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광 가속기 유치 선정 앞두고 신경전
입력 2020.04.22 (09:08)
수정 2020.04.22 (09: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첨단 연구시설인 방사광 가속기 유치 사업에 충북을 비롯해 전국 4개 시도가 뛰어들면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음 달 1순위 협상 지역을 결정하는데 자칫 정치 논리에 밀리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민수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빛을 활용해 물질의 미세 현상을 연구하는 시설인 이른바 '슈퍼 현미경' 방사광 가속기.
생명공학과 신소재 개발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시설입니다.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1조 원이 넘는 사업인 방사광 가속기를 설립하기로 하면서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뜨겁습니다.
충북 청주를 비롯해 강원 춘천, 전남 나주, 경북 포항 등 모두 4곳이 유치 의향서를 제출했습니다.
충북은 반도체, 바이오 등 관련 기업의 산업 집적도와 지리적 이점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허경재/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장 : "지금 막바지 평가 자료 준비에 중요한 시기 1주일 남아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평가 자료를 최선을 다해서 준비를 하고 있고... "]
뜨거운 유치 경쟁 만큼 공정한 절차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총선 과정에서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전남 유치 발언이 논란이 됐듯 각 지역 정치권도 해당 지자체와 함께 방사광 가속기 유치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두영/균형발전지방분권충북본부 공동대표 : "(특정 지역에서) 평가 기준까지 문제 삼아가면서 지역 정치권이 자꾸 나서도록 선동하고 압박하는... 이것은 사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결정이 되어야 하는 건데."]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모든 평가 절차가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음 달 초 1순위 협상지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내일 민주당 충북 지역 당선인들이 청주 유치 대책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최첨단 연구시설인 방사광 가속기 유치 사업에 충북을 비롯해 전국 4개 시도가 뛰어들면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음 달 1순위 협상 지역을 결정하는데 자칫 정치 논리에 밀리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민수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빛을 활용해 물질의 미세 현상을 연구하는 시설인 이른바 '슈퍼 현미경' 방사광 가속기.
생명공학과 신소재 개발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시설입니다.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1조 원이 넘는 사업인 방사광 가속기를 설립하기로 하면서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뜨겁습니다.
충북 청주를 비롯해 강원 춘천, 전남 나주, 경북 포항 등 모두 4곳이 유치 의향서를 제출했습니다.
충북은 반도체, 바이오 등 관련 기업의 산업 집적도와 지리적 이점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허경재/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장 : "지금 막바지 평가 자료 준비에 중요한 시기 1주일 남아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평가 자료를 최선을 다해서 준비를 하고 있고... "]
뜨거운 유치 경쟁 만큼 공정한 절차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총선 과정에서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전남 유치 발언이 논란이 됐듯 각 지역 정치권도 해당 지자체와 함께 방사광 가속기 유치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두영/균형발전지방분권충북본부 공동대표 : "(특정 지역에서) 평가 기준까지 문제 삼아가면서 지역 정치권이 자꾸 나서도록 선동하고 압박하는... 이것은 사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결정이 되어야 하는 건데."]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모든 평가 절차가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음 달 초 1순위 협상지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내일 민주당 충북 지역 당선인들이 청주 유치 대책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광 가속기 유치 선정 앞두고 신경전
-
- 입력 2020-04-22 09:08:24
- 수정2020-04-22 09:08:26

[앵커]
최첨단 연구시설인 방사광 가속기 유치 사업에 충북을 비롯해 전국 4개 시도가 뛰어들면서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음 달 1순위 협상 지역을 결정하는데 자칫 정치 논리에 밀리지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민수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빛을 활용해 물질의 미세 현상을 연구하는 시설인 이른바 '슈퍼 현미경' 방사광 가속기.
생명공학과 신소재 개발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시설입니다.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1조 원이 넘는 사업인 방사광 가속기를 설립하기로 하면서 지자체 간 유치 경쟁이 뜨겁습니다.
충북 청주를 비롯해 강원 춘천, 전남 나주, 경북 포항 등 모두 4곳이 유치 의향서를 제출했습니다.
충북은 반도체, 바이오 등 관련 기업의 산업 집적도와 지리적 이점 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허경재/충청북도 신성장산업국장 : "지금 막바지 평가 자료 준비에 중요한 시기 1주일 남아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평가 자료를 최선을 다해서 준비를 하고 있고... "]
뜨거운 유치 경쟁 만큼 공정한 절차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총선 과정에서 민주당 이해찬 대표의 전남 유치 발언이 논란이 됐듯 각 지역 정치권도 해당 지자체와 함께 방사광 가속기 유치에 나서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두영/균형발전지방분권충북본부 공동대표 : "(특정 지역에서) 평가 기준까지 문제 삼아가면서 지역 정치권이 자꾸 나서도록 선동하고 압박하는... 이것은 사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결정이 되어야 하는 건데."]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모든 평가 절차가 공정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다음 달 초 1순위 협상지를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내일 민주당 충북 지역 당선인들이 청주 유치 대책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
-
민수아 기자 msa46@kbs.co.kr
민수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