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제주 제2공항 건설 시 홍수 위험” 의견…국토부에 전달
입력 2020.05.15 (11:23) 수정 2020.05.15 (13:45) 930뉴스(제주)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최근 행정안전부가 국토교통부에게 2공항 건설하면 홍수 위험이 커진다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문을 보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대단체들은 즉각적인 사업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나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 내 동굴과 숨골의 존재 여부를 놓고 부실 조사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 현장.
반대 측은 2공항이 건설되면 물길이 막혀 홍수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홍영철/반대 측 토론자/공청회 당시 : "그걸(동굴) 메워버리면 물이 어디로 가겠습니까? 거꾸로 솟아납니다. 지금 경작지, 마을로 물이 솟아납니다."]
최근 행정안전부에서도 2공항이 건설되면 각종 재해가 우려된다는 의견을 국토교통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행안부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 결과 통보문을 통해, 2공항 예정지 인근 신난천 지구와 온평천 지구 등 두 곳을 언급하며 공항 건설로 하류부에 홍수 유출량이 늘어 위험요인도 커질 거라며 저감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연약한 지반으로 인한 재해도 우려된다며 추가 조사 필요성도 명시했습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음성변조 : "건립된다고 하면 하류부에서 증가되는 홍수 유출량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거에 대해서 어떤 기본계획을 마련할 때 고려를 해라 이런 취지인 거죠."]
반대 단체는 즉각적인 사업 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김정도/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 "(국토부가) 문제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는데 사실 이 보고서의 내용이 나오면서 이번 부분이 상당히 거짓이었거나 부실이었다는 게 밝혀진."]
한편, 취재진은 국토부로부터 입장과 계획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국토교통부에게 2공항 건설하면 홍수 위험이 커진다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문을 보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대단체들은 즉각적인 사업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나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 내 동굴과 숨골의 존재 여부를 놓고 부실 조사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 현장.
반대 측은 2공항이 건설되면 물길이 막혀 홍수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홍영철/반대 측 토론자/공청회 당시 : "그걸(동굴) 메워버리면 물이 어디로 가겠습니까? 거꾸로 솟아납니다. 지금 경작지, 마을로 물이 솟아납니다."]
최근 행정안전부에서도 2공항이 건설되면 각종 재해가 우려된다는 의견을 국토교통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행안부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 결과 통보문을 통해, 2공항 예정지 인근 신난천 지구와 온평천 지구 등 두 곳을 언급하며 공항 건설로 하류부에 홍수 유출량이 늘어 위험요인도 커질 거라며 저감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연약한 지반으로 인한 재해도 우려된다며 추가 조사 필요성도 명시했습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음성변조 : "건립된다고 하면 하류부에서 증가되는 홍수 유출량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거에 대해서 어떤 기본계획을 마련할 때 고려를 해라 이런 취지인 거죠."]
반대 단체는 즉각적인 사업 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김정도/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 "(국토부가) 문제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는데 사실 이 보고서의 내용이 나오면서 이번 부분이 상당히 거짓이었거나 부실이었다는 게 밝혀진."]
한편, 취재진은 국토부로부터 입장과 계획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 “제주 제2공항 건설 시 홍수 위험” 의견…국토부에 전달
-
- 입력 2020-05-15 11:23:58
- 수정2020-05-15 13:45:28

[앵커]
최근 행정안전부가 국토교통부에게 2공항 건설하면 홍수 위험이 커진다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문을 보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대단체들은 즉각적인 사업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나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 내 동굴과 숨골의 존재 여부를 놓고 부실 조사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 현장.
반대 측은 2공항이 건설되면 물길이 막혀 홍수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홍영철/반대 측 토론자/공청회 당시 : "그걸(동굴) 메워버리면 물이 어디로 가겠습니까? 거꾸로 솟아납니다. 지금 경작지, 마을로 물이 솟아납니다."]
최근 행정안전부에서도 2공항이 건설되면 각종 재해가 우려된다는 의견을 국토교통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행안부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 결과 통보문을 통해, 2공항 예정지 인근 신난천 지구와 온평천 지구 등 두 곳을 언급하며 공항 건설로 하류부에 홍수 유출량이 늘어 위험요인도 커질 거라며 저감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연약한 지반으로 인한 재해도 우려된다며 추가 조사 필요성도 명시했습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음성변조 : "건립된다고 하면 하류부에서 증가되는 홍수 유출량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거에 대해서 어떤 기본계획을 마련할 때 고려를 해라 이런 취지인 거죠."]
반대 단체는 즉각적인 사업 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김정도/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 "(국토부가) 문제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는데 사실 이 보고서의 내용이 나오면서 이번 부분이 상당히 거짓이었거나 부실이었다는 게 밝혀진."]
한편, 취재진은 국토부로부터 입장과 계획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최근 행정안전부가 국토교통부에게 2공항 건설하면 홍수 위험이 커진다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문을 보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반대단체들은 즉각적인 사업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나종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주 제2공항 예정부지 내 동굴과 숨골의 존재 여부를 놓고 부실 조사 논란이 불거졌던 지난해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공청회 현장.
반대 측은 2공항이 건설되면 물길이 막혀 홍수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홍영철/반대 측 토론자/공청회 당시 : "그걸(동굴) 메워버리면 물이 어디로 가겠습니까? 거꾸로 솟아납니다. 지금 경작지, 마을로 물이 솟아납니다."]
최근 행정안전부에서도 2공항이 건설되면 각종 재해가 우려된다는 의견을 국토교통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행안부는 재해영향성검토 협의 결과 통보문을 통해, 2공항 예정지 인근 신난천 지구와 온평천 지구 등 두 곳을 언급하며 공항 건설로 하류부에 홍수 유출량이 늘어 위험요인도 커질 거라며 저감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연약한 지반으로 인한 재해도 우려된다며 추가 조사 필요성도 명시했습니다.
[행정안전부 관계자/음성변조 : "건립된다고 하면 하류부에서 증가되는 홍수 유출량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그거에 대해서 어떤 기본계획을 마련할 때 고려를 해라 이런 취지인 거죠."]
반대 단체는 즉각적인 사업 철회를 주장하고 나섰습니다.
[김정도/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 : "(국토부가) 문제없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는데 사실 이 보고서의 내용이 나오면서 이번 부분이 상당히 거짓이었거나 부실이었다는 게 밝혀진."]
한편, 취재진은 국토부로부터 입장과 계획을 듣기 위해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나종훈입니다.
- 기자 정보
-
-
나종훈 기자 na@kbs.co.kr
나종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