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수 할머니에게 사과한 ‘정의연’…언론엔 “강한 유감”

입력 2020.05.11 (16: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후원금을 불투명하게 사용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오늘(11일)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지난 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정의연의 후원금 사용이 불투명하다며 더 이상 수요시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말한 지 나흘만입니다.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여"

기자회견에 앞서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이 이사장은 이어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한 뒤 허리를 숙여 인사했습니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오늘(11일) 오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기자회견에 앞서 이용수 할머니에게 사과했다.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오늘(11일) 오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기자회견에 앞서 이용수 할머니에게 사과했다.

이 이사장은 질의응답과정에서도 "열악한 환경에서 앞만 보고 달려오는 과정에서 할머니들께서 서운한 감정을 느끼셨을 수 있다"면서 "고령이시기 때문에 저희가 마음을 더 들어드리고 해야 했는데, 저희 운동을 돌아보며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야겠다고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정의연은 윤미향 전 이사장이 어제도 이 할머니를 만나 뵈려 노력했지만, 결국 만나 뵙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이사장은 "할머니께서 지금 굉장히 힘드실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여러 루트를 통해 직접 만나 뵐 거고 할머니 의사를 듣고 앞으로의 운동 방향과 관계를 재설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연 "후원금 전달만 피해자 지원 아냐"

정의연은 기자회견과정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후원금을 제대로 전달하지 않았다는 의혹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했습니다.

정의연은 우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 안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적 지원단체가 아니"라면서 "피해자들과 함께 보편적 인권문제로서 전시 성폭력의 개념을 세우고 확산시켜온 세계적인 여성 인권운동단체"라고 밝혔습니다. 정의연의 사업이 피해자에게 직접 후원금을 전달하는 사업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정의연은 기금 운용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의연은 2017년 12억6800만 원, 2018년 5억3800만 원, 2019년 4억1350만 원 등 지난 3년 동안 모두 22억1960만 원을 일반 기부(목적 지정 기부금 제외)로 받았습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오늘(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인권재단 사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오늘(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인권재단 사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정의연은 이같은 기부금을 할머니들의 건강치료 지원, 인권과 명예회복 활동 지원, 정서적 안정 지원, 비정기적 생활 물품 지원, 쉼터 운영 등에 썼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연도별로 기부금 차이가 나는 데 대해 정의연은 "2017년은 한·일위안부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지원금 10억 엔을 거절한 8명의 할머니에게 100만 시민 모금을 진행해 각각 1억원을 지급한 내용이 반영됐고, 2019년에는 여성가족부의 피해자지원센터 수탁기관으로 선정돼 받은 보조금이 포함됐다"고 밝혔습니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이같은 비용은 뒤따르는 인건비를 포함하지 않은 비용"이라면서 "공시에 나와 있는 피해자지원 사업 예산만으로 저희의 피해자 지원사업을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설명했습니다. 한 사무총장은 이어 후원금 논란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다 "생존 할머님이 얼마 안 남아 계시다"면서 "살뜰히 보살펴드리고 싶었다"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정의연은 또 지난해 수요집회를 통해 모금한 금액은 약 460만 원으로, 모두 수요시위 진행에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수요시위 진행비는 연간 1억 1000여만 원가량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정의연은 공시한 기부금 사용 내역 가운데 '피해자 지원사업' 항목의 수혜자 수가 99명, 999명 등으로 기재돼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과드리고, 실무적으로 미진한 부분을 고쳐 나가겠다"고 해명했습니다.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등 관계자들이 정의연 측을 규탄하는 시위를 열고 있다.‘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등 관계자들이 정의연 측을 규탄하는 시위를 열고 있다.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

이런 가운데 이 이사장은 정의연 관련 언론 보도에 강한 유감을 드러냈습니다.

이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피해자와 활동가들이 일궈낸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라면서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때 용감한 피해자와 헌신적인 활동가·연구자들이 이 운동을 만들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러분(기자)이 그 역사를 알고 있는지 솔직히 의구심이 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주말 사이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10억 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윤미향 전 이사장이 일본이 10억 엔을 출연할 것이라는 사실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등의 언론 보도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겁니다.

정의연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하게끔 했다"면서 "할머니들을 일일이 방문해 의사를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할머니들에게 위로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습니다.

또 일본의 10억 엔 출연 사전 인지 의혹에 대해서도 "해당 내용은 발표 전부터 언론 보도를 통해 거론됐다"면서 "외교부는 국장급·고위급 협의에서 어떤 내용이 있었는지 정대협이나 나눔의 집에 알린 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이용수 할머니는 "수요집회가 한일 간 젊은이들의 사이를 나쁘게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의연은 "수요시위는 한 개인의 운동이 아니"라면서 "분열과 갈등의 장이 아니고 공감과 교육과 기억 계승의 장"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30년간 할머니를 그곳에 세운 건 수요시위가 아니라 일본이고, 그 문제가 해결되면 당연히 소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의연은 이번 논란과는 별개로 오는 13일 1,439차 수요집회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용수 할머니에게 사과한 ‘정의연’…언론엔 “강한 유감”
    • 입력 2020-05-11 16:50:01
    취재K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한 후원금을 불투명하게 사용했다는 논란에 휩싸인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오늘(11일) 공식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지난 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정의연의 후원금 사용이 불투명하다며 더 이상 수요시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말한 지 나흘만입니다.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여"

기자회견에 앞서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말했습니다. 이 이사장은 이어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한 뒤 허리를 숙여 인사했습니다.

