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건물 임대기간 끝…임시격리시설 운영 비상
입력 2020.05.14 (21:59) 수정 2020.05.14 (21:59) 뉴스9(광주)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코로나19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마련한 임시 격리시설 운영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다른 기관에서 빌렸던 건물을 비워줘야 하는 데다가 운영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외 입국자들의 코로나19 확진이 이어지자 임시검사시설 운영에 들어간 전라남도.

지난달 초 가장 먼저 운영을 시작했던 나주 한전KPS 인재개발원은 오는 22일 문을 닫아야 합니다.

그동안 협조를 얻어 사용해왔지만, 약속한 기간이 끝나기 때문입니다.

해외 입국자들이 도착 즉시 머물렀던 또 다른 임시시설 두 곳도,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 사이 차례로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윤재광/전라남도 총무팀장 : "(임시검사시설로 빌려써 온) 교육 시설들이 6월부터는 교육을 재개할 움직임이 있어서 장소를 비워주게 됐고요. 새로운 임시검사시설을 찾고 있는데…."]

전라남도는 지역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대체 시설 확보에 나섰지만 여의찮자 임대료가 만만치 않은 민간 숙박시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임시검사시설을 언제까지 운영해야 할지도 고민인 상황입니다.

한달 보름 동안 임시검사시설을 거쳐간 해외 입국자는 2천2백여 명.

이곳에서 확인된 확진자는 단 한 명이었지만, 7억원 가량의 예산이 운영비로 들어갔습니다.

해외 입국자 대상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하면서 확진자 4명을 조기에 찾아낸 광주시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자체 시설 운영으로 투입 예산은 비교적 크지 않지만, 운영 인력을 부서별로 차출하면서 행정 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경미/광주시 안전정책관 : "생활방역 일자리 사업에 선발된 시민들을 센터 운영에 투입해서 직원들의 업무 부담도 덜어주고…."]

임시 격리시설을 장기간 운영하는데 따른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 건물 임대기간 끝…임시격리시설 운영 비상
    • 입력 2020-05-14 21:59:09
    • 수정2020-05-14 21:59:11
    뉴스9(광주)
[앵커]

코로나19 해외 유입을 막기 위해 광주시와 전라남도가 마련한 임시 격리시설 운영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다른 기관에서 빌렸던 건물을 비워줘야 하는 데다가 운영에 들어가는 인력과 비용도 만만치 않기 때문입니다.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외 입국자들의 코로나19 확진이 이어지자 임시검사시설 운영에 들어간 전라남도.

지난달 초 가장 먼저 운영을 시작했던 나주 한전KPS 인재개발원은 오는 22일 문을 닫아야 합니다.

그동안 협조를 얻어 사용해왔지만, 약속한 기간이 끝나기 때문입니다.

해외 입국자들이 도착 즉시 머물렀던 또 다른 임시시설 두 곳도, 지난달 말부터 이달 초 사이 차례로 운영을 중단했습니다.

[윤재광/전라남도 총무팀장 : "(임시검사시설로 빌려써 온) 교육 시설들이 6월부터는 교육을 재개할 움직임이 있어서 장소를 비워주게 됐고요. 새로운 임시검사시설을 찾고 있는데…."]

전라남도는 지역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대체 시설 확보에 나섰지만 여의찮자 임대료가 만만치 않은 민간 숙박시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임시검사시설을 언제까지 운영해야 할지도 고민인 상황입니다.

한달 보름 동안 임시검사시설을 거쳐간 해외 입국자는 2천2백여 명.

이곳에서 확인된 확진자는 단 한 명이었지만, 7억원 가량의 예산이 운영비로 들어갔습니다.

해외 입국자 대상 생활치료센터를 운영하면서 확진자 4명을 조기에 찾아낸 광주시도 비슷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자체 시설 운영으로 투입 예산은 비교적 크지 않지만, 운영 인력을 부서별로 차출하면서 행정 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김경미/광주시 안전정책관 : "생활방역 일자리 사업에 선발된 시민들을 센터 운영에 투입해서 직원들의 업무 부담도 덜어주고…."]

임시 격리시설을 장기간 운영하는데 따른 정부 차원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