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동북아 에너지 허브 위한 과제는?
입력 2020.06.19 (07:33) 수정 2020.06.19 (15:29) 뉴스광장(울산)
[앵커]
울산 북항의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 1단계가 다음달 착공한다는 보도, 어제 해드렸는데요,
오늘은 북항은 물론 계획단계에만 머물고 있는 남항 개발과 비즈니스 환경 조성 등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이상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울산 남항의 오일 허브 사업 예정지입니다.
2017년 6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매립은커녕 투자자도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당초 38만 제곱미터에 원유 천 6백만 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화석 연료 사용 규제와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로 계획이 전면 재검토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울산이 수소 산업 선도를 목표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상황에서 앞으로 사용량이 늘어날 수소는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만큼 남항을 수소 비축기지로 활용하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재경/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 "남항에 수소 비축 시설이 건설되면 전국적으로 안정적인 수소 공급 기반이 마련되고,울산이 전국 수소공급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LNG 수요 증가에 따른 대비책도 필요합니다.
규제에 따라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이 늘 수밖에 없고, 주유소 개념인 '벙커링'작업이 필수적이어서 울산 북항과 남항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또 북항과 남항을 묶어 울산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면 에너지 기업 유치와 관련 산업 육성도 탄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반에다 사업 여건을 갖추는 작업도 필요합니다.
[강영훈/울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오일이나 석유제품 등을 트레이딩(거래) 할 수 있는 비즈니스 공간,그리고 트레이더(중개인)들이 울산에 와서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여건,이런 것까지 갖추어 가지고 명실공히 에너지 허브로 나아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항만과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를 가진 울산, 변화하는 에너지 흐름의 물결속에 동북아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울산 북항의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 1단계가 다음달 착공한다는 보도, 어제 해드렸는데요,
오늘은 북항은 물론 계획단계에만 머물고 있는 남항 개발과 비즈니스 환경 조성 등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이상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울산 남항의 오일 허브 사업 예정지입니다.
2017년 6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매립은커녕 투자자도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당초 38만 제곱미터에 원유 천 6백만 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화석 연료 사용 규제와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로 계획이 전면 재검토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울산이 수소 산업 선도를 목표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상황에서 앞으로 사용량이 늘어날 수소는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만큼 남항을 수소 비축기지로 활용하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재경/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 "남항에 수소 비축 시설이 건설되면 전국적으로 안정적인 수소 공급 기반이 마련되고,울산이 전국 수소공급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LNG 수요 증가에 따른 대비책도 필요합니다.
규제에 따라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이 늘 수밖에 없고, 주유소 개념인 '벙커링'작업이 필수적이어서 울산 북항과 남항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또 북항과 남항을 묶어 울산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면 에너지 기업 유치와 관련 산업 육성도 탄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반에다 사업 여건을 갖추는 작업도 필요합니다.
[강영훈/울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오일이나 석유제품 등을 트레이딩(거래) 할 수 있는 비즈니스 공간,그리고 트레이더(중개인)들이 울산에 와서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여건,이런 것까지 갖추어 가지고 명실공히 에너지 허브로 나아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항만과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를 가진 울산, 변화하는 에너지 흐름의 물결속에 동북아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 동북아 에너지 허브 위한 과제는?
-
- 입력 2020-06-19 07:33:04
- 수정2020-06-19 15:29:25

[앵커]
울산 북항의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 1단계가 다음달 착공한다는 보도, 어제 해드렸는데요,
오늘은 북항은 물론 계획단계에만 머물고 있는 남항 개발과 비즈니스 환경 조성 등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이상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울산 남항의 오일 허브 사업 예정지입니다.
2017년 6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매립은커녕 투자자도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당초 38만 제곱미터에 원유 천 6백만 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화석 연료 사용 규제와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로 계획이 전면 재검토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울산이 수소 산업 선도를 목표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상황에서 앞으로 사용량이 늘어날 수소는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만큼 남항을 수소 비축기지로 활용하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재경/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 "남항에 수소 비축 시설이 건설되면 전국적으로 안정적인 수소 공급 기반이 마련되고,울산이 전국 수소공급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LNG 수요 증가에 따른 대비책도 필요합니다.
규제에 따라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이 늘 수밖에 없고, 주유소 개념인 '벙커링'작업이 필수적이어서 울산 북항과 남항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또 북항과 남항을 묶어 울산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면 에너지 기업 유치와 관련 산업 육성도 탄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반에다 사업 여건을 갖추는 작업도 필요합니다.
[강영훈/울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오일이나 석유제품 등을 트레이딩(거래) 할 수 있는 비즈니스 공간,그리고 트레이더(중개인)들이 울산에 와서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여건,이런 것까지 갖추어 가지고 명실공히 에너지 허브로 나아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항만과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를 가진 울산, 변화하는 에너지 흐름의 물결속에 동북아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울산 북항의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사업 1단계가 다음달 착공한다는 보도, 어제 해드렸는데요,
오늘은 북항은 물론 계획단계에만 머물고 있는 남항 개발과 비즈니스 환경 조성 등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이상준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울산 남항의 오일 허브 사업 예정지입니다.
2017년 6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지만, 매립은커녕 투자자도 결정되지 않았습니다.
당초 38만 제곱미터에 원유 천 6백만 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탱크가 들어설 계획이었지만, 화석 연료 사용 규제와 친환경 에너지 수요 증가로 계획이 전면 재검토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울산이 수소 산업 선도를 목표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상황에서 앞으로 사용량이 늘어날 수소는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만큼 남항을 수소 비축기지로 활용하자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김재경/에너지경제연구원 박사 : "남항에 수소 비축 시설이 건설되면 전국적으로 안정적인 수소 공급 기반이 마련되고,울산이 전국 수소공급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LNG 수요 증가에 따른 대비책도 필요합니다.
규제에 따라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이 늘 수밖에 없고, 주유소 개념인 '벙커링'작업이 필수적이어서 울산 북항과 남항을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
또 북항과 남항을 묶어 울산경제자유구역을 확대하면 에너지 기업 유치와 관련 산업 육성도 탄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기반에다 사업 여건을 갖추는 작업도 필요합니다.
[강영훈/울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오일이나 석유제품 등을 트레이딩(거래) 할 수 있는 비즈니스 공간,그리고 트레이더(중개인)들이 울산에 와서 거주할 수 있는 정주 여건,이런 것까지 갖추어 가지고 명실공히 에너지 허브로 나아갈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항만과 국내 최대 석유화학단지를 가진 울산, 변화하는 에너지 흐름의 물결속에 동북아 에너지 허브로 나아가기 위한 도전이 시작됐습니다.
KBS 뉴스 이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울산)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상준 기자 lsjun@kbs.co.kr
이상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