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통합당 내부서 ‘핵무장론’ 솔솔…오세훈 “검토라도 해야”
입력 2020.06.19 (10:18) 수정 2020.06.19 (11:19) 정치
미래통합당 내부에서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해 한국이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통합당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오늘(19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서 "중국이 움직여야 북한이 그나마 핵 폐기를 고려할 상황을 만들 수 있는데, 그러려면 우리가 '핵 카드'를 만지작할 수밖에 없다"면서 "핵 개발이나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전술핵 재배치, 유럽식 핵 프로그램 도입 등 몇 가지 옵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핵무장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중국은 굉장히 생각이 복잡해질 것"이라며 "중국이 절대 바라지 않는 것이 한반도에 다시 핵이 들어오는 것이다. 그렇게 중국을 움직여서 북한을 움직이는 법 이외에는 북한 핵을 폐기할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다만 "미국이 우리 핵 개발을 용인할 상황도 아니고, 전술핵 재배치는 주변 4강과의 갈등 소지가 있는 정책인데 어떻게 100% 밀어붙이겠다고 말씀드리겠느냐"면서 "북한 비핵화를 위해 (핵무장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하면, 북한도 중국도 변화하도록 지렛대로 사용하는 게 가능해진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육군 교육사령관 출신 한기호 의원(3선· 강원 춘천철원화천양구 을)은 지난 17일 당 외교안보특위 회의에서 "북한은 핵무기를 믿고 (도발을) 하는 것"이라며 "핵무기에는 핵무기밖에 대응책이 없다.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한 의원은 이 자리에서 통일부가 북한 정세를 오판하고 대북정책을 잘못 수립했다며 다음 정권에선 통일부 폐지도 고려해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핵 무장론'과 관련해 통합당 외교안보특위 위원장인 박진 의원은 "개별 의원들의 의견이고 당론 차원의 의견은 아니다"라면서 "지난해 자유한국당 시절 한미 핵 공유를 당론으로 포함시킨 적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외교안보특위를 통해서 북한의 핵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통합당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오늘(19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서 "중국이 움직여야 북한이 그나마 핵 폐기를 고려할 상황을 만들 수 있는데, 그러려면 우리가 '핵 카드'를 만지작할 수밖에 없다"면서 "핵 개발이나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전술핵 재배치, 유럽식 핵 프로그램 도입 등 몇 가지 옵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핵무장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중국은 굉장히 생각이 복잡해질 것"이라며 "중국이 절대 바라지 않는 것이 한반도에 다시 핵이 들어오는 것이다. 그렇게 중국을 움직여서 북한을 움직이는 법 이외에는 북한 핵을 폐기할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다만 "미국이 우리 핵 개발을 용인할 상황도 아니고, 전술핵 재배치는 주변 4강과의 갈등 소지가 있는 정책인데 어떻게 100% 밀어붙이겠다고 말씀드리겠느냐"면서 "북한 비핵화를 위해 (핵무장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하면, 북한도 중국도 변화하도록 지렛대로 사용하는 게 가능해진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육군 교육사령관 출신 한기호 의원(3선· 강원 춘천철원화천양구 을)은 지난 17일 당 외교안보특위 회의에서 "북한은 핵무기를 믿고 (도발을) 하는 것"이라며 "핵무기에는 핵무기밖에 대응책이 없다.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한 의원은 이 자리에서 통일부가 북한 정세를 오판하고 대북정책을 잘못 수립했다며 다음 정권에선 통일부 폐지도 고려해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핵 무장론'과 관련해 통합당 외교안보특위 위원장인 박진 의원은 "개별 의원들의 의견이고 당론 차원의 의견은 아니다"라면서 "지난해 자유한국당 시절 한미 핵 공유를 당론으로 포함시킨 적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외교안보특위를 통해서 북한의 핵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 통합당 내부서 ‘핵무장론’ 솔솔…오세훈 “검토라도 해야”
-
- 입력 2020-06-19 10:18:50
- 수정2020-06-19 11:19:01

미래통합당 내부에서 북한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와 관련해 한국이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습니다.
