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육림 연탄공장, 3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입력 2020.07.13 (22:10)
수정 2020.07.13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강원 영서 북부지역의 연탄 공급을 책임지던 춘천 육림 연탄공장이 조만간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세상이 바뀐 탓인데요.
이러다 서민들과 나누었던 따뜻한 온기마저 사라지는 건 아닌지 아쉬움이 남습니다.
노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일 낮 춘천 육림 연탄공장입니다.
컨베이어 벨트는 멈춰 서 있습니다.
오가는 사람은 한 명도 보이지 않습니다.
바늘 떨어지는 소리라도 들릴 만큼 적막감이 감돕니다.
이 연탄공장이 문을 연 것은 1985년.
2007년까지만 해도 연간 4만 톤의 연탄을 생산했습니다.
그러다, 연탄 수요가 급격하게 줄면서, 지난해 생산량은 17,000톤까지 떨어졌습니다.
10여 년 만에 생산량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겁니다.
여기에, 정부의 연탄 제조 지원금까지 급감하면서, 경영난을 가중시켰습니다.
그 결과, 지난달엔 월매출이 800만 원이었는데, 임대료와 인건비로만 4,000만 원 넘게 나갔습니다.
이런 상태라면 공장을 돌리면 돌릴수록 손해가 난다는 얘깁니다.
육림 연탄공장이 35년간 운영 끝에 폐업을 결정했습니다.
다만, 당초 다음 달로 예정됐던 폐업 시기는 올해 가을로 늦춰졌습니다.
연탄배달업체와 판매업체 등 거래처의 상황을 고려한 결괍니다.
관련 업체들은 앞길이 막막합니다.
[전성수/연탄 수송업체 대표 : "대책 없이 단 두 달 만에 공장 문을 닫느냐. 서울 가서 우리가 연탄을 가져와서 12월 넘어서 가져온다. 그러면 운반비가…."]
영서 북부의 연탄공장이 아예 사라지게 되면, 연탄값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조길현/춘천시 삼천동 : "기름은 자꾸 변동이 많잖아요. 오를 때고 있고 내릴 때도 있고 그러니까 연탄은 계속 그대로…. 연탄이 오르면 생활비에 타격을 받겠죠."]
서민들의 따뜻한 겨울을 책임지며 삶의 애환을 담아냈던 연탄.
이제는 역사 속 뒤안길로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KBS 뉴스 노지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
강원 영서 북부지역의 연탄 공급을 책임지던 춘천 육림 연탄공장이 조만간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세상이 바뀐 탓인데요.
이러다 서민들과 나누었던 따뜻한 온기마저 사라지는 건 아닌지 아쉬움이 남습니다.
노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일 낮 춘천 육림 연탄공장입니다.
컨베이어 벨트는 멈춰 서 있습니다.
오가는 사람은 한 명도 보이지 않습니다.
바늘 떨어지는 소리라도 들릴 만큼 적막감이 감돕니다.
이 연탄공장이 문을 연 것은 1985년.
2007년까지만 해도 연간 4만 톤의 연탄을 생산했습니다.
그러다, 연탄 수요가 급격하게 줄면서, 지난해 생산량은 17,000톤까지 떨어졌습니다.
10여 년 만에 생산량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겁니다.
여기에, 정부의 연탄 제조 지원금까지 급감하면서, 경영난을 가중시켰습니다.
그 결과, 지난달엔 월매출이 800만 원이었는데, 임대료와 인건비로만 4,000만 원 넘게 나갔습니다.
이런 상태라면 공장을 돌리면 돌릴수록 손해가 난다는 얘깁니다.
육림 연탄공장이 35년간 운영 끝에 폐업을 결정했습니다.
다만, 당초 다음 달로 예정됐던 폐업 시기는 올해 가을로 늦춰졌습니다.
연탄배달업체와 판매업체 등 거래처의 상황을 고려한 결괍니다.
관련 업체들은 앞길이 막막합니다.
[전성수/연탄 수송업체 대표 : "대책 없이 단 두 달 만에 공장 문을 닫느냐. 서울 가서 우리가 연탄을 가져와서 12월 넘어서 가져온다. 그러면 운반비가…."]
영서 북부의 연탄공장이 아예 사라지게 되면, 연탄값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조길현/춘천시 삼천동 : "기름은 자꾸 변동이 많잖아요. 오를 때고 있고 내릴 때도 있고 그러니까 연탄은 계속 그대로…. 연탄이 오르면 생활비에 타격을 받겠죠."]
서민들의 따뜻한 겨울을 책임지며 삶의 애환을 담아냈던 연탄.
이제는 역사 속 뒤안길로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KBS 뉴스 노지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춘천 육림 연탄공장, 35년 만에 역사 속으로
-
- 입력 2020-07-13 22:10:30
- 수정2020-07-13 22:18:30

[앵커]
강원 영서 북부지역의 연탄 공급을 책임지던 춘천 육림 연탄공장이 조만간 문을 닫을 예정입니다.
세상이 바뀐 탓인데요.
이러다 서민들과 나누었던 따뜻한 온기마저 사라지는 건 아닌지 아쉬움이 남습니다.
노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일 낮 춘천 육림 연탄공장입니다.
컨베이어 벨트는 멈춰 서 있습니다.
오가는 사람은 한 명도 보이지 않습니다.
바늘 떨어지는 소리라도 들릴 만큼 적막감이 감돕니다.
이 연탄공장이 문을 연 것은 1985년.
2007년까지만 해도 연간 4만 톤의 연탄을 생산했습니다.
그러다, 연탄 수요가 급격하게 줄면서, 지난해 생산량은 17,000톤까지 떨어졌습니다.
10여 년 만에 생산량이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겁니다.
여기에, 정부의 연탄 제조 지원금까지 급감하면서, 경영난을 가중시켰습니다.
그 결과, 지난달엔 월매출이 800만 원이었는데, 임대료와 인건비로만 4,000만 원 넘게 나갔습니다.
이런 상태라면 공장을 돌리면 돌릴수록 손해가 난다는 얘깁니다.
육림 연탄공장이 35년간 운영 끝에 폐업을 결정했습니다.
다만, 당초 다음 달로 예정됐던 폐업 시기는 올해 가을로 늦춰졌습니다.
연탄배달업체와 판매업체 등 거래처의 상황을 고려한 결괍니다.
관련 업체들은 앞길이 막막합니다.
[전성수/연탄 수송업체 대표 : "대책 없이 단 두 달 만에 공장 문을 닫느냐. 서울 가서 우리가 연탄을 가져와서 12월 넘어서 가져온다. 그러면 운반비가…."]
영서 북부의 연탄공장이 아예 사라지게 되면, 연탄값 상승이 불가피할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조길현/춘천시 삼천동 : "기름은 자꾸 변동이 많잖아요. 오를 때고 있고 내릴 때도 있고 그러니까 연탄은 계속 그대로…. 연탄이 오르면 생활비에 타격을 받겠죠."]
서민들의 따뜻한 겨울을 책임지며 삶의 애환을 담아냈던 연탄.
이제는 역사 속 뒤안길로 사라질 처지에 놓였습니다.
KBS 뉴스 노지영입니다.
촬영기자:최혁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