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뀐 소비패턴…판매량·가격 영향
입력 2020.04.14 (22:25) 수정 2020.04.14 (22:25) 뉴스9(대전)
[앵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하면서 외식 대신 집밥 먹는 시간이 많이 늘고 있는데요.
이같은 소비 패턴이 농축산물의 품목별 판매량과 가격에도 큰 영향을 주면도 가정 경제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냉동창고에 들어가자 부위별로 손질된 소고기가 쌓여 있습니다.
명절 특수가 아니면 냉동으로 잘 보관하지 않는 한우 갈비도 눈에 띕니다.
한우 부위 중에서도 식당에서 주로 소비되는 갈비나 등심은 재고가 쌓이는 반면, 가정용 국거리 등으로 쓰이는 우둔이나 양지는 판매량이 10~15%가량 늘었습니다.
돼지고기도 도매가를 기준으로 kg당 가격이 3천4백 원에서 4천5백 원으로 두 달 사이 천원 가량 올랐습니다.
[안찬일/홍성농협 하나로마트 축산팀장 : "돼지고기는 보편적으로 다 잘 나가고요. 소고기 같은 경우는 국거리나 불고기를 좀 더 많이 찾는 편이에요."]
농산물 역시 양배추나 배추, 토마토, 참외 등 가정에서 선호하는 채소나 과일 품목은 가격이 최대 2배로 올랐지만, 주로 급식이나 식당에서 소비하는 대파나 마늘, 피망, 쌈채소류 등은 가격이 20% 이상 떨어졌습니다.
[이상희/홍성군 홍성읍 : "다 온라인 강의를 하기 때문에 집에서 많이 (먹어요.) 외식은 잘 안하는 편이고요. 오렌지하고 참외하고 그런거 주로 많이 먹고, 된장찌개에는 야채 애호박이라든지 양파, 감자, 이런거 많이 넣어 가지고..."]
코로나19로 바뀐 생활 패턴과 소비 성향으로 인해 외식업체는 경영난이 가중되고 가정에서는 식료품 재료 가격이 올라 이래 저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하면서 외식 대신 집밥 먹는 시간이 많이 늘고 있는데요.
이같은 소비 패턴이 농축산물의 품목별 판매량과 가격에도 큰 영향을 주면도 가정 경제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냉동창고에 들어가자 부위별로 손질된 소고기가 쌓여 있습니다.
명절 특수가 아니면 냉동으로 잘 보관하지 않는 한우 갈비도 눈에 띕니다.
한우 부위 중에서도 식당에서 주로 소비되는 갈비나 등심은 재고가 쌓이는 반면, 가정용 국거리 등으로 쓰이는 우둔이나 양지는 판매량이 10~15%가량 늘었습니다.
돼지고기도 도매가를 기준으로 kg당 가격이 3천4백 원에서 4천5백 원으로 두 달 사이 천원 가량 올랐습니다.
[안찬일/홍성농협 하나로마트 축산팀장 : "돼지고기는 보편적으로 다 잘 나가고요. 소고기 같은 경우는 국거리나 불고기를 좀 더 많이 찾는 편이에요."]
농산물 역시 양배추나 배추, 토마토, 참외 등 가정에서 선호하는 채소나 과일 품목은 가격이 최대 2배로 올랐지만, 주로 급식이나 식당에서 소비하는 대파나 마늘, 피망, 쌈채소류 등은 가격이 20% 이상 떨어졌습니다.
[이상희/홍성군 홍성읍 : "다 온라인 강의를 하기 때문에 집에서 많이 (먹어요.) 외식은 잘 안하는 편이고요. 오렌지하고 참외하고 그런거 주로 많이 먹고, 된장찌개에는 야채 애호박이라든지 양파, 감자, 이런거 많이 넣어 가지고..."]
코로나19로 바뀐 생활 패턴과 소비 성향으로 인해 외식업체는 경영난이 가중되고 가정에서는 식료품 재료 가격이 올라 이래 저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 바뀐 소비패턴…판매량·가격 영향
-
- 입력 2020-04-14 22:25:36
- 수정2020-04-14 22:25:37

[앵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하면서 외식 대신 집밥 먹는 시간이 많이 늘고 있는데요.
