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공적 마스크 ‘대란’…소외계층은 마스크에서 ‘소외’
입력 2020.03.04 (18:20) 수정 2020.03.05 (16:40) 뉴스광장(광주)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공적 마스크 판매를 시작한지 일주일이 지난 오늘도 마스크를 구입하기 위한 줄은 어김없이 이어졌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과 지역 소외계층들은 새 마스크를 구매하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김서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두툼한 옷 차림에 양 주머니에 손을 꼭 넣은 사람들이 줄을 섰습니다.
     
'마스크 대기줄' 표시 뒤로 공적 마스크를 사려는 행렬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오후 2시부터 마스크 판매를 시작하지만, 며칠 동안 헛걸음을 하게되자 새벽부터 사람들이 몰리는 겁니다.
     
[김길남/광주 서구 화정동 : “6시 10분쯤 여기 도착했어요. 어제도 11시쯤 왔는데, 다 번호표가 매진 돼 가지고 못 타고, 또 그 전날에도 12시쯤에 왔는데 또 하나도 못 타고 갔거든요.”]
     
정부가 공적 판매처에 마스크 당일 생산량 50% 이상을 출고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

사정은 지자체도 마찬가집니다.

공적 판매처에서 지자체가 빠지면서 지역 소외계층에게 돌아갈 마스크 조달 계획도 막혔습니다.
     
[이가현/광산구청 복지정책과 팀장 : “공적 공급체에서 지자체는 빠진다고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그래서 저희가 그 계약을 못하게 됐어요. 그러고 나서 지금까지 계속 업체를 찾아보고는 있는데...”]
     
자치단체의 마스크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취약 계층은 무방비 상태입니다. 
    
[조학술/광주 광산구 : “두 개에요 두 개. 이거 하나 주고 이거. (이걸로 계속 쓰시고 있는거에요?) 없는데 어떻게 하겠어.”]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지역 소외계층들은 마스크 구입에서도 소외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서정입니다. 
  • 공적 마스크 ‘대란’…소외계층은 마스크에서 ‘소외’
    • 입력 2020-03-05 09:09:39
    • 수정2020-03-05 16:40:44
    뉴스광장(광주)
[앵커]

공적 마스크 판매를 시작한지 일주일이 지난 오늘도 마스크를 구입하기 위한 줄은 어김없이 이어졌습니다.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과 지역 소외계층들은 새 마스크를 구매하는 것은 생각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김서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른 아침, 두툼한 옷 차림에 양 주머니에 손을 꼭 넣은 사람들이 줄을 섰습니다.
     
'마스크 대기줄' 표시 뒤로 공적 마스크를 사려는 행렬은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입니다.
     
오후 2시부터 마스크 판매를 시작하지만, 며칠 동안 헛걸음을 하게되자 새벽부터 사람들이 몰리는 겁니다.
     
[김길남/광주 서구 화정동 : “6시 10분쯤 여기 도착했어요. 어제도 11시쯤 왔는데, 다 번호표가 매진 돼 가지고 못 타고, 또 그 전날에도 12시쯤에 왔는데 또 하나도 못 타고 갔거든요.”]
     
정부가 공적 판매처에 마스크 당일 생산량 50% 이상을 출고하고 있지만, 여전히 수요를 못 따라가는 상황.

사정은 지자체도 마찬가집니다.

공적 판매처에서 지자체가 빠지면서 지역 소외계층에게 돌아갈 마스크 조달 계획도 막혔습니다.
     
[이가현/광산구청 복지정책과 팀장 : “공적 공급체에서 지자체는 빠진다고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그래서 저희가 그 계약을 못하게 됐어요. 그러고 나서 지금까지 계속 업체를 찾아보고는 있는데...”]
     
자치단체의 마스크 공급이 차질을 빚으면서 취약 계층은 무방비 상태입니다. 
    
[조학술/광주 광산구 : “두 개에요 두 개. 이거 하나 주고 이거. (이걸로 계속 쓰시고 있는거에요?) 없는데 어떻게 하겠어.”]

지역사회 감염 우려가 높아지고 있지만 지역 소외계층들은 마스크 구입에서도 소외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서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