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나가는 전기차, 몇 명이 만들어요?…친환경차 시대 일자리는?

입력 2020.07.25 (10: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차' '친환경차'...전기차의 질주가 무섭습니다. 코로나 19로 자동차 수출이 위축된 가운데에도 올해 1∼6월 전기차 수출은 5만 5,53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9% 늘었습니다.

6월만 놓고 보면 전기차는 1년 전보다 3배 가까이 많은 1만 3,515대가 해외에 팔렸고, 수출 물량 역시 3개월 연속 최대치를 갱신했습니다.

정부도 그린뉴딜 사업의 핵심축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를 내세웠습니다. 2025년까지 국내에 전기차 113만 대 보급이 목표입니다.

■ 친환경차 전환, 누군가에겐 '위기'

하지만 이런 친환경차 전환이 누군가에겐 달갑지 않은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기존 내연기관차가 친환경차로 바뀌면서 줄어드는 산업과 인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가장 큰 차이는 이겁니다. 내연기관차의 엔진, 변속기, 클러치 등이 전기차에서는 배터리, 모터로 변경되는 겁니다. 산업연구원은 동력전달장치 부품은 37%, 기존 내연기관용 전장품의 70%가 사라질 전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차 안에 들어가는 부품이 달라지니 산업 생태계도 바뀔 수밖에 없습니다.

전기차의 생산 비중이 늘어나면 우선 배터리, 모터 부분 산업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 센서와 카메라, 클러스터 등의 시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내연기관 관련 부품인 엔진, 변속기, 오일류, 연료탱크 등은 친환경차 시대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 전기차 제조 인력, 내연기관차 '3분의 1' 수준

전기자동차는 부품 수뿐만 아니라 조립에도 더 적은 노동력이 소요됩니다. 전기모터 또는 배터리 제조에 걸리는 시간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40% 적고, 전기자동차 제조에 엔진이나 변속기 및 관련 부품은 아예 필요 없습니다.

Cambridge econometrics 연구에 따르면 순수전기차 1만 대 제조에 필요한 고용 인력은 3,580명입니다. 1만여 명이 필요한 내연 기관차의 3분의 1 수준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완성차 업계 노동자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 노조가 지난해 발행한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날 경우, 현대자동차에서만 2025년 최대 1,629명, 2030년 최대 2,837명의 인원 감축이 예상됩니다.

같은 시나리오를 적용할 때, 기아자동차도 2030년까지 최대 2,207개 일자리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는 현대기아차 직원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로, 협력 업체 등까지 포함하면 더 많은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얘깁니다.

부품 업계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산업연구원은 2023년부터 전기차 생산이 본격화될 경우 부품산업, 특히 파워트레인 등의 부품산업에서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2022년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로 늘어날 때 부품산업에서 4,718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고학력·전문화' 일자리 증가 … 자동차산업 일자리 양극화?

전문가들은 자동차업계 일자리의 양이 감소하는 문제뿐 아니라, 고용 구조가 양극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합니다.

자동차산업 분야에서 전기동력과 자율주행화가 발전하면서 고학력 근로자의 고용은 증가하고, 저학력 근로자 수요는 감소한다는 겁니다.

또 숙련공과 연구 개발직 등은 안정적인 형태로 고용되지만, 단순 기능공의 고용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할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산업의 소득 양극화가 심화될 우려도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이미 이런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정책을 운용 중입니다. 미국은 자동차산업 생산직의 학력 증진을 통해 이직이 가능한 경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 미국 GM은 기업 차원에서 향후 5년간 미래차 전환을 위해 미국과 캐나다의 12개 대학에서 전가동력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인력을 채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포드 역시 유사한 방안을 검토하며, 생산직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직의 구조개편 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58억 원을 들여, 기존 내연기관차 부품업체 80곳의 사업재편 컨설팅과 제품 개발 등을 지원한단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는 1차 부품업체의 10% 수준으로, 전체 업체 수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합니다.

친환경차를 통한 그린 뉴딜 산업,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줄어드는 일자리와 산업 분야가 신성장 산업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촘촘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잘 나가는 전기차, 몇 명이 만들어요?…친환경차 시대 일자리는?
    • 입력 2020-07-25 10:00:16
    취재K
'미래차' '친환경차'...전기차의 질주가 무섭습니다. 코로나 19로 자동차 수출이 위축된 가운데에도 올해 1∼6월 전기차 수출은 5만 5,536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1.9% 늘었습니다.

6월만 놓고 보면 전기차는 1년 전보다 3배 가까이 많은 1만 3,515대가 해외에 팔렸고, 수출 물량 역시 3개월 연속 최대치를 갱신했습니다.

정부도 그린뉴딜 사업의 핵심축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등 친환경차를 내세웠습니다. 2025년까지 국내에 전기차 113만 대 보급이 목표입니다.

■ 친환경차 전환, 누군가에겐 '위기'