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최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밝힌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오늘(19일) 이임식을 하고 장관직에서 물러났습니다.
김 장관은 이임사에서 최근 남북관계 위기에 대해 "(남북이) 실망과 증오의 감정을 주고받는 현재 상황에서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며 "결코 증오로 증오를 이길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남북관계에는 치유할 상처가 많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상처를 덧붙이면 치유는 그만큼 어려워진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여기서 멈춰야 한다"면서 "저의 물러남이 잠시 멈춤의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가장 안타까웠던 순간은 고생하는 여러분(통일부 직원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때였다"며 "주어진 권한에 비해 짊어져야 하는 짐은 너무나 무거웠다"면서 통일부의 제한적 권한으로 남북관계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한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도 드러냈습니다.
김 장관은 "저의 사임이 지금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쇄신하고 통일부의 위상과 역할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 17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전격 사의를 표했습니다.
김 장관은 조명균 전 장관에 이어 현 정부의 두 번째 통일부 수장이었으며, 취임 1년 2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장관은 이임사에서 최근 남북관계 위기에 대해 "(남북이) 실망과 증오의 감정을 주고받는 현재 상황에서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며 "결코 증오로 증오를 이길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남북관계에는 치유할 상처가 많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상처를 덧붙이면 치유는 그만큼 어려워진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여기서 멈춰야 한다"면서 "저의 물러남이 잠시 멈춤의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가장 안타까웠던 순간은 고생하는 여러분(통일부 직원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때였다"며 "주어진 권한에 비해 짊어져야 하는 짐은 너무나 무거웠다"면서 통일부의 제한적 권한으로 남북관계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한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도 드러냈습니다.
김 장관은 "저의 사임이 지금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쇄신하고 통일부의 위상과 역할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 17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전격 사의를 표했습니다.
김 장관은 조명균 전 장관에 이어 현 정부의 두 번째 통일부 수장이었으며, 취임 1년 2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김연철 “증오로 증오 이길 수 없어…여기서 멈춰야”
-
- 입력 2020-06-19 16:24:22
- 수정2020-06-19 16:28:08

최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밝힌 김연철 통일부 장관이 오늘(19일) 이임식을 하고 장관직에서 물러났습니다.
김 장관은 이임사에서 최근 남북관계 위기에 대해 "(남북이) 실망과 증오의 감정을 주고받는 현재 상황에서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며 "결코 증오로 증오를 이길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남북관계에는 치유할 상처가 많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상처를 덧붙이면 치유는 그만큼 어려워진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여기서 멈춰야 한다"면서 "저의 물러남이 잠시 멈춤의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가장 안타까웠던 순간은 고생하는 여러분(통일부 직원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때였다"며 "주어진 권한에 비해 짊어져야 하는 짐은 너무나 무거웠다"면서 통일부의 제한적 권한으로 남북관계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한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도 드러냈습니다.
김 장관은 "저의 사임이 지금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쇄신하고 통일부의 위상과 역할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 17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전격 사의를 표했습니다.
김 장관은 조명균 전 장관에 이어 현 정부의 두 번째 통일부 수장이었으며, 취임 1년 2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장관은 이임사에서 최근 남북관계 위기에 대해 "(남북이) 실망과 증오의 감정을 주고받는 현재 상황에서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다"며 "결코 증오로 증오를 이길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남북관계에는 치유할 상처가 많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상처를 덧붙이면 치유는 그만큼 어려워진다"고 말했습니다.
김 장관은 "여기서 멈춰야 한다"면서 "저의 물러남이 잠시 멈춤의 기회가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김 장관은 "가장 안타까웠던 순간은 고생하는 여러분(통일부 직원들)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때였다"며 "주어진 권한에 비해 짊어져야 하는 짐은 너무나 무거웠다"면서 통일부의 제한적 권한으로 남북관계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한 현실에 대해 안타까움도 드러냈습니다.
김 장관은 "저의 사임이 지금의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쇄신하고 통일부의 위상과 역할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김 장관은 지난 17일 "남북관계 악화에 대해 누군가는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면서 전격 사의를 표했습니다.
김 장관은 조명균 전 장관에 이어 현 정부의 두 번째 통일부 수장이었으며, 취임 1년 2개월 만에 장관직에서 물러나게 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자 정보
-
-
신선민 기자 freshmin@kbs.co.kr
신선민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