통합당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오늘(19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서 "중국이 움직여야 북한이 그나마 핵 폐기를 고려할 상황을 만들 수 있는데, 그러려면 우리가 '핵 카드'를 만지작할 수밖에 없다"면서 "핵 개발이나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전술핵 재배치, 유럽식 핵 프로그램 도입 등 몇 가지 옵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핵무장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중국은 굉장히 생각이 복잡해질 것"이라며 "중국이 절대 바라지 않는 것이 한반도에 다시 핵이 들어오는 것이다. 그렇게 중국을 움직여서 북한을 움직이는 법 이외에는 북한 핵을 폐기할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다만 "미국이 우리 핵 개발을 용인할 상황도 아니고, 전술핵 재배치는 주변 4강과의 갈등 소지가 있는 정책인데 어떻게 100% 밀어붙이겠다고 말씀드리겠느냐"면서 "북한 비핵화를 위해 (핵무장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하면, 북한도 중국도 변화하도록 지렛대로 사용하는 게 가능해진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육군 교육사령관 출신 한기호 의원(3선· 강원 춘천철원화천양구 을)은 지난 17일 당 외교안보특위 회의에서 "북한은 핵무기를 믿고 (도발을) 하는 것"이라며 "핵무기에는 핵무기밖에 대응책이 없다.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한 의원은 이 자리에서 통일부가 북한 정세를 오판하고 대북정책을 잘못 수립했다며 다음 정권에선 통일부 폐지도 고려해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핵 무장론'과 관련해 통합당 외교안보특위 위원장인 박진 의원은 "개별 의원들의 의견이고 당론 차원의 의견은 아니다"라면서 "지난해 자유한국당 시절 한미 핵 공유를 당론으로 포함시킨 적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외교안보특위를 통해서 북한의 핵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통합당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오늘(19일) 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에서 "중국이 움직여야 북한이 그나마 핵 폐기를 고려할 상황을 만들 수 있는데, 그러려면 우리가 '핵 카드'를 만지작할 수밖에 없다"면서 "핵 개발이나 미국과의 협상을 통한 전술핵 재배치, 유럽식 핵 프로그램 도입 등 몇 가지 옵션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핵무장을) 고려하기 시작했다는 사실만으로도 중국은 굉장히 생각이 복잡해질 것"이라며 "중국이 절대 바라지 않는 것이 한반도에 다시 핵이 들어오는 것이다. 그렇게 중국을 움직여서 북한을 움직이는 법 이외에는 북한 핵을 폐기할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오 전 시장은 다만 "미국이 우리 핵 개발을 용인할 상황도 아니고, 전술핵 재배치는 주변 4강과의 갈등 소지가 있는 정책인데 어떻게 100% 밀어붙이겠다고 말씀드리겠느냐"면서 "북한 비핵화를 위해 (핵무장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으로 선회하면, 북한도 중국도 변화하도록 지렛대로 사용하는 게 가능해진다는 취지"라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육군 교육사령관 출신 한기호 의원(3선· 강원 춘천철원화천양구 을)은 지난 17일 당 외교안보특위 회의에서 "북한은 핵무기를 믿고 (도발을) 하는 것"이라며 "핵무기에는 핵무기밖에 대응책이 없다.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발언했습니다.
한 의원은 이 자리에서 통일부가 북한 정세를 오판하고 대북정책을 잘못 수립했다며 다음 정권에선 통일부 폐지도 고려해야 한다고도 했습니다.
'핵 무장론'과 관련해 통합당 외교안보특위 위원장인 박진 의원은 "개별 의원들의 의견이고 당론 차원의 의견은 아니다"라면서 "지난해 자유한국당 시절 한미 핵 공유를 당론으로 포함시킨 적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외교안보특위를 통해서 북한의 핵을 억제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신지혜 기자 new@kbs.co.kr
신지혜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