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명숙 사건 진정서 감찰부서 이첩안해…검찰 내부 갈등 심화
입력 2020.06.18 (09:43)
수정 2020.06.18 (10: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 불법 정치자금 사건 수사팀의 위증 등 부적절 행위에 대한 진정 사건의 배당을 둘러싼 검찰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대검찰청은 해당 사건을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했고 이후 인원 보강 등을 거쳐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은 감찰부에서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동수 감찰부장이 이 과정에서 조사 담당 부서에 항의성 공문을 보내고 진정서 원본 등 관련 자료의 이관을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 부장은 또 법무부로부터 진정 사건을 이첩받고 자체적으로 조사를 진행해오다가 지난달 말에서야 윤석열 총장에게 관련 보고를 했습니다.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이같은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한 부장에 대한 모종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의 핵심 증인 故 한만호 씨의 동료 수감자였던 최모 씨는 2011년 초 한 전 총리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가 '한 씨가 한 전 총리에게 돈을 줬다는 얘기를 했다'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 최 씨는 지난 4월, 당시 검찰 수사팀이 증언 조작 등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면서 이를 조사해달라고 법무부에 진정서를 냈고 이 진정이 다른 동료 수감자들의 주장과 함께 맞물리면서 한 전 총리 수사팀의 위증 교사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대검찰청은 해당 사건을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했고 이후 인원 보강 등을 거쳐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은 감찰부에서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동수 감찰부장이 이 과정에서 조사 담당 부서에 항의성 공문을 보내고 진정서 원본 등 관련 자료의 이관을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 부장은 또 법무부로부터 진정 사건을 이첩받고 자체적으로 조사를 진행해오다가 지난달 말에서야 윤석열 총장에게 관련 보고를 했습니다.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이같은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한 부장에 대한 모종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의 핵심 증인 故 한만호 씨의 동료 수감자였던 최모 씨는 2011년 초 한 전 총리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가 '한 씨가 한 전 총리에게 돈을 줬다는 얘기를 했다'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 최 씨는 지난 4월, 당시 검찰 수사팀이 증언 조작 등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면서 이를 조사해달라고 법무부에 진정서를 냈고 이 진정이 다른 동료 수감자들의 주장과 함께 맞물리면서 한 전 총리 수사팀의 위증 교사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명숙 사건 진정서 감찰부서 이첩안해…검찰 내부 갈등 심화
-
- 입력 2020-06-18 09:43:25
- 수정2020-06-18 10:01:28

한명숙 전 국무총리 불법 정치자금 사건 수사팀의 위증 등 부적절 행위에 대한 진정 사건의 배당을 둘러싼 검찰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대검찰청은 해당 사건을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했고 이후 인원 보강 등을 거쳐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은 감찰부에서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동수 감찰부장이 이 과정에서 조사 담당 부서에 항의성 공문을 보내고 진정서 원본 등 관련 자료의 이관을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 부장은 또 법무부로부터 진정 사건을 이첩받고 자체적으로 조사를 진행해오다가 지난달 말에서야 윤석열 총장에게 관련 보고를 했습니다.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이같은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한 부장에 대한 모종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의 핵심 증인 故 한만호 씨의 동료 수감자였던 최모 씨는 2011년 초 한 전 총리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가 '한 씨가 한 전 총리에게 돈을 줬다는 얘기를 했다'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 최 씨는 지난 4월, 당시 검찰 수사팀이 증언 조작 등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면서 이를 조사해달라고 법무부에 진정서를 냈고 이 진정이 다른 동료 수감자들의 주장과 함께 맞물리면서 한 전 총리 수사팀의 위증 교사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대검찰청은 해당 사건을 지난 1일 서울중앙지검 인권감독관에게 배당했고 이후 인원 보강 등을 거쳐 전담 조사팀이 꾸려져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동수 대검 감찰부장은 감찰부에서 이 사건에 대한 조사를 계속 진행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동수 감찰부장이 이 과정에서 조사 담당 부서에 항의성 공문을 보내고 진정서 원본 등 관련 자료의 이관을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 부장은 또 법무부로부터 진정 사건을 이첩받고 자체적으로 조사를 진행해오다가 지난달 말에서야 윤석열 총장에게 관련 보고를 했습니다.
대검 내에서는 한동수 부장의 이같은 행위가 사건 배당 절차에 반하는 항명 또는 직권 남용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한 부장에 대한 모종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앞서 한명숙 전 총리 사건의 핵심 증인 故 한만호 씨의 동료 수감자였던 최모 씨는 2011년 초 한 전 총리의 재판에 증인으로 나가 '한 씨가 한 전 총리에게 돈을 줬다는 얘기를 했다'고 증언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후 최 씨는 지난 4월, 당시 검찰 수사팀이 증언 조작 등 부적절한 행위를 했다면서 이를 조사해달라고 법무부에 진정서를 냈고 이 진정이 다른 동료 수감자들의 주장과 함께 맞물리면서 한 전 총리 수사팀의 위증 교사 의혹이 불거졌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형원 기자 roediec@kbs.co.kr
최형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