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일부 과거 기사의 경우, 영상/이미지/기사 내용 등이 정상적으로 서비스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술로 마주한 코로나19…휴관 이후 첫 전시
입력 2020.06.19 (22:13) 수정 2020.06.19 (22:18) 뉴스9(대구)
[앵커]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변화와 어려움을 가져온 동시에 당연하게 누려온 삶의 많은 부분들을 생각하게 만들었는데요.
대구지역 작가들이 일상의 가치와 자연의 소중함을 담은 기획전시회를 열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명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열화상 카메라에 비친 모습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연출합니다.
마스크로 가려진 얼굴은 발갛게 달아오르고, 출입문의 손잡이에도 아직 열기가 남아 있습니다.
흑백으로 표현된 모습은 인간성과 개성이 사라진 더욱 차가운 이미지로 다가옵니다.
[장용근/사진작가 : "그동안 우리가 구분짓던 사람에 대한 기준이 열화상카메라에 의해서 나타나는 붉은색 푸른색 저런 것들로 기준이 된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2미터의 물리적 거리를 두고 떨어진 의자,
자리에 앉으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생각과 고민을 마주합니다.
가상현실로 표현한 자연의 모습,
미세먼지와 아황산가스 등 실시간 전송되는 대기 환경 지수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집니다.
손바닥 만한 크기의 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
작가는 평소에 만나던 주변 인물 3백여 명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이정민/대구미술관 학예연구사 : "사회가 공유하고 교류하고 자연도 생각해보고 환경 전체를 생각해보는 인간과 환경에 대한 공동의 화두를 던지고자 이 전시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코로나19로 휴관했던 대구미술관이 다신 문을 연 이후 처음 선보이는 기획전 '새로운 연대'.
아직은 하루 네차례, 사전 예약을 통해서만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지만 다음달부터는 작가와의 대화와 강연 등의 프로그램도 가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명환입니다.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변화와 어려움을 가져온 동시에 당연하게 누려온 삶의 많은 부분들을 생각하게 만들었는데요.
대구지역 작가들이 일상의 가치와 자연의 소중함을 담은 기획전시회를 열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명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열화상 카메라에 비친 모습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연출합니다.
마스크로 가려진 얼굴은 발갛게 달아오르고, 출입문의 손잡이에도 아직 열기가 남아 있습니다.
흑백으로 표현된 모습은 인간성과 개성이 사라진 더욱 차가운 이미지로 다가옵니다.
[장용근/사진작가 : "그동안 우리가 구분짓던 사람에 대한 기준이 열화상카메라에 의해서 나타나는 붉은색 푸른색 저런 것들로 기준이 된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2미터의 물리적 거리를 두고 떨어진 의자,
자리에 앉으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생각과 고민을 마주합니다.
가상현실로 표현한 자연의 모습,
미세먼지와 아황산가스 등 실시간 전송되는 대기 환경 지수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집니다.
손바닥 만한 크기의 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
작가는 평소에 만나던 주변 인물 3백여 명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이정민/대구미술관 학예연구사 : "사회가 공유하고 교류하고 자연도 생각해보고 환경 전체를 생각해보는 인간과 환경에 대한 공동의 화두를 던지고자 이 전시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코로나19로 휴관했던 대구미술관이 다신 문을 연 이후 처음 선보이는 기획전 '새로운 연대'.
아직은 하루 네차례, 사전 예약을 통해서만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지만 다음달부터는 작가와의 대화와 강연 등의 프로그램도 가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명환입니다.
- 예술로 마주한 코로나19…휴관 이후 첫 전시
-
- 입력 2020-06-19 22:13:08
- 수정2020-06-19 22:18:24

[앵커]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변화와 어려움을 가져온 동시에 당연하게 누려온 삶의 많은 부분들을 생각하게 만들었는데요.
대구지역 작가들이 일상의 가치와 자연의 소중함을 담은 기획전시회를 열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명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열화상 카메라에 비친 모습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연출합니다.
마스크로 가려진 얼굴은 발갛게 달아오르고, 출입문의 손잡이에도 아직 열기가 남아 있습니다.
흑백으로 표현된 모습은 인간성과 개성이 사라진 더욱 차가운 이미지로 다가옵니다.
[장용근/사진작가 : "그동안 우리가 구분짓던 사람에 대한 기준이 열화상카메라에 의해서 나타나는 붉은색 푸른색 저런 것들로 기준이 된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2미터의 물리적 거리를 두고 떨어진 의자,
자리에 앉으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생각과 고민을 마주합니다.
가상현실로 표현한 자연의 모습,
미세먼지와 아황산가스 등 실시간 전송되는 대기 환경 지수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집니다.
손바닥 만한 크기의 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
작가는 평소에 만나던 주변 인물 3백여 명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이정민/대구미술관 학예연구사 : "사회가 공유하고 교류하고 자연도 생각해보고 환경 전체를 생각해보는 인간과 환경에 대한 공동의 화두를 던지고자 이 전시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코로나19로 휴관했던 대구미술관이 다신 문을 연 이후 처음 선보이는 기획전 '새로운 연대'.
아직은 하루 네차례, 사전 예약을 통해서만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지만 다음달부터는 작가와의 대화와 강연 등의 프로그램도 가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명환입니다.
코로나19는 일상의 많은 변화와 어려움을 가져온 동시에 당연하게 누려온 삶의 많은 부분들을 생각하게 만들었는데요.
대구지역 작가들이 일상의 가치와 자연의 소중함을 담은 기획전시회를 열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보도에 김명환 기자입니다.
[리포트]
열화상 카메라에 비친 모습은 온도에 따라 다른 색을 연출합니다.
마스크로 가려진 얼굴은 발갛게 달아오르고, 출입문의 손잡이에도 아직 열기가 남아 있습니다.
흑백으로 표현된 모습은 인간성과 개성이 사라진 더욱 차가운 이미지로 다가옵니다.
[장용근/사진작가 : "그동안 우리가 구분짓던 사람에 대한 기준이 열화상카메라에 의해서 나타나는 붉은색 푸른색 저런 것들로 기준이 된다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2미터의 물리적 거리를 두고 떨어진 의자,
자리에 앉으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들의 생각과 고민을 마주합니다.
가상현실로 표현한 자연의 모습,
미세먼지와 아황산가스 등 실시간 전송되는 대기 환경 지수에 따라 이미지가 달라집니다.
손바닥 만한 크기의 나무를 깎아 만든 인형,
작가는 평소에 만나던 주변 인물 3백여 명의 모습을 담았습니다.
[이정민/대구미술관 학예연구사 : "사회가 공유하고 교류하고 자연도 생각해보고 환경 전체를 생각해보는 인간과 환경에 대한 공동의 화두를 던지고자 이 전시를 기획하게 됐습니다."]
코로나19로 휴관했던 대구미술관이 다신 문을 연 이후 처음 선보이는 기획전 '새로운 연대'.
아직은 하루 네차례, 사전 예약을 통해서만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지만 다음달부터는 작가와의 대화와 강연 등의 프로그램도 가질 예정입니다.
KBS 뉴스 김명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9(대구)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명환 기자 light@kbs.co.kr
김명환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