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소비위축 여전…‘고통 나눔’ 손길 잇따라
입력 2020.04.17 (19:48) 수정 2020.04.17 (20:04) 뉴스7(광주)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줄기는 했지만 위축된 소비심리는 좀처럼 되살아날 기미가 없습니다.
갈수록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들의 어깨를 감싸주고, 또 고통을 함께 나누려는 각계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다 싶을 정도로 썰렁한 광주의 한 전통시장.
그래도 상인들이 웃고 힘을 낼 수 있는 건 착한 임대료 덕분입니다.
[이순자/무등시장 상인 : "우리가 힘들 때 서로 합심해서 도와주려는 무언가가 있따는 기대감이 있고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착한 임대료 운동에 광주전남에서만 벌써 3백여 명이 참여해 4천 곳이 넘는 점포가 임대료 인하 혜택을 받았습니다.
전남의 참여율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한 유통업체는 농민들에게 상생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매장에 판로가 막힌 농수산물 장터를 마련했습니다.
[임동례/상생장터 참여 점포 : "농산물은 로컬로 취급하고 꾸러미 사업과 연계하는데 신선함이 생명이거든요. 이렇게 좋은 자리를 마련해줘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SNS에서는 플라워 버킷 챌린지를 통한 꽃 선물 하기 캠페인도 한창입니다.
입학식과 졸업식이 취소돼 직격탄을 맞은 화훼 농가엔 가뭄에 단비나 다름 없습니다.
또 개학이 미뤄지면서 재고가 쌓인 우유를 마시자는 착한 소비운동도 펼쳐집니다.
힘들 때 손을 내미는 위로와 격려의 손길이 모아져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는 희망의 끈이 되고 있습니다.
[이한샘/1913송정시장 임차상인 : "앞으로 이걸 어떻게 이겨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는데 임대인 전화를 받고 따뜻한 위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줄기는 했지만 위축된 소비심리는 좀처럼 되살아날 기미가 없습니다.
갈수록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들의 어깨를 감싸주고, 또 고통을 함께 나누려는 각계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다 싶을 정도로 썰렁한 광주의 한 전통시장.
그래도 상인들이 웃고 힘을 낼 수 있는 건 착한 임대료 덕분입니다.
[이순자/무등시장 상인 : "우리가 힘들 때 서로 합심해서 도와주려는 무언가가 있따는 기대감이 있고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착한 임대료 운동에 광주전남에서만 벌써 3백여 명이 참여해 4천 곳이 넘는 점포가 임대료 인하 혜택을 받았습니다.
전남의 참여율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한 유통업체는 농민들에게 상생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매장에 판로가 막힌 농수산물 장터를 마련했습니다.
[임동례/상생장터 참여 점포 : "농산물은 로컬로 취급하고 꾸러미 사업과 연계하는데 신선함이 생명이거든요. 이렇게 좋은 자리를 마련해줘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SNS에서는 플라워 버킷 챌린지를 통한 꽃 선물 하기 캠페인도 한창입니다.
입학식과 졸업식이 취소돼 직격탄을 맞은 화훼 농가엔 가뭄에 단비나 다름 없습니다.
또 개학이 미뤄지면서 재고가 쌓인 우유를 마시자는 착한 소비운동도 펼쳐집니다.
힘들 때 손을 내미는 위로와 격려의 손길이 모아져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는 희망의 끈이 되고 있습니다.
[이한샘/1913송정시장 임차상인 : "앞으로 이걸 어떻게 이겨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는데 임대인 전화를 받고 따뜻한 위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소비위축 여전…‘고통 나눔’ 손길 잇따라
-
- 입력 2020-04-17 19:48:47
- 수정2020-04-17 20:04:21

[앵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줄기는 했지만 위축된 소비심리는 좀처럼 되살아날 기미가 없습니다.
갈수록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들의 어깨를 감싸주고, 또 고통을 함께 나누려는 각계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다 싶을 정도로 썰렁한 광주의 한 전통시장.
그래도 상인들이 웃고 힘을 낼 수 있는 건 착한 임대료 덕분입니다.
[이순자/무등시장 상인 : "우리가 힘들 때 서로 합심해서 도와주려는 무언가가 있따는 기대감이 있고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착한 임대료 운동에 광주전남에서만 벌써 3백여 명이 참여해 4천 곳이 넘는 점포가 임대료 인하 혜택을 받았습니다.
전남의 참여율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한 유통업체는 농민들에게 상생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매장에 판로가 막힌 농수산물 장터를 마련했습니다.
[임동례/상생장터 참여 점포 : "농산물은 로컬로 취급하고 꾸러미 사업과 연계하는데 신선함이 생명이거든요. 이렇게 좋은 자리를 마련해줘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SNS에서는 플라워 버킷 챌린지를 통한 꽃 선물 하기 캠페인도 한창입니다.
입학식과 졸업식이 취소돼 직격탄을 맞은 화훼 농가엔 가뭄에 단비나 다름 없습니다.
또 개학이 미뤄지면서 재고가 쌓인 우유를 마시자는 착한 소비운동도 펼쳐집니다.
힘들 때 손을 내미는 위로와 격려의 손길이 모아져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는 희망의 끈이 되고 있습니다.
[이한샘/1913송정시장 임차상인 : "앞으로 이걸 어떻게 이겨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는데 임대인 전화를 받고 따뜻한 위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크게 줄기는 했지만 위축된 소비심리는 좀처럼 되살아날 기미가 없습니다.
갈수록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들의 어깨를 감싸주고, 또 고통을 함께 나누려는 각계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정민 기자입니다.
[리포트]
코로나19로 손님들의 발길이 끊기다 싶을 정도로 썰렁한 광주의 한 전통시장.
그래도 상인들이 웃고 힘을 낼 수 있는 건 착한 임대료 덕분입니다.
[이순자/무등시장 상인 : "우리가 힘들 때 서로 합심해서 도와주려는 무언가가 있따는 기대감이 있고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착한 임대료 운동에 광주전남에서만 벌써 3백여 명이 참여해 4천 곳이 넘는 점포가 임대료 인하 혜택을 받았습니다.
전남의 참여율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습니다.
한 유통업체는 농민들에게 상생의 손을 내밀었습니다.
매장에 판로가 막힌 농수산물 장터를 마련했습니다.
[임동례/상생장터 참여 점포 : "농산물은 로컬로 취급하고 꾸러미 사업과 연계하는데 신선함이 생명이거든요. 이렇게 좋은 자리를 마련해줘서 기쁘게 생각합니다."]
SNS에서는 플라워 버킷 챌린지를 통한 꽃 선물 하기 캠페인도 한창입니다.
입학식과 졸업식이 취소돼 직격탄을 맞은 화훼 농가엔 가뭄에 단비나 다름 없습니다.
또 개학이 미뤄지면서 재고가 쌓인 우유를 마시자는 착한 소비운동도 펼쳐집니다.
힘들 때 손을 내미는 위로와 격려의 손길이 모아져 어려운 시기를 이겨내는 희망의 끈이 되고 있습니다.
[이한샘/1913송정시장 임차상인 : "앞으로 이걸 어떻게 이겨내야 하나 고민을 많이 했는데 임대인 전화를 받고 따뜻한 위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최정민입니다.
- 기자 정보
-
-
최정민 기자 cjmin@kbs.co.kr
최정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