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 직격탄 ‘체험 마을’…지원 절실
입력 2020.06.19 (22:05) 수정 2020.06.19 (22:05) 뉴스9(춘천)
[앵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를 맞은 곳이 한둘이 아니지만, 농산어촌의 체험마을들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체험객들이 사라지면서, 사실상 포기 상태인데, 일부에선 활로를 찾고 있다지만, 지원이 절실하다고 합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릉의 한 농촌체험마을입니다.
복사꽃축제로 유명해, 한 해 체험객만 2천5백여 명에 이르지만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발길이 끊겼습니다.
하지만 아예 포기할 수 없어, 최근, 체험객 유치에 다시 나섰습니다.
4천여 그루 개복숭아 나무에서 열매를 직접 따는 야외 체험행사로, 이번 주말부터 시작합니다.
[최주영/강릉 복사꽃마을 대표 : "가족 단위 분들이 오시면 한 나무씩 (체험)하기 때문에 아마 거리는 5~10미터씩 되기 때문에 코로나 대해선 아무 걱정을 안 하시고 충분히 체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체험마을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거의 포기 상탭니다.
체험객의 대부분이던 유치원생과 학생들이 오지 않으면서, 체험객 수가 지난해 대비 10분에 1로 줄었습니다.
때문에 매출액도 거의 없어, 강원지역 농산어촌 체험마을 284곳 가운데, 80% 이상이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희진/강릉솔내마을 사무장 : "문의 자체가 없어요. 문의가 없으니까 저희가 준비할 수 있는 것도 없고, 매출이나 수익사업도 하나도 할 수 없고, 그냥 다 멈춰있는 상태예요."]
그런데도 전기요금과 인건비 등 기본 경비는 계속 빠져나가 걱정입니다.
사업장 등록이 안 된 곳은 코로나19 긴급 지원도 받지 못했습니다.
[김창기/강원도 농어촌체험휴양마을협의회 회장 :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운영비, 그리고 사무장 지원을 100% 정도 한시적으로라도, 이 코로나 시기가 진정될 때까지만이라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농산어촌 체험마을들이 조금씩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가장 시급한 실정입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를 맞은 곳이 한둘이 아니지만, 농산어촌의 체험마을들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체험객들이 사라지면서, 사실상 포기 상태인데, 일부에선 활로를 찾고 있다지만, 지원이 절실하다고 합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릉의 한 농촌체험마을입니다.
복사꽃축제로 유명해, 한 해 체험객만 2천5백여 명에 이르지만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발길이 끊겼습니다.
하지만 아예 포기할 수 없어, 최근, 체험객 유치에 다시 나섰습니다.
4천여 그루 개복숭아 나무에서 열매를 직접 따는 야외 체험행사로, 이번 주말부터 시작합니다.
[최주영/강릉 복사꽃마을 대표 : "가족 단위 분들이 오시면 한 나무씩 (체험)하기 때문에 아마 거리는 5~10미터씩 되기 때문에 코로나 대해선 아무 걱정을 안 하시고 충분히 체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체험마을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거의 포기 상탭니다.
체험객의 대부분이던 유치원생과 학생들이 오지 않으면서, 체험객 수가 지난해 대비 10분에 1로 줄었습니다.
때문에 매출액도 거의 없어, 강원지역 농산어촌 체험마을 284곳 가운데, 80% 이상이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희진/강릉솔내마을 사무장 : "문의 자체가 없어요. 문의가 없으니까 저희가 준비할 수 있는 것도 없고, 매출이나 수익사업도 하나도 할 수 없고, 그냥 다 멈춰있는 상태예요."]
그런데도 전기요금과 인건비 등 기본 경비는 계속 빠져나가 걱정입니다.
사업장 등록이 안 된 곳은 코로나19 긴급 지원도 받지 못했습니다.
[김창기/강원도 농어촌체험휴양마을협의회 회장 :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운영비, 그리고 사무장 지원을 100% 정도 한시적으로라도, 이 코로나 시기가 진정될 때까지만이라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농산어촌 체험마을들이 조금씩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가장 시급한 실정입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 코로나19 직격탄 ‘체험 마을’…지원 절실
-
- 입력 2020-06-19 22:05:16
- 수정2020-06-19 22:05:56

[앵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를 맞은 곳이 한둘이 아니지만, 농산어촌의 체험마을들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체험객들이 사라지면서, 사실상 포기 상태인데, 일부에선 활로를 찾고 있다지만, 지원이 절실하다고 합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릉의 한 농촌체험마을입니다.
