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19 여파’ 아동학대 신고 감소세…“가정양육 아동 전수조사”

입력 2020.06.12 (19:16) 수정 2020.06.12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충남 천안과 경남 창녕 등에서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 중인 아동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또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근본적 개선대책을 8월 말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찰에 접수된 올해 3~4월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각각 887건과 999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달 200건 가량 줄어든 수칩니다.

[이봉주/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코로나 사태로 아동들이 집밖에 잘 안 나오고, 학교도 못가고 있었고, 그러다 보니 신고가 많이 줄어든 게 또 사실이고요."]

학교나 어린이집 등 외부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들이 늘었다는 이야깁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보내지 않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 초등학생 예비소집 단계에서 전수조사를 하던 걸 만 3세 아동까지 범위를 확대하는 겁니다.

예방접종과 건강검진을 받지 않은 영유아 중 학대 의심 사례도 선별하기로 했습니다.

지자체와 경찰,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최근 3년간 학대 신고된 아동의 안전을 다시 한 번 점검합니다.

특히 2월부터 지난달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중 접수된 아동학대 신고는 전수 모니터링하기로 했습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당장 할 수 있는 일들은 즉각적으로 시행하고,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개선 대책은 8월 말까지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동보호전문기관과 학대 피해아동 쉼터 등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미국처럼 학대 피해 아동이 발견될 경우 해당 아동을 국가가 가정에서 분리해 전문기관에 맡기는 '즉각 분리제도' 도입도 예상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코로나 19 여파’ 아동학대 신고 감소세…“가정양육 아동 전수조사”
    • 입력 2020-06-12 19:19:34
    • 수정2020-06-12 19:26:14
    뉴스 7
[앵커]

최근 충남 천안과 경남 창녕 등에서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 중인 아동에 대한 전수조사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또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근본적 개선대책을 8월 말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석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경찰에 접수된 올해 3~4월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각각 887건과 999건입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달 200건 가량 줄어든 수칩니다.

[이봉주/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코로나 사태로 아동들이 집밖에 잘 안 나오고, 학교도 못가고 있었고, 그러다 보니 신고가 많이 줄어든 게 또 사실이고요."]

학교나 어린이집 등 외부 관리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들이 늘었다는 이야깁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아동학대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자 정부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보내지 않은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전수조사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에 초등학생 예비소집 단계에서 전수조사를 하던 걸 만 3세 아동까지 범위를 확대하는 겁니다.

예방접종과 건강검진을 받지 않은 영유아 중 학대 의심 사례도 선별하기로 했습니다.

지자체와 경찰,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최근 3년간 학대 신고된 아동의 안전을 다시 한 번 점검합니다.

특히 2월부터 지난달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 중 접수된 아동학대 신고는 전수 모니터링하기로 했습니다.

[유은혜/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 "당장 할 수 있는 일들은 즉각적으로 시행하고, 보다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개선 대책은 8월 말까지 마련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아동보호전문기관과 학대 피해아동 쉼터 등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미국처럼 학대 피해 아동이 발견될 경우 해당 아동을 국가가 가정에서 분리해 전문기관에 맡기는 '즉각 분리제도' 도입도 예상됩니다.

KBS 뉴스 홍석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