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의료 종사자 처우 상대적 열악…개선 시급
입력 2020.05.01 (09:33)
수정 2020.05.01 (09: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에 초기부터 제대로 대응하려면, 전문 인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공공 의료 분야는 처우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보니, 제때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이직률도 높기만 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천15년 6월, 강릉의료원 간호사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일명 메르스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지방의료원 의료진들은 이렇게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책임도 뒤따르는 자리지만, 임금은 민간 대형병원에 못 미칩니다.
인력 유출이 반복되고 사기도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안숙현/강릉의료원 노조 지부장 : "공공병원다운 역할을 주고 거기에 맞는 대우도 좀 해주고 그래서 앞으로 더 잘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줬으면 좋겠습니다."]
강원도는 2천16년부터 10번 넘게 전문 역학조사관 채용 공고를 냈지만, 당시 지원자가 없어 못 뽑았습니다.
의사 면허가 필수였는데, 사무관 직급에 연봉 약 6천만 원으로 통상적 의사 소득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방역 대책을 세우는 핵심 인력이지만, 처우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겁니다.
이 때문에 공공의료 강화 차원에서라도 관련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위험을 안고 헌신하는 공적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사회적으로 대우하자는 겁니다.
[반태연/강원도의회 의원 : "처우 개선이 뒷받침되면 공공병원 직원들도 매진하면서도 자긍심을 갖고 내가 그래도 감염병을 잡는 데 일조했다는 긍지를 갖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또, 공공의료 분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중증 감염병 환자도 치료할 수 있게 장비 확충과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에 초기부터 제대로 대응하려면, 전문 인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공공 의료 분야는 처우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보니, 제때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이직률도 높기만 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천15년 6월, 강릉의료원 간호사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일명 메르스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지방의료원 의료진들은 이렇게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책임도 뒤따르는 자리지만, 임금은 민간 대형병원에 못 미칩니다.
인력 유출이 반복되고 사기도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안숙현/강릉의료원 노조 지부장 : "공공병원다운 역할을 주고 거기에 맞는 대우도 좀 해주고 그래서 앞으로 더 잘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줬으면 좋겠습니다."]
강원도는 2천16년부터 10번 넘게 전문 역학조사관 채용 공고를 냈지만, 당시 지원자가 없어 못 뽑았습니다.
의사 면허가 필수였는데, 사무관 직급에 연봉 약 6천만 원으로 통상적 의사 소득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방역 대책을 세우는 핵심 인력이지만, 처우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겁니다.
이 때문에 공공의료 강화 차원에서라도 관련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위험을 안고 헌신하는 공적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사회적으로 대우하자는 겁니다.
[반태연/강원도의회 의원 : "처우 개선이 뒷받침되면 공공병원 직원들도 매진하면서도 자긍심을 갖고 내가 그래도 감염병을 잡는 데 일조했다는 긍지를 갖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또, 공공의료 분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중증 감염병 환자도 치료할 수 있게 장비 확충과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의료 종사자 처우 상대적 열악…개선 시급
-
- 입력 2020-05-01 09:33:05
- 수정2020-05-01 09:33:06

[앵커]
코로나19 같은 전염병에 초기부터 제대로 대응하려면, 전문 인력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공공 의료 분야는 처우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 보니, 제때 인력을 구하기 어렵고 이직률도 높기만 합니다.
정면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2천15년 6월, 강릉의료원 간호사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일명 메르스 환자를 돌보다 감염됐습니다.
지방의료원 의료진들은 이렇게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때마다, 위험을 감수해야 합니다.
책임도 뒤따르는 자리지만, 임금은 민간 대형병원에 못 미칩니다.
인력 유출이 반복되고 사기도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안숙현/강릉의료원 노조 지부장 : "공공병원다운 역할을 주고 거기에 맞는 대우도 좀 해주고 그래서 앞으로 더 잘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어 줬으면 좋겠습니다."]
강원도는 2천16년부터 10번 넘게 전문 역학조사관 채용 공고를 냈지만, 당시 지원자가 없어 못 뽑았습니다.
의사 면허가 필수였는데, 사무관 직급에 연봉 약 6천만 원으로 통상적 의사 소득보다 훨씬 적었습니다.
방역 대책을 세우는 핵심 인력이지만, 처우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겁니다.
이 때문에 공공의료 강화 차원에서라도 관련 종사자들의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위험을 안고 헌신하는 공적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사회적으로 대우하자는 겁니다.
[반태연/강원도의회 의원 : "처우 개선이 뒷받침되면 공공병원 직원들도 매진하면서도 자긍심을 갖고 내가 그래도 감염병을 잡는 데 일조했다는 긍지를 갖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또, 공공의료 분야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중증 감염병 환자도 치료할 수 있게 장비 확충과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KBS 뉴스 정면구입니다.
-
-
정면구 기자 nine@kbs.co.kr
정면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