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서 또 확진자 반려견 코로나19 양성…2살 셰퍼드 품종

입력 2020.03.20 (10:44) 수정 2020.03.20 (10: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콩에서 코로나19 확진자의 반려견이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사례가 또 나왔습니다.

오늘자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홍콩 당국은 최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30세 여성의 2살짜리 셰퍼드 품종 반려견이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 반려견은 코로나19 증상을 보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홍콩 폭푸람 지역에 사는 이 여성은 최근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여행하고 돌아온 뒤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나타냈으며, 이후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여성은 또 4살짜리 반려견도 키우고 있었으나, 이 반려견은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였습니다.

현재 두 반려견은 이 여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모두 동물 보호 시설에 격리됐습니다.

앞서 홍콩에서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였던 60세 여성의 포메라니안 품종 반려견이 지난달 말과 이달 초 수차례 코로나19 검사에서 약한 양성 반응을 나타냈고, 지난 16일 숨진 사례가 있었습니다.

홍콩대 말릭 페이리스 교수는 "두 반려견의 사례는 사람에게서 개로 코로나19가 전파된 사례로 여겨진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홍콩 당국은 "개, 고양이 등 포유류 반려동물을 데리고 있는 사람은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반려동물을 격리 시설에 맡겨야 한다"면서 "반려동물에게서 사람에게로 코로나19가 전파되거나, 반려동물이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다는 증거는 전혀 없으므로 반려동물을 버려서는 절대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지난 16일 죽은 포메라니안 품종 반려견은 17살로 나이가 많았던 데다, 기저질환까지 있어 사망한 것일 뿐 코로나19에 감염돼 죽은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
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홍콩서 또 확진자 반려견 코로나19 양성…2살 셰퍼드 품종
    • 입력 2020-03-20 10:44:27
    • 수정2020-03-20 10:48:05
    국제
홍콩에서 코로나19 확진자의 반려견이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인 사례가 또 나왔습니다.

오늘자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홍콩 당국은 최근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30세 여성의 2살짜리 셰퍼드 품종 반려견이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전했습니다.

다만 이 반려견은 코로나19 증상을 보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홍콩 폭푸람 지역에 사는 이 여성은 최근 프랑스 파리와 영국 런던을 여행하고 돌아온 뒤 코로나19 의심 증상을 나타냈으며, 이후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여성은 또 4살짜리 반려견도 키우고 있었으나, 이 반려견은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반응을 보였습니다.

현재 두 반려견은 이 여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모두 동물 보호 시설에 격리됐습니다.

앞서 홍콩에서는 코로나19 확진 환자였던 60세 여성의 포메라니안 품종 반려견이 지난달 말과 이달 초 수차례 코로나19 검사에서 약한 양성 반응을 나타냈고, 지난 16일 숨진 사례가 있었습니다.

홍콩대 말릭 페이리스 교수는 "두 반려견의 사례는 사람에게서 개로 코로나19가 전파된 사례로 여겨진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홍콩 당국은 "개, 고양이 등 포유류 반려동물을 데리고 있는 사람은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반려동물을 격리 시설에 맡겨야 한다"면서 "반려동물에게서 사람에게로 코로나19가 전파되거나, 반려동물이 코로나19 증상을 나타낸다는 증거는 전혀 없으므로 반려동물을 버려서는 절대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지난 16일 죽은 포메라니안 품종 반려견은 17살로 나이가 많았던 데다, 기저질환까지 있어 사망한 것일 뿐 코로나19에 감염돼 죽은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 ‘코로나19 팩트체크’ 제대로 알아야 이긴다 바로가기
http://news.kbs.co.kr/issue/IssueView.do?icd=19589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