이나영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이 오늘(11일) 오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기자회견에 앞서 이용수 할머니에게 사과했다.
이 이사장은 질의응답과정에서도 "열악한 환경에서 앞만 보고 달려오는 과정에서 할머니들께서 서운한 감정을 느끼셨을 수 있다"면서 "고령이시기 때문에 저희가 마음을 더 들어드리고 해야 했는데, 저희 운동을 돌아보며 부족한 부분을 채워가야겠다고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정의연은 윤미향 전 이사장이 어제도 이 할머니를 만나 뵈려 노력했지만, 결국 만나 뵙지 못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이사장은 "할머니께서 지금 굉장히 힘드실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여러 루트를 통해 직접 만나 뵐 거고 할머니 의사를 듣고 앞으로의 운동 방향과 관계를 재설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의연 "후원금 전달만 피해자 지원 아냐"

정의연은 기자회견과정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후원금을 제대로 전달하지 않았다는 의혹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했습니다.

정의연은 우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생활 안정만을 목적으로 하는 인도적 지원단체가 아니"라면서 "피해자들과 함께 보편적 인권문제로서 전시 성폭력의 개념을 세우고 확산시켜온 세계적인 여성 인권운동단체"라고 밝혔습니다. 정의연의 사업이 피해자에게 직접 후원금을 전달하는 사업만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정의연은 기금 운용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었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정의연은 2017년 12억6800만 원, 2018년 5억3800만 원, 2019년 4억1350만 원 등 지난 3년 동안 모두 22억1960만 원을 일반 기부(목적 지정 기부금 제외)로 받았습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등 관계자들이 오늘(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인권재단 사람’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부금 관련 논란에 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정의연은 이같은 기부금을 할머니들의 건강치료 지원, 인권과 명예회복 활동 지원, 정서적 안정 지원, 비정기적 생활 물품 지원, 쉼터 운영 등에 썼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연도별로 기부금 차이가 나는 데 대해 정의연은 "2017년은 한·일위안부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지원금 10억 엔을 거절한 8명의 할머니에게 100만 시민 모금을 진행해 각각 1억원을 지급한 내용이 반영됐고, 2019년에는 여성가족부의 피해자지원센터 수탁기관으로 선정돼 받은 보조금이 포함됐다"고 밝혔습니다.

한경희 정의연 사무총장은 "이같은 비용은 뒤따르는 인건비를 포함하지 않은 비용"이라면서 "공시에 나와 있는 피해자지원 사업 예산만으로 저희의 피해자 지원사업을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설명했습니다. 한 사무총장은 이어 후원금 논란과 관련한 입장을 밝히다 "생존 할머님이 얼마 안 남아 계시다"면서 "살뜰히 보살펴드리고 싶었다"며 눈물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정의연은 또 지난해 수요집회를 통해 모금한 금액은 약 460만 원으로, 모두 수요시위 진행에 사용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수요시위 진행비는 연간 1억 1000여만 원가량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정의연은 공시한 기부금 사용 내역 가운데 '피해자 지원사업' 항목의 수혜자 수가 99명, 999명 등으로 기재돼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과드리고, 실무적으로 미진한 부분을 고쳐 나가겠다"고 해명했습니다.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 등 관계자들이 정의연 측을 규탄하는 시위를 열고 있다.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

이런 가운데 이 이사장은 정의연 관련 언론 보도에 강한 유감을 드러냈습니다.

이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피해자와 활동가들이 일궈낸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라면서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때 용감한 피해자와 헌신적인 활동가·연구자들이 이 운동을 만들어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여러분(기자)이 그 역사를 알고 있는지 솔직히 의구심이 들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지난 주말 사이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10억 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 '(윤미향 전 이사장이 일본이 10억 엔을 출연할 것이라는 사실을 사전에 알고 있었다'는 등의 언론 보도에 대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겁니다.

정의연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하게끔 했다"면서 "할머니들을 일일이 방문해 의사를 확인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할머니들에게 위로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습니다.

또 일본의 10억 엔 출연 사전 인지 의혹에 대해서도 "해당 내용은 발표 전부터 언론 보도를 통해 거론됐다"면서 "외교부는 국장급·고위급 협의에서 어떤 내용이 있었는지 정대협이나 나눔의 집에 알린 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이용수 할머니는 "수요집회가 한일 간 젊은이들의 사이를 나쁘게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의연은 "수요시위는 한 개인의 운동이 아니"라면서 "분열과 갈등의 장이 아니고 공감과 교육과 기억 계승의 장"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30년간 할머니를 그곳에 세운 건 수요시위가 아니라 일본이고, 그 문제가 해결되면 당연히 소멸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의연은 이번 논란과는 별개로 오는 13일 1,439차 수요집회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