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양방향 백운고가 철거 뒤 지하차도는 ‘일방향’
입력 2020.06.19 (14:46) 수정 2020.06.19 (15:46) 930뉴스(광주)
[앵커]
이달부터 광주 백운고가가 철거 공사에 들어갔죠?
고가도로가 철거되고 나면 지하차도가 만들어지는데, 양방향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만 놓인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을 시민들은 잘 모르는데,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류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본격적인 철거 공사를 준비 중인 광주 백운 고가도로입니다.
고가도로를 걷어내면, 대신 지하 차도를 놓을 계획입니다.
그런데, 지하차도는 남광주에서 농성동 방향으로만 뚫리고, 농성동에서 남광주 방향은 땅 위에 도로가 놓입니다.
지하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푸른길' 아래에 놓으려던 도시철도가 지금의 도로 쪽으로 넘어오면서 생긴 일입니다.
[광주 도시철도공사 공사계획과장 : "(도로 쪽으로 온 게 푸른길 훼손 반대, 그것 때문에 결국 그런 건가요?) 그렇다고 봐야죠. 그것을 당시 (윤장현) 시장님도 수용하시고.."]
하지만 정작 푸른길은 최근 하수관로 공사를 하며 파헤쳐졌습니다.
양방향 지하차도가 일방향으로 바뀌면서 시민들의 교통 편익이 줄었지만 이를 아는 시민은 거의 없습니다.
[정재필/광주시 백운동 주민 : "(일 방향 된다는 거 혹시 아셨어요?) 그것은 몰랐어요. 저는 지하차도가 생긴다고는 알았는데, 일 방향만 된다는 것은 몰랐거든요."]
교차로 신호를 거치지 않는 양방향 고가 대신, 교차로를 통과하는 지상도로가 생기면 혼잡이 예상되는데, 광주시는 문제 없다고 말합니다.
[윤정호/광주시 도로과 주무관 : "도로 용량이 확장되다보니까 교통대책 개선효과가 36%가량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습니다.]
백운고가 철거 공사에 따른 교통 혼잡 대책을 대대적으로 홍보 중인 광주시.
정작 계획 단계에서 더 큰 불편에 대한 해법 찾기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이달부터 광주 백운고가가 철거 공사에 들어갔죠?
고가도로가 철거되고 나면 지하차도가 만들어지는데, 양방향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만 놓인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을 시민들은 잘 모르는데,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류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본격적인 철거 공사를 준비 중인 광주 백운 고가도로입니다.
고가도로를 걷어내면, 대신 지하 차도를 놓을 계획입니다.
그런데, 지하차도는 남광주에서 농성동 방향으로만 뚫리고, 농성동에서 남광주 방향은 땅 위에 도로가 놓입니다.
지하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푸른길' 아래에 놓으려던 도시철도가 지금의 도로 쪽으로 넘어오면서 생긴 일입니다.
[광주 도시철도공사 공사계획과장 : "(도로 쪽으로 온 게 푸른길 훼손 반대, 그것 때문에 결국 그런 건가요?) 그렇다고 봐야죠. 그것을 당시 (윤장현) 시장님도 수용하시고.."]
하지만 정작 푸른길은 최근 하수관로 공사를 하며 파헤쳐졌습니다.
양방향 지하차도가 일방향으로 바뀌면서 시민들의 교통 편익이 줄었지만 이를 아는 시민은 거의 없습니다.
[정재필/광주시 백운동 주민 : "(일 방향 된다는 거 혹시 아셨어요?) 그것은 몰랐어요. 저는 지하차도가 생긴다고는 알았는데, 일 방향만 된다는 것은 몰랐거든요."]
교차로 신호를 거치지 않는 양방향 고가 대신, 교차로를 통과하는 지상도로가 생기면 혼잡이 예상되는데, 광주시는 문제 없다고 말합니다.
[윤정호/광주시 도로과 주무관 : "도로 용량이 확장되다보니까 교통대책 개선효과가 36%가량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습니다.]
백운고가 철거 공사에 따른 교통 혼잡 대책을 대대적으로 홍보 중인 광주시.
