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G7 확대되면 한국은 새 국제체제 정식 멤버…국격 상승”

입력 2020.06.02 (15:39) 수정 2020.06.02 (15: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와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대로 '주요 7개국 모임'인 G7이 한국 등 4개국을 포함한 확대 정상 회의로 열린다면 "한국은 G11 또는 G12라는 새로운 국제체제의 정식 멤버가 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세계 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습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오늘(2일) 브리핑에서 어제 있었던 한미 정상 간 전화 통화의 의미에 대해 이같이 설명하고, "연말에 문 대통령의 방미가 성사되면 G7의 옵서버(참관) 자격으로 가는 일시적 성격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G7을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고, 이에 문 대통령은 "G7 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강 대변인은 "세계의 외교 질서가 트럼프 대통령의 표현을 빌리면 낡은 체제인 G7에서 G11 또는 G12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G11 또는 G12의 정식 멤버가 될 경우, 우리나라의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통화 말미에 '이 통화를 대외적으로 언급하고 긍정적 발표문을 내면 좋겠다'고 말했다며, 문 대통령도 '그렇게 하겠다. 한국 국민도 기뻐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G7 외에 한국과 러시아, 호주, 인도 등으로 참여국을 확대할 의사를 밝힌 뒤 가장 먼저 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왔다"며 "한국의 발표로 G11 또는 G12로의 확대를 공식화하려 한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 통화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G7 회의 초청에 대해 "조금도 회피할 필요 없다. 환영할 일"이라고 참모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G7 회의에서 중국 문제를 다루겠다고 했는데,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어제 통화에서 중국 문제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며 "중국의 반발이 예상된다는 언론 보도는 읽었지만, 정부 생각은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거라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또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거라고 보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일단 반발하지 않고 있지 않느냐"며, 문 대통령이 G7 확대 정상회의가 대면 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되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발언한 것의 의미를 생각해달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방한 시점과 문 대통령 방미 시점의 선후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시 주석 방한 시점 자체가 정해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선후를 논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와대 “G7 확대되면 한국은 새 국제체제 정식 멤버…국격 상승”
    • 입력 2020-06-02 15:39:31
    • 수정2020-06-02 15:48:17
    정치
청와대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대로 '주요 7개국 모임'인 G7이 한국 등 4개국을 포함한 확대 정상 회의로 열린다면 "한국은 G11 또는 G12라는 새로운 국제체제의 정식 멤버가 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우리나라가 세계 질서를 이끄는 리더국 중 하나가 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습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오늘(2일) 브리핑에서 어제 있었던 한미 정상 간 전화 통화의 의미에 대해 이같이 설명하고, "연말에 문 대통령의 방미가 성사되면 G7의 옵서버(참관) 자격으로 가는 일시적 성격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G7을 G11이나 G12 체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고, 이에 문 대통령은 "G7 체제의 전환에 공감하며 G7에 한국과 호주, 인도, 러시아를 초청한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강 대변인은 "세계의 외교 질서가 트럼프 대통령의 표현을 빌리면 낡은 체제인 G7에서 G11 또는 G12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G11 또는 G12의 정식 멤버가 될 경우, 우리나라의 국격 상승과 국익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어제 통화 말미에 '이 통화를 대외적으로 언급하고 긍정적 발표문을 내면 좋겠다'고 말했다며, 문 대통령도 '그렇게 하겠다. 한국 국민도 기뻐할 것'이라고 답했다"고 전했습니다.

강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G7 외에 한국과 러시아, 호주, 인도 등으로 참여국을 확대할 의사를 밝힌 뒤 가장 먼저 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왔다"며 "한국의 발표로 G11 또는 G12로의 확대를 공식화하려 한 것"이라고도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 통화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의 G7 회의 초청에 대해 "조금도 회피할 필요 없다. 환영할 일"이라고 참모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G7 회의에서 중국 문제를 다루겠다고 했는데, 중국과의 관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어제 통화에서 중국 문제는 전혀 나오지 않았다"며 "중국의 반발이 예상된다는 언론 보도는 읽었지만, 정부 생각은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거라고 본다"고 답했습니다.

또 '중국이 반발하지 않을 거라고 보는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일단 반발하지 않고 있지 않느냐"며, 문 대통령이 G7 확대 정상회의가 대면 회의로 성공적으로 개최되면 세계가 정상적인 상황과 경제로 돌아간다는 신호탄이 될 것이라는 발언한 것의 의미를 생각해달라고 말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방한 시점과 문 대통령 방미 시점의 선후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에는 "아직 시 주석 방한 시점 자체가 정해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선후를 논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