복사꽃축제로 유명해, 한 해 체험객만 2천5백여 명에 이르지만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발길이 끊겼습니다.
하지만 아예 포기할 수 없어, 최근, 체험객 유치에 다시 나섰습니다.
4천여 그루 개복숭아 나무에서 열매를 직접 따는 야외 체험행사로, 이번 주말부터 시작합니다.
[최주영/강릉 복사꽃마을 대표 : "가족 단위 분들이 오시면 한 나무씩 (체험)하기 때문에 아마 거리는 5~10미터씩 되기 때문에 코로나 대해선 아무 걱정을 안 하시고 충분히 체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체험마을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거의 포기 상탭니다.
체험객의 대부분이던 유치원생과 학생들이 오지 않으면서, 체험객 수가 지난해 대비 10분에 1로 줄었습니다.
때문에 매출액도 거의 없어, 강원지역 농산어촌 체험마을 284곳 가운데, 80% 이상이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희진/강릉솔내마을 사무장 : "문의 자체가 없어요. 문의가 없으니까 저희가 준비할 수 있는 것도 없고, 매출이나 수익사업도 하나도 할 수 없고, 그냥 다 멈춰있는 상태예요."]
그런데도 전기요금과 인건비 등 기본 경비는 계속 빠져나가 걱정입니다.
사업장 등록이 안 된 곳은 코로나19 긴급 지원도 받지 못했습니다.
[김창기/강원도 농어촌체험휴양마을협의회 회장 :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운영비, 그리고 사무장 지원을 100% 정도 한시적으로라도, 이 코로나 시기가 진정될 때까지만이라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농산어촌 체험마을들이 조금씩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가장 시급한 실정입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위기를 맞은 곳이 한둘이 아니지만, 농산어촌의 체험마을들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체험객들이 사라지면서, 사실상 포기 상태인데, 일부에선 활로를 찾고 있다지만, 지원이 절실하다고 합니다.
정창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강릉의 한 농촌체험마을입니다.
복사꽃축제로 유명해, 한 해 체험객만 2천5백여 명에 이르지만 코로나 19 발생 이후에는 발길이 끊겼습니다.
하지만 아예 포기할 수 없어, 최근, 체험객 유치에 다시 나섰습니다.
4천여 그루 개복숭아 나무에서 열매를 직접 따는 야외 체험행사로, 이번 주말부터 시작합니다.
[최주영/강릉 복사꽃마을 대표 : "가족 단위 분들이 오시면 한 나무씩 (체험)하기 때문에 아마 거리는 5~10미터씩 되기 때문에 코로나 대해선 아무 걱정을 안 하시고 충분히 체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체험마을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거의 포기 상탭니다.
체험객의 대부분이던 유치원생과 학생들이 오지 않으면서, 체험객 수가 지난해 대비 10분에 1로 줄었습니다.
때문에 매출액도 거의 없어, 강원지역 농산어촌 체험마을 284곳 가운데, 80% 이상이 체험프로그램 운영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희진/강릉솔내마을 사무장 : "문의 자체가 없어요. 문의가 없으니까 저희가 준비할 수 있는 것도 없고, 매출이나 수익사업도 하나도 할 수 없고, 그냥 다 멈춰있는 상태예요."]
그런데도 전기요금과 인건비 등 기본 경비는 계속 빠져나가 걱정입니다.
사업장 등록이 안 된 곳은 코로나19 긴급 지원도 받지 못했습니다.
[김창기/강원도 농어촌체험휴양마을협의회 회장 : "현재 가장 필요한 것은 운영비, 그리고 사무장 지원을 100% 정도 한시적으로라도, 이 코로나 시기가 진정될 때까지만이라도."]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농산어촌 체험마을들이 조금씩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지원이 가장 시급한 실정입니다.
KBS 뉴스 정창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춘천)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정창환 기자 hwan0201@kbs.co.kr
정창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