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위기 속 대전시 지역화폐 조기 출시
입력 2020.05.14 (19:37) 수정 2020.05.14 (19:37) 뉴스7(대전)
[앵커]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가 확대되면서 대전시가 예정보다 두 달 앞당겨 지역화폐를 출시했습니다.
지역 내 소비 촉진에 대한 기대도 크지만 동시에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가 쏠릴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입니다.
휴대전화 앱이나 하나은행에서 카드를 발급받아 한 사람이 최대 백만 원까지 충전해 쓸 수 있습니다.
출시 기념으로 앞으로 두 달 동안, 쓸 때마다 15%를 캐시백 포인트로 돌려받게 됩니다.
[김규동/대전시 봉명동 : "일반 신용카드는 포인트도 적고 또 현금처럼 바로 사용할 수 없는데 이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백화점과 대형마트, 유흥업소를 제외한 대전지역 대부분 상점에서 쓸 수 있습니다.
7월 출시 예정에서 코로나19를 고려해 두 달 앞당겼고, 발행 목표도 2천5백억 원에서 5천억 원으로 두 배 늘렸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지역 내에서 소비가 촉진되고 이를 통해서 지역에 있는 자영업, 소상공인들에게도 경제적인 보탬이 되길 기원하고."]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향후 캐시백 혜택이 축소될 경우 지속적인 사용 여부가 불투명하고,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 쏠림현상에 대한 보완책이 없어 원도심과 격차가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찬술/대전시의원 : "인구수나 경제 규모가 상당히 큰 서구나 유성구는 이(지역 화폐) 쓰임에 대한 혜택을 소상공인이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동서 간의 격차의 폭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
또, 앞서 지역화폐를 발행한 타도시의 경우, 캐시백 혜택을 노린 고액 결제가 두드러지면서 소상공인 지원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도 나와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가 확대되면서 대전시가 예정보다 두 달 앞당겨 지역화폐를 출시했습니다.
지역 내 소비 촉진에 대한 기대도 크지만 동시에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가 쏠릴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입니다.
휴대전화 앱이나 하나은행에서 카드를 발급받아 한 사람이 최대 백만 원까지 충전해 쓸 수 있습니다.
출시 기념으로 앞으로 두 달 동안, 쓸 때마다 15%를 캐시백 포인트로 돌려받게 됩니다.
[김규동/대전시 봉명동 : "일반 신용카드는 포인트도 적고 또 현금처럼 바로 사용할 수 없는데 이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백화점과 대형마트, 유흥업소를 제외한 대전지역 대부분 상점에서 쓸 수 있습니다.
7월 출시 예정에서 코로나19를 고려해 두 달 앞당겼고, 발행 목표도 2천5백억 원에서 5천억 원으로 두 배 늘렸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지역 내에서 소비가 촉진되고 이를 통해서 지역에 있는 자영업, 소상공인들에게도 경제적인 보탬이 되길 기원하고."]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향후 캐시백 혜택이 축소될 경우 지속적인 사용 여부가 불투명하고,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 쏠림현상에 대한 보완책이 없어 원도심과 격차가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찬술/대전시의원 : "인구수나 경제 규모가 상당히 큰 서구나 유성구는 이(지역 화폐) 쓰임에 대한 혜택을 소상공인이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동서 간의 격차의 폭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
또, 앞서 지역화폐를 발행한 타도시의 경우, 캐시백 혜택을 노린 고액 결제가 두드러지면서 소상공인 지원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도 나와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 코로나19 위기 속 대전시 지역화폐 조기 출시
-
- 입력 2020-05-14 19:37:56
- 수정2020-05-14 19:37:58

[앵커]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가 확대되면서 대전시가 예정보다 두 달 앞당겨 지역화폐를 출시했습니다.
지역 내 소비 촉진에 대한 기대도 크지만 동시에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가 쏠릴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입니다.
휴대전화 앱이나 하나은행에서 카드를 발급받아 한 사람이 최대 백만 원까지 충전해 쓸 수 있습니다.
출시 기념으로 앞으로 두 달 동안, 쓸 때마다 15%를 캐시백 포인트로 돌려받게 됩니다.
[김규동/대전시 봉명동 : "일반 신용카드는 포인트도 적고 또 현금처럼 바로 사용할 수 없는데 이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백화점과 대형마트, 유흥업소를 제외한 대전지역 대부분 상점에서 쓸 수 있습니다.
7월 출시 예정에서 코로나19를 고려해 두 달 앞당겼고, 발행 목표도 2천5백억 원에서 5천억 원으로 두 배 늘렸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지역 내에서 소비가 촉진되고 이를 통해서 지역에 있는 자영업, 소상공인들에게도 경제적인 보탬이 되길 기원하고."]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향후 캐시백 혜택이 축소될 경우 지속적인 사용 여부가 불투명하고,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 쏠림현상에 대한 보완책이 없어 원도심과 격차가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찬술/대전시의원 : "인구수나 경제 규모가 상당히 큰 서구나 유성구는 이(지역 화폐) 쓰임에 대한 혜택을 소상공인이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동서 간의 격차의 폭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
또, 앞서 지역화폐를 발행한 타도시의 경우, 캐시백 혜택을 노린 고액 결제가 두드러지면서 소상공인 지원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도 나와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소상공인 피해가 확대되면서 대전시가 예정보다 두 달 앞당겨 지역화폐를 출시했습니다.
지역 내 소비 촉진에 대한 기대도 크지만 동시에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가 쏠릴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시 지역화폐 '온통대전'입니다.
휴대전화 앱이나 하나은행에서 카드를 발급받아 한 사람이 최대 백만 원까지 충전해 쓸 수 있습니다.
출시 기념으로 앞으로 두 달 동안, 쓸 때마다 15%를 캐시백 포인트로 돌려받게 됩니다.
[김규동/대전시 봉명동 : "일반 신용카드는 포인트도 적고 또 현금처럼 바로 사용할 수 없는데 이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까."]
백화점과 대형마트, 유흥업소를 제외한 대전지역 대부분 상점에서 쓸 수 있습니다.
7월 출시 예정에서 코로나19를 고려해 두 달 앞당겼고, 발행 목표도 2천5백억 원에서 5천억 원으로 두 배 늘렸습니다.
[허태정/대전시장 : "지역 내에서 소비가 촉진되고 이를 통해서 지역에 있는 자영업, 소상공인들에게도 경제적인 보탬이 되길 기원하고."]
하지만, 한정된 예산 탓에 향후 캐시백 혜택이 축소될 경우 지속적인 사용 여부가 불투명하고, 상권이 발달한 신도심으로 소비 쏠림현상에 대한 보완책이 없어 원도심과 격차가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김찬술/대전시의원 : "인구수나 경제 규모가 상당히 큰 서구나 유성구는 이(지역 화폐) 쓰임에 대한 혜택을 소상공인이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동서 간의 격차의 폭은 더 늘어날 것이라는 것이..."]
또, 앞서 지역화폐를 발행한 타도시의 경우, 캐시백 혜택을 노린 고액 결제가 두드러지면서 소상공인 지원 취지가 퇴색했다는 비판도 나와 보완책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정은입니다.
- 기자 정보
-
-
이정은 기자 mulan8@kbs.co.kr
이정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