정작 계획 단계에서 더 큰 불편에 대한 해법 찾기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 양방향 백운고가 철거 뒤 지하차도는 ‘일방향’
-
- 입력 2020-06-19 14:46:37
- 수정2020-06-19 15:46:22

[앵커]
이달부터 광주 백운고가가 철거 공사에 들어갔죠?
고가도로가 철거되고 나면 지하차도가 만들어지는데, 양방향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만 놓인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을 시민들은 잘 모르는데,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류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본격적인 철거 공사를 준비 중인 광주 백운 고가도로입니다.
고가도로를 걷어내면, 대신 지하 차도를 놓을 계획입니다.
그런데, 지하차도는 남광주에서 농성동 방향으로만 뚫리고, 농성동에서 남광주 방향은 땅 위에 도로가 놓입니다.
지하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푸른길' 아래에 놓으려던 도시철도가 지금의 도로 쪽으로 넘어오면서 생긴 일입니다.
[광주 도시철도공사 공사계획과장 : "(도로 쪽으로 온 게 푸른길 훼손 반대, 그것 때문에 결국 그런 건가요?) 그렇다고 봐야죠. 그것을 당시 (윤장현) 시장님도 수용하시고.."]
하지만 정작 푸른길은 최근 하수관로 공사를 하며 파헤쳐졌습니다.
양방향 지하차도가 일방향으로 바뀌면서 시민들의 교통 편익이 줄었지만 이를 아는 시민은 거의 없습니다.
[정재필/광주시 백운동 주민 : "(일 방향 된다는 거 혹시 아셨어요?) 그것은 몰랐어요. 저는 지하차도가 생긴다고는 알았는데, 일 방향만 된다는 것은 몰랐거든요."]
교차로 신호를 거치지 않는 양방향 고가 대신, 교차로를 통과하는 지상도로가 생기면 혼잡이 예상되는데, 광주시는 문제 없다고 말합니다.
[윤정호/광주시 도로과 주무관 : "도로 용량이 확장되다보니까 교통대책 개선효과가 36%가량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습니다.]
백운고가 철거 공사에 따른 교통 혼잡 대책을 대대적으로 홍보 중인 광주시.
정작 계획 단계에서 더 큰 불편에 대한 해법 찾기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이달부터 광주 백운고가가 철거 공사에 들어갔죠?
고가도로가 철거되고 나면 지하차도가 만들어지는데, 양방향이 아니라 한 방향으로만 놓인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을 시민들은 잘 모르는데, 무슨 이유 때문일까요?
류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본격적인 철거 공사를 준비 중인 광주 백운 고가도로입니다.
고가도로를 걷어내면, 대신 지하 차도를 놓을 계획입니다.
그런데, 지하차도는 남광주에서 농성동 방향으로만 뚫리고, 농성동에서 남광주 방향은 땅 위에 도로가 놓입니다.
지하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푸른길' 아래에 놓으려던 도시철도가 지금의 도로 쪽으로 넘어오면서 생긴 일입니다.
[광주 도시철도공사 공사계획과장 : "(도로 쪽으로 온 게 푸른길 훼손 반대, 그것 때문에 결국 그런 건가요?) 그렇다고 봐야죠. 그것을 당시 (윤장현) 시장님도 수용하시고.."]
하지만 정작 푸른길은 최근 하수관로 공사를 하며 파헤쳐졌습니다.
양방향 지하차도가 일방향으로 바뀌면서 시민들의 교통 편익이 줄었지만 이를 아는 시민은 거의 없습니다.
[정재필/광주시 백운동 주민 : "(일 방향 된다는 거 혹시 아셨어요?) 그것은 몰랐어요. 저는 지하차도가 생긴다고는 알았는데, 일 방향만 된다는 것은 몰랐거든요."]
교차로 신호를 거치지 않는 양방향 고가 대신, 교차로를 통과하는 지상도로가 생기면 혼잡이 예상되는데, 광주시는 문제 없다고 말합니다.
[윤정호/광주시 도로과 주무관 : "도로 용량이 확장되다보니까 교통대책 개선효과가 36%가량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습니다.]
백운고가 철거 공사에 따른 교통 혼잡 대책을 대대적으로 홍보 중인 광주시.
정작 계획 단계에서 더 큰 불편에 대한 해법 찾기는 소홀했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930뉴스(광주)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류성호 기자 menbal@kbs.co.kr
류성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