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반 갈린 김종인 비대위…“협력해야”·“정치 금치산자 선언”
입력 2020.04.24 (06:20)
수정 2020.04.24 (07: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래통합당의 '김종인 비대위' 결론을 놓고 재선의 당선인들이 지지 의사를 모았지만, 공개 비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임기 무제한, 전권의 비대위원장 인정은 정치적 무능력을 자인한 결정이라는 건데요.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직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이세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번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통합당 당선인들이 모인 자리, 1시간 반 논의 끝에, '김종인 비대위'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김성원/미래통합당 의원 : "최고위원회의 결정에 대해서 '이제 더 이상 당에 분란을 만들기보다 협력을 좀 했으면 좋겠다'라는 그런 의견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최고위 결정에서 생략된 당내 의견 수렴이 급선무라며, 오는 28일 당선인들을 모아 비대위 구성을 비롯한 수습책을 논의하자고 지도부에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당내 비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토론과 표결 없는 결정 과정과, 김종인 전 위원장의 무기한 전권 요구에 반대하는 겁니다.
"훈장님 회초리 맞는 식은 안 된다", "식민통치 자청, 정치적 금치산자 선언"이라고도 했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당선인 : "21대 총선 당선자들은 스스로 '그런 걸(쇄신을) 할 능력 없다'라고 선포하는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그게 정치적 무능력자고 정치적 금치산자나 마찬가지죠."]
찬반 양론 속에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김 전 위원장 설득에 나섰는데, 김 전 위원장의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이 수락할 경우, 통합당이 다음주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의결하는 절차만 남게 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미래통합당의 '김종인 비대위' 결론을 놓고 재선의 당선인들이 지지 의사를 모았지만, 공개 비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임기 무제한, 전권의 비대위원장 인정은 정치적 무능력을 자인한 결정이라는 건데요.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직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이세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번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통합당 당선인들이 모인 자리, 1시간 반 논의 끝에, '김종인 비대위'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김성원/미래통합당 의원 : "최고위원회의 결정에 대해서 '이제 더 이상 당에 분란을 만들기보다 협력을 좀 했으면 좋겠다'라는 그런 의견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최고위 결정에서 생략된 당내 의견 수렴이 급선무라며, 오는 28일 당선인들을 모아 비대위 구성을 비롯한 수습책을 논의하자고 지도부에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당내 비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토론과 표결 없는 결정 과정과, 김종인 전 위원장의 무기한 전권 요구에 반대하는 겁니다.
"훈장님 회초리 맞는 식은 안 된다", "식민통치 자청, 정치적 금치산자 선언"이라고도 했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당선인 : "21대 총선 당선자들은 스스로 '그런 걸(쇄신을) 할 능력 없다'라고 선포하는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그게 정치적 무능력자고 정치적 금치산자나 마찬가지죠."]
찬반 양론 속에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김 전 위원장 설득에 나섰는데, 김 전 위원장의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이 수락할 경우, 통합당이 다음주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의결하는 절차만 남게 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찬반 갈린 김종인 비대위…“협력해야”·“정치 금치산자 선언”
-
- 입력 2020-04-24 06:24:10
- 수정2020-04-24 07:55:19

[앵커]
미래통합당의 '김종인 비대위' 결론을 놓고 재선의 당선인들이 지지 의사를 모았지만, 공개 비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임기 무제한, 전권의 비대위원장 인정은 정치적 무능력을 자인한 결정이라는 건데요.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직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이세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번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통합당 당선인들이 모인 자리, 1시간 반 논의 끝에, '김종인 비대위'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김성원/미래통합당 의원 : "최고위원회의 결정에 대해서 '이제 더 이상 당에 분란을 만들기보다 협력을 좀 했으면 좋겠다'라는 그런 의견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최고위 결정에서 생략된 당내 의견 수렴이 급선무라며, 오는 28일 당선인들을 모아 비대위 구성을 비롯한 수습책을 논의하자고 지도부에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당내 비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토론과 표결 없는 결정 과정과, 김종인 전 위원장의 무기한 전권 요구에 반대하는 겁니다.
"훈장님 회초리 맞는 식은 안 된다", "식민통치 자청, 정치적 금치산자 선언"이라고도 했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당선인 : "21대 총선 당선자들은 스스로 '그런 걸(쇄신을) 할 능력 없다'라고 선포하는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그게 정치적 무능력자고 정치적 금치산자나 마찬가지죠."]
찬반 양론 속에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김 전 위원장 설득에 나섰는데, 김 전 위원장의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이 수락할 경우, 통합당이 다음주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의결하는 절차만 남게 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미래통합당의 '김종인 비대위' 결론을 놓고 재선의 당선인들이 지지 의사를 모았지만, 공개 비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임기 무제한, 전권의 비대위원장 인정은 정치적 무능력을 자인한 결정이라는 건데요.
김 전 위원장의 비대위원장직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이세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번 총선에서 재선에 성공한 통합당 당선인들이 모인 자리, 1시간 반 논의 끝에, '김종인 비대위'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김성원/미래통합당 의원 : "최고위원회의 결정에 대해서 '이제 더 이상 당에 분란을 만들기보다 협력을 좀 했으면 좋겠다'라는 그런 의견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최고위 결정에서 생략된 당내 의견 수렴이 급선무라며, 오는 28일 당선인들을 모아 비대위 구성을 비롯한 수습책을 논의하자고 지도부에 제안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당내 비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토론과 표결 없는 결정 과정과, 김종인 전 위원장의 무기한 전권 요구에 반대하는 겁니다.
"훈장님 회초리 맞는 식은 안 된다", "식민통치 자청, 정치적 금치산자 선언"이라고도 했습니다.
[조해진/미래통합당 국회의원 당선인 : "21대 총선 당선자들은 스스로 '그런 걸(쇄신을) 할 능력 없다'라고 선포하는 거나 마찬가지거든요. 그게 정치적 무능력자고 정치적 금치산자나 마찬가지죠."]
찬반 양론 속에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이 김 전 위원장 설득에 나섰는데, 김 전 위원장의 수락 여부도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김 전 위원장이 수락할 경우, 통합당이 다음주 전국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체제 전환을 의결하는 절차만 남게 됩니다.
KBS 뉴스 이세연입니다.
-
-
이세연 기자 say@kbs.co.kr
이세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