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기업 체감경기도 ‘바닥’
입력 2020.04.01 (10:31)
수정 2020.04.02 (06:0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지역의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 역시 갈수록 나빠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코로나19로 중국산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현대자동차.
트럭과 버스 라인이 열흘가량 멈춰 서면서, 생산량이 전달보다 50퍼센트 넘게 줄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2월 전북지역 산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8.6퍼센트나 감소했습니다.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물량을 줄인 2천14년 이후 최대 낙폭입니다.
[김미애/통계청 전주사무소장 : "2014년 8월 13.5퍼센트 감소한 이래로 5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올해 같은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자동차 부품 수입이 중단됐습니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코로나19가 확산세를 멈추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전북지역 BSI, 즉 기업경기 실사지수를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지수가 장기 평균보다 17포인트 이상 떨어졌습니다.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겁니다.
4월 전망도 어두워 전달보다 각각 2포인트와 5포인트 더 낮습니다.
내수부진과 불확실한 경제 상황, 인력난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양준빈/한국은행 전북본부 조사역 : "대다수 업체가 현재 업황을 나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평가는 다음달(4월)에도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확산세를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최악의 사태에 대비한 선제적인 기업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코로나19 여파로 지역의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 역시 갈수록 나빠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코로나19로 중국산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현대자동차.
트럭과 버스 라인이 열흘가량 멈춰 서면서, 생산량이 전달보다 50퍼센트 넘게 줄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2월 전북지역 산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8.6퍼센트나 감소했습니다.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물량을 줄인 2천14년 이후 최대 낙폭입니다.
[김미애/통계청 전주사무소장 : "2014년 8월 13.5퍼센트 감소한 이래로 5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올해 같은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자동차 부품 수입이 중단됐습니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코로나19가 확산세를 멈추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전북지역 BSI, 즉 기업경기 실사지수를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지수가 장기 평균보다 17포인트 이상 떨어졌습니다.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겁니다.
4월 전망도 어두워 전달보다 각각 2포인트와 5포인트 더 낮습니다.
내수부진과 불확실한 경제 상황, 인력난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양준빈/한국은행 전북본부 조사역 : "대다수 업체가 현재 업황을 나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평가는 다음달(4월)에도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확산세를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최악의 사태에 대비한 선제적인 기업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19 여파…기업 체감경기도 ‘바닥’
-
- 입력 2020-04-01 10:31:47
- 수정2020-04-02 06:09:16

[앵커]
코로나19 여파로 지역의 소비심리가 꽁꽁 얼어붙고 있는데요,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 경기 역시 갈수록 나빠지고 있습니다.
보도에 서승신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월 코로나19로 중국산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은 현대자동차.
트럭과 버스 라인이 열흘가량 멈춰 서면서, 생산량이 전달보다 50퍼센트 넘게 줄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2월 전북지역 산업 생산은 한 달 전보다 8.6퍼센트나 감소했습니다.
한국지엠이 군산공장 물량을 줄인 2천14년 이후 최대 낙폭입니다.
[김미애/통계청 전주사무소장 : "2014년 8월 13.5퍼센트 감소한 이래로 5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올해 같은 경우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자동차 부품 수입이 중단됐습니다."]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코로나19가 확산세를 멈추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3월 전북지역 BSI, 즉 기업경기 실사지수를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지수가 장기 평균보다 17포인트 이상 떨어졌습니다.
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그만큼 좋지 않다는 겁니다.
4월 전망도 어두워 전달보다 각각 2포인트와 5포인트 더 낮습니다.
내수부진과 불확실한 경제 상황, 인력난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양준빈/한국은행 전북본부 조사역 : "대다수 업체가 현재 업황을 나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러한 평가는 다음달(4월)에도 크게 바뀌지 않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확산세를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최악의 사태에 대비한 선제적인 기업 지원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서승신입니다.
-
-
서승신 기자 sss4854@kbs.co.kr
서승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