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분양가상한제 시행 전 1만 1천 호 공급…정비사업 속도 위해 TF 구성”

입력 2020.07.19 (14:06) 수정 2020.07.19 (14: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는 오는 29일 전까지 서울 시내에 총 1만1천 호가 공급됩니다.

서울시는 관리처분 인가를 받은 재개발·재건축 구역이 입주자 모집과 분양까지 막바지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TF,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했다며 오늘(19일) 이같이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정비사업을 통한 주택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시와 담당 자치구, 조합이 공동 참여하는 민관 협업체계인 '정비사업 지원 TF'를 운영해 왔습니다.

TF는 정비사업 구역별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공유하며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 정비계획 변경에 따른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구조·굴토 심의 등 행정 절차도 지원합니다.

서울시는 이런 TF의 지원을 통해 현재 화곡 1개, 흑석 3개, 개포주공 1개 등 10개 정비구역이 약 4천 세대 규모의 입주자 모집 승인 신청을 마쳤다고 설명했습니다.

분양가상한제 유예가 끝나는 이달 28일까지 추가로 10개 구역이 약 7천 세대 규모의 입주자 모집 승인 신청을 마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시는 통상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공사가 끝날 때까지 2년에서 3년 정도 걸리는 점을 고려해 이르면 2023년부터 실제 입주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리처분 인가는 재건축 아파트 등 정비사업 이후 건물과 대지에 대한 조합원 간 자산 배분이 확정되는 과정으로, 정비사업 막바지에 이뤄집니다.

관리처분 인가가 완료되면 입주민의 이주, 기존 건축물의 철거, 착공, 입주자 모집 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일각에선 서울시가 예정돼 있거나 기존에 나왔던 내용을 보도자료를 내면서까지 밝힌 이유가 최근 당정의 그린벨트 해제 압력에 반대 의사를 거듭 밝히며 '정비사업 강화'를 통해 공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분양가상한제 시행 전 1만 1천 호 공급…정비사업 속도 위해 TF 구성”
    • 입력 2020-07-19 14:06:26
    • 수정2020-07-19 14:21:45
    사회
분양가상한제가 시행되는 오는 29일 전까지 서울 시내에 총 1만1천 호가 공급됩니다.

서울시는 관리처분 인가를 받은 재개발·재건축 구역이 입주자 모집과 분양까지 막바지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도록 TF,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했다며 오늘(19일) 이같이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정비사업을 통한 주택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시와 담당 자치구, 조합이 공동 참여하는 민관 협업체계인 '정비사업 지원 TF'를 운영해 왔습니다.

TF는 정비사업 구역별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문제점을 공유하며 해결 방안을 모색합니다. 정비계획 변경에 따른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구조·굴토 심의 등 행정 절차도 지원합니다.

서울시는 이런 TF의 지원을 통해 현재 화곡 1개, 흑석 3개, 개포주공 1개 등 10개 정비구역이 약 4천 세대 규모의 입주자 모집 승인 신청을 마쳤다고 설명했습니다.

분양가상한제 유예가 끝나는 이달 28일까지 추가로 10개 구역이 약 7천 세대 규모의 입주자 모집 승인 신청을 마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시는 통상 관리처분계획 인가 이후 공사가 끝날 때까지 2년에서 3년 정도 걸리는 점을 고려해 이르면 2023년부터 실제 입주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리처분 인가는 재건축 아파트 등 정비사업 이후 건물과 대지에 대한 조합원 간 자산 배분이 확정되는 과정으로, 정비사업 막바지에 이뤄집니다.

관리처분 인가가 완료되면 입주민의 이주, 기존 건축물의 철거, 착공, 입주자 모집 등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일각에선 서울시가 예정돼 있거나 기존에 나왔던 내용을 보도자료를 내면서까지 밝힌 이유가 최근 당정의 그린벨트 해제 압력에 반대 의사를 거듭 밝히며 '정비사업 강화'를 통해 공급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