원도당 역시, 수용불가 방침을 명확히 했습니다.

특히, 이번 획정안의 문제는 단순히 국회의원의 지역대표성이 아닌 도민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권성동/미래통합당 강원도당위원장 : "심재철 대표에게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춘천만 분구해서 9석 만드는 방안에 대해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정의당 강원도당도 지역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며 획정안을 철회하라고 촉구했고, 강원도의회는 이번 선거에서 투표를 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수철/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 : "선거구 재획정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에는 4‧15 총선을 보이콧 함은 물론 대정부 투쟁을 위한 총궐기도 불사할 것이다."]

반발이 이어지자 국회 행정안전위원회는 선거구획정위원회에 선거구를 다시 짜 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이번에 나온 안이 법에서 정한 인구 수 기준을 위반했고, 농산어촌의 지역 대표성도 반영하지 못했다는 이윱니다.

하지만, 여기서 더 발전된 안이 나올 수 있을지는 미지숩니다.

또, 선거구를 다시 손질하다보면, 자칫 선거 일정 전체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선거법 개정이 불발돼 이번 선거는 현행 선거구로 치러질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