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국 주요 소식] “먼지 쌓인 채 방치” 외

입력 2020.04.22 (20:15) 수정 2020.04.23 (15: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KBS 충주 스튜디오 연결해서 충주국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박찬송 아나운서, 소식 전해주시죠.

[답변]

네, 충줍니다.

충주시가 혈세로 사들이거나 기증받은 미술품 48점의 행방이 묘연하다는 소식, 어제 보도해드렸는데요.

KBS 취재 결과, 현재 충주시가 직접 관리하는 미술품 상당수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주시청 4층, 문화예술과 사무실입니다.

음식을 보관하는 온장고 위에 황토색 도자기가 놓여 있습니다.

지난 2013년, 충주시가 백만 원을 주고 구매한 작품입니다.

자칫 밀거나 부딪히면 파손될 수도 있어 위태롭기까지 합니다.

[충주시 공무원/음성변조 : "작년 7월부터는 있었던 것 같아요. 그전에는 모르겠고…."]

서류 상자 옆, 벽에 걸린 꽃 그림은 지난해, 충주시가 90만 원을 주고 사들였지만, 작품 설명조차 찾을 수 없습니다.

각종 그림과 서예 작품 90여 점이, 각종 서류를 보관하는 서고에 먼지가 쌓인 채 잠자고 있습니다.

[충주시 직원/음성변조 : "본청에도 그렇고 읍·면·동에도 작품이 있기 때문에, 일하는 공간에 작품을 다 전시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 해서 여의치는 않아요."]

이뿐만이 아닙니다.

출처를 알 수 없어, 관리 목록에 없는 미술품이 사무실 곳곳에 걸려있기도 합니다.

[충주시 직원/음성변조 : "(전수 조사에서) 300여 개 작품 목록이 나왔는데, 그중에는 이 작품들이 안 들어 있다는 얘기죠? (네, 안 들어가 있는 작품이 있어서 그것들은 저희가)…."]

정부의 지방자치단체 미술품 보관·관리 기준에 따르면, 자치단체는 해마다 소장작 관리 실태를 점검해야 하고, 5년마다 가격을 다시 평가해야 합니다.

[조중근/충주시의회 행정복지위원장 : "시 공유재산이라고 하면 그런 물품 번호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관리를 안 했던 것 같아요. 5년마다 가격을 재평가해서 다시 가격을 산정해야 하는데 그런 것도 한 적도 없고…."]

해마다 최대 수십 점의 미술품을 수천만 원에 사들였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충주시.

혈세로 운영되는 충주시 행정의 부끄러운 현실입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앵커]

이런 미술품도 엄연히 혈세로 사들인 공공 자산인데, 이렇게 함부로 관리해선 안 되겠죠.

다음은 지역 화폐 소식이군요?

[답변]

네, 자치단체마다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화폐'를 발행하고 있는데요.

지역으로 이주한 공공기관들도 '지역 화폐' 소비 활성화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음성군과 한국고용정보원은 오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했습니다.

음성군 지역 화폐인 '행복페이' 정착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14년에 서울 영등포에서 충북 혁신도시로 이전했는데요.

오늘 협약에 따라 한국고용정보원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시장 가는 날' 등을 운영하거나, 지역 물품 소비를 독려해 행복페이 유통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한편, 지난 2월 출시된 음성 행복페이는 현재까지 약 두 달여 동안 36억 원어치가 발행된 상태입니다.

[앵커]

네, 다음은 충주의 반려동물 정책 관련 소식이군요.

[답변]

네, 충주시는 반려동물 친화 도시를 표방하면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지난해에는 전국 처음으로 반려동물 법률 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했고, 고속도로 휴게소에 '입양지원센터'를 조성하기도 했습니다.

반려동물 관련 기반 시설뿐만 아니라 인력 양성에도 적극적인데요.

청년들의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반려동물 직업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행동교정사, 펫 코디 등 3개 과정에 청년 50명을 선발해, 7개월 동안 무료로 교육할 계획입니다.

다음 달 4일까지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충주시 평생학습관에 문의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충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주국 주요 소식] “먼지 쌓인 채 방치” 외
    • 입력 2020-04-22 20:15:08
    • 수정2020-04-23 15:36:36
    뉴스7(청주)
[앵커]

이번에는 KBS 충주 스튜디오 연결해서 충주국 소식, 살펴보겠습니다.

