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방학에 개학 연기까지…비상시 근로자 ‘생계 막막’
입력 2020.03.04 (20:56) 수정 2020.03.04 (21:44) 뉴스7(전주)
[앵커]
학교 현장에서는 급식 종사자처럼 방학 중에 일하지 못하는 직종이 적지 않는데요.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한달 가까이 늦춰지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제의 한 초등학교에서 8년째 조리 종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이순화 씨.
방학에는 일을 쉬어야 해 한해 근무 기간은 2백90여 일에 불과합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3주나 미뤄지면서 무급 휴직 기간이 더 늘었습니다.
[이순화/학교 조리종사원 : "(개학이) 9일까지 연기됐을 때는 그래도 국가적 재난이기 때문에 감안하고 감수하려고 했는데, 개학이 (추가) 연기됐잖아요."]
이씨처럼 방학 기간에 일을 하지 못하는 비상시 근로자는 전북에서만 12개 직종에, 5천 명이 넘습니다.
방학 기간에다, 한 달 더 급여를 못 받게 될 처지에 놓이면서 대책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일반 교사처럼 출근을 보장하거나, 휴업 수당을 달라는 게 이들의 주장입니다.
[최승희/전국여성노조 전북지부장 : "교육청에서는 강제적으로 무급휴업을 명령했습니다. 어찌 이런 상황에서 모든 고통을 제일 열악한 곳에서 근무하는 학교 비정규직자에게 희생을 강요한단 말입니까."]
전북교육청은 학교 현장에 나오더라도 당장 할 일이 없고, 휴업 수당 역시 법적 근거가 없어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개학이 미뤄져 그만큼 수업 일수를 채우려면 다음 방학이 줄고 근무일도 늘어나기 마련이라며 이렇다할 대책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김형기/전북교육청 행정과장 : "연초에 근로하지 않더라도 연간 정해진 총 근로일수, 통상 295일 정도 되거든요. 우리는 그것은 정확히 지킨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급식 종사자처럼 방학 중에 일하지 못하는 직종이 적지 않는데요.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한달 가까이 늦춰지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제의 한 초등학교에서 8년째 조리 종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이순화 씨.
방학에는 일을 쉬어야 해 한해 근무 기간은 2백90여 일에 불과합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3주나 미뤄지면서 무급 휴직 기간이 더 늘었습니다.
[이순화/학교 조리종사원 : "(개학이) 9일까지 연기됐을 때는 그래도 국가적 재난이기 때문에 감안하고 감수하려고 했는데, 개학이 (추가) 연기됐잖아요."]
이씨처럼 방학 기간에 일을 하지 못하는 비상시 근로자는 전북에서만 12개 직종에, 5천 명이 넘습니다.
방학 기간에다, 한 달 더 급여를 못 받게 될 처지에 놓이면서 대책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일반 교사처럼 출근을 보장하거나, 휴업 수당을 달라는 게 이들의 주장입니다.
[최승희/전국여성노조 전북지부장 : "교육청에서는 강제적으로 무급휴업을 명령했습니다. 어찌 이런 상황에서 모든 고통을 제일 열악한 곳에서 근무하는 학교 비정규직자에게 희생을 강요한단 말입니까."]
전북교육청은 학교 현장에 나오더라도 당장 할 일이 없고, 휴업 수당 역시 법적 근거가 없어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개학이 미뤄져 그만큼 수업 일수를 채우려면 다음 방학이 줄고 근무일도 늘어나기 마련이라며 이렇다할 대책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김형기/전북교육청 행정과장 : "연초에 근로하지 않더라도 연간 정해진 총 근로일수, 통상 295일 정도 되거든요. 우리는 그것은 정확히 지킨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 방학에 개학 연기까지…비상시 근로자 ‘생계 막막’
-
- 입력 2020-03-04 20:56:13
- 수정2020-03-04 21:44:11

[앵커]
학교 현장에서는 급식 종사자처럼 방학 중에 일하지 못하는 직종이 적지 않는데요.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한달 가까이 늦춰지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제의 한 초등학교에서 8년째 조리 종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이순화 씨.
방학에는 일을 쉬어야 해 한해 근무 기간은 2백90여 일에 불과합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3주나 미뤄지면서 무급 휴직 기간이 더 늘었습니다.
[이순화/학교 조리종사원 : "(개학이) 9일까지 연기됐을 때는 그래도 국가적 재난이기 때문에 감안하고 감수하려고 했는데, 개학이 (추가) 연기됐잖아요."]
이씨처럼 방학 기간에 일을 하지 못하는 비상시 근로자는 전북에서만 12개 직종에, 5천 명이 넘습니다.
방학 기간에다, 한 달 더 급여를 못 받게 될 처지에 놓이면서 대책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일반 교사처럼 출근을 보장하거나, 휴업 수당을 달라는 게 이들의 주장입니다.
[최승희/전국여성노조 전북지부장 : "교육청에서는 강제적으로 무급휴업을 명령했습니다. 어찌 이런 상황에서 모든 고통을 제일 열악한 곳에서 근무하는 학교 비정규직자에게 희생을 강요한단 말입니까."]
전북교육청은 학교 현장에 나오더라도 당장 할 일이 없고, 휴업 수당 역시 법적 근거가 없어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개학이 미뤄져 그만큼 수업 일수를 채우려면 다음 방학이 줄고 근무일도 늘어나기 마련이라며 이렇다할 대책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김형기/전북교육청 행정과장 : "연초에 근로하지 않더라도 연간 정해진 총 근로일수, 통상 295일 정도 되거든요. 우리는 그것은 정확히 지킨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학교 현장에서는 급식 종사자처럼 방학 중에 일하지 못하는 직종이 적지 않는데요.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한달 가까이 늦춰지면서,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조경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제의 한 초등학교에서 8년째 조리 종사원으로 일하고 있는 이순화 씨.
방학에는 일을 쉬어야 해 한해 근무 기간은 2백90여 일에 불과합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로 학교 개학이 3주나 미뤄지면서 무급 휴직 기간이 더 늘었습니다.
[이순화/학교 조리종사원 : "(개학이) 9일까지 연기됐을 때는 그래도 국가적 재난이기 때문에 감안하고 감수하려고 했는데, 개학이 (추가) 연기됐잖아요."]
이씨처럼 방학 기간에 일을 하지 못하는 비상시 근로자는 전북에서만 12개 직종에, 5천 명이 넘습니다.
방학 기간에다, 한 달 더 급여를 못 받게 될 처지에 놓이면서 대책을 호소하고 나섰습니다.
일반 교사처럼 출근을 보장하거나, 휴업 수당을 달라는 게 이들의 주장입니다.
[최승희/전국여성노조 전북지부장 : "교육청에서는 강제적으로 무급휴업을 명령했습니다. 어찌 이런 상황에서 모든 고통을 제일 열악한 곳에서 근무하는 학교 비정규직자에게 희생을 강요한단 말입니까."]
전북교육청은 학교 현장에 나오더라도 당장 할 일이 없고, 휴업 수당 역시 법적 근거가 없어 지급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개학이 미뤄져 그만큼 수업 일수를 채우려면 다음 방학이 줄고 근무일도 늘어나기 마련이라며 이렇다할 대책은 내놓지 않았습니다.
[김형기/전북교육청 행정과장 : "연초에 근로하지 않더라도 연간 정해진 총 근로일수, 통상 295일 정도 되거든요. 우리는 그것은 정확히 지킨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위한 보다 세심한 배려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조경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7(전주)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조경모 기자 jkm@kbs.co.kr
조경모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