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명분 강조 “최악의 스파이 활동”
입력 2020.07.25 (01:24)
수정 2020.07.25 (0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이 텍사스주 휴스턴의 중국 총영사관에서 도를 넘는 스파이 활동이 이뤄졌으며 이는 미국 전역에서 가장 심한 것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로 맞받아친 가운데 휴스턴 총영사관 폐쇄가 불가피했다며 명분을 강조하고 나선 것입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고위 당국자들은 현지시간 24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결정 배경과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중국 공관의 스파이 활동과 다른 악의적 활동은 미국 전역에서 일어나지만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경우는 최악 수준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은 한참 도를 넘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또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을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연구와도 연결시켰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중국이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을 거점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한 정보 탈취 등의 불법행위를 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브리핑에는 국무부와 법무부, 정보기관 고위당국자 등이 참석했습니다.
앞서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23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이 스파이 활동과 지식재산권 탈취의 중심지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휴스턴 총영사관이 미국 내 연구성과를 도둑질하는 중심지였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게티이미지]
미국의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로 맞받아친 가운데 휴스턴 총영사관 폐쇄가 불가피했다며 명분을 강조하고 나선 것입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고위 당국자들은 현지시간 24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결정 배경과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중국 공관의 스파이 활동과 다른 악의적 활동은 미국 전역에서 일어나지만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경우는 최악 수준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은 한참 도를 넘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또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을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연구와도 연결시켰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중국이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을 거점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한 정보 탈취 등의 불법행위를 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브리핑에는 국무부와 법무부, 정보기관 고위당국자 등이 참석했습니다.
앞서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23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이 스파이 활동과 지식재산권 탈취의 중심지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휴스턴 총영사관이 미국 내 연구성과를 도둑질하는 중심지였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게티이미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명분 강조 “최악의 스파이 활동”
-
- 입력 2020-07-25 01:24:58
- 수정2020-07-25 01:41:19

미국이 텍사스주 휴스턴의 중국 총영사관에서 도를 넘는 스파이 활동이 이뤄졌으며 이는 미국 전역에서 가장 심한 것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미국의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로 맞받아친 가운데 휴스턴 총영사관 폐쇄가 불가피했다며 명분을 강조하고 나선 것입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고위 당국자들은 현지시간 24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결정 배경과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중국 공관의 스파이 활동과 다른 악의적 활동은 미국 전역에서 일어나지만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경우는 최악 수준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은 한참 도를 넘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또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을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연구와도 연결시켰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중국이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을 거점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한 정보 탈취 등의 불법행위를 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브리핑에는 국무부와 법무부, 정보기관 고위당국자 등이 참석했습니다.
앞서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23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이 스파이 활동과 지식재산권 탈취의 중심지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휴스턴 총영사관이 미국 내 연구성과를 도둑질하는 중심지였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게티이미지]
미국의 휴스턴 주재 중국 총영사관 폐쇄를 중국이 청두 주재 미국 총영사관 폐쇄로 맞받아친 가운데 휴스턴 총영사관 폐쇄가 불가피했다며 명분을 강조하고 나선 것입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 고위 당국자들은 현지시간 24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 결정 배경과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중국 공관의 스파이 활동과 다른 악의적 활동은 미국 전역에서 일어나지만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경우는 최악 수준이었다"고 밝혔습니다.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은 한참 도를 넘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국무부 고위 당국자는 또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의 활동을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개발 연구와도 연결시켰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중국이 휴스턴 주재 총영사관을 거점으로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관련한 정보 탈취 등의 불법행위를 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브리핑에는 국무부와 법무부, 정보기관 고위당국자 등이 참석했습니다.
앞서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23일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이 스파이 활동과 지식재산권 탈취의 중심지였다고 지적했습니다. 데이비드 스틸웰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뉴욕타임스 인터뷰에서 휴스턴 총영사관이 미국 내 연구성과를 도둑질하는 중심지였다고 비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게티이미지]
-
-
박에스더 기자 stellar@kbs.co.kr
박에스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