박찬송 아나운서, 소식 전해주시죠.

[답변]

네, 충줍니다.

충주시가 혈세로 사들이거나 기증받은 미술품 48점의 행방이 묘연하다는 소식, 어제 보도해드렸는데요.

KBS 취재 결과, 현재 충주시가 직접 관리하는 미술품 상당수도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충주시청 4층, 문화예술과 사무실입니다.

음식을 보관하는 온장고 위에 황토색 도자기가 놓여 있습니다.

지난 2013년, 충주시가 백만 원을 주고 구매한 작품입니다.

자칫 밀거나 부딪히면 파손될 수도 있어 위태롭기까지 합니다.

[충주시 공무원/음성변조 : "작년 7월부터는 있었던 것 같아요. 그전에는 모르겠고…."]

서류 상자 옆, 벽에 걸린 꽃 그림은 지난해, 충주시가 90만 원을 주고 사들였지만, 작품 설명조차 찾을 수 없습니다.

각종 그림과 서예 작품 90여 점이, 각종 서류를 보관하는 서고에 먼지가 쌓인 채 잠자고 있습니다.

[충주시 직원/음성변조 : "본청에도 그렇고 읍·면·동에도 작품이 있기 때문에, 일하는 공간에 작품을 다 전시할 수도 없는 상황이고 해서 여의치는 않아요."]

이뿐만이 아닙니다.

출처를 알 수 없어, 관리 목록에 없는 미술품이 사무실 곳곳에 걸려있기도 합니다.

[충주시 직원/음성변조 : "(전수 조사에서) 300여 개 작품 목록이 나왔는데, 그중에는 이 작품들이 안 들어 있다는 얘기죠? (네, 안 들어가 있는 작품이 있어서 그것들은 저희가)…."]

정부의 지방자치단체 미술품 보관·관리 기준에 따르면, 자치단체는 해마다 소장작 관리 실태를 점검해야 하고, 5년마다 가격을 다시 평가해야 합니다.

[조중근/충주시의회 행정복지위원장 : "시 공유재산이라고 하면 그런 물품 번호가 있어야 하는데, 그런 관리를 안 했던 것 같아요. 5년마다 가격을 재평가해서 다시 가격을 산정해야 하는데 그런 것도 한 적도 없고…."]

해마다 최대 수십 점의 미술품을 수천만 원에 사들였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은 충주시.

혈세로 운영되는 충주시 행정의 부끄러운 현실입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앵커]

이런 미술품도 엄연히 혈세로 사들인 공공 자산인데, 이렇게 함부로 관리해선 안 되겠죠.

다음은 지역 화폐 소식이군요?

[답변]

네, 자치단체마다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화폐'를 발행하고 있는데요.

지역으로 이주한 공공기관들도 '지역 화폐' 소비 활성화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음성군과 한국고용정보원은 오늘,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했습니다.

음성군 지역 화폐인 '행복페이' 정착을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적극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2014년에 서울 영등포에서 충북 혁신도시로 이전했는데요.

오늘 협약에 따라 한국고용정보원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전통시장 가는 날' 등을 운영하거나, 지역 물품 소비를 독려해 행복페이 유통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한편, 지난 2월 출시된 음성 행복페이는 현재까지 약 두 달여 동안 36억 원어치가 발행된 상태입니다.

[앵커]

네, 다음은 충주의 반려동물 정책 관련 소식이군요.

[답변]

네, 충주시는 반려동물 친화 도시를 표방하면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지난해에는 전국 처음으로 반려동물 법률 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했고, 고속도로 휴게소에 '입양지원센터'를 조성하기도 했습니다.

반려동물 관련 기반 시설뿐만 아니라 인력 양성에도 적극적인데요.

청년들의 취업과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반려동물 직업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행동교정사, 펫 코디 등 3개 과정에 청년 50명을 선발해, 7개월 동안 무료로 교육할 계획입니다.

다음 달 4일까지 수강생을 모집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충주시 평생학습관에 문의하면 됩니다.

지금까지 충주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