이같은 소비 패턴이 농축산물의 품목별 판매량과 가격에도 큰 영향을 주면도 가정 경제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냉동창고에 들어가자 부위별로 손질된 소고기가 쌓여 있습니다.
명절 특수가 아니면 냉동으로 잘 보관하지 않는 한우 갈비도 눈에 띕니다.
한우 부위 중에서도 식당에서 주로 소비되는 갈비나 등심은 재고가 쌓이는 반면, 가정용 국거리 등으로 쓰이는 우둔이나 양지는 판매량이 10~15%가량 늘었습니다.
돼지고기도 도매가를 기준으로 kg당 가격이 3천4백 원에서 4천5백 원으로 두 달 사이 천원 가량 올랐습니다.
[안찬일/홍성농협 하나로마트 축산팀장 : "돼지고기는 보편적으로 다 잘 나가고요. 소고기 같은 경우는 국거리나 불고기를 좀 더 많이 찾는 편이에요."]
농산물 역시 양배추나 배추, 토마토, 참외 등 가정에서 선호하는 채소나 과일 품목은 가격이 최대 2배로 올랐지만, 주로 급식이나 식당에서 소비하는 대파나 마늘, 피망, 쌈채소류 등은 가격이 20% 이상 떨어졌습니다.
[이상희/홍성군 홍성읍 : "다 온라인 강의를 하기 때문에 집에서 많이 (먹어요.) 외식은 잘 안하는 편이고요. 오렌지하고 참외하고 그런거 주로 많이 먹고, 된장찌개에는 야채 애호박이라든지 양파, 감자, 이런거 많이 넣어 가지고..."]
코로나19로 바뀐 생활 패턴과 소비 성향으로 인해 외식업체는 경영난이 가중되고 가정에서는 식료품 재료 가격이 올라 이래 저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하면서 외식 대신 집밥 먹는 시간이 많이 늘고 있는데요.
이같은 소비 패턴이 농축산물의 품목별 판매량과 가격에도 큰 영향을 주면도 가정 경제에도 여파가 미치고 있습니다.
이연경 기자입니다.
[리포트]
냉동창고에 들어가자 부위별로 손질된 소고기가 쌓여 있습니다.
명절 특수가 아니면 냉동으로 잘 보관하지 않는 한우 갈비도 눈에 띕니다.
한우 부위 중에서도 식당에서 주로 소비되는 갈비나 등심은 재고가 쌓이는 반면, 가정용 국거리 등으로 쓰이는 우둔이나 양지는 판매량이 10~15%가량 늘었습니다.
돼지고기도 도매가를 기준으로 kg당 가격이 3천4백 원에서 4천5백 원으로 두 달 사이 천원 가량 올랐습니다.
[안찬일/홍성농협 하나로마트 축산팀장 : "돼지고기는 보편적으로 다 잘 나가고요. 소고기 같은 경우는 국거리나 불고기를 좀 더 많이 찾는 편이에요."]
농산물 역시 양배추나 배추, 토마토, 참외 등 가정에서 선호하는 채소나 과일 품목은 가격이 최대 2배로 올랐지만, 주로 급식이나 식당에서 소비하는 대파나 마늘, 피망, 쌈채소류 등은 가격이 20% 이상 떨어졌습니다.
[이상희/홍성군 홍성읍 : "다 온라인 강의를 하기 때문에 집에서 많이 (먹어요.) 외식은 잘 안하는 편이고요. 오렌지하고 참외하고 그런거 주로 많이 먹고, 된장찌개에는 야채 애호박이라든지 양파, 감자, 이런거 많이 넣어 가지고..."]
코로나19로 바뀐 생활 패턴과 소비 성향으로 인해 외식업체는 경영난이 가중되고 가정에서는 식료품 재료 가격이 올라 이래 저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연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연경 기자 yglee@kbs.co.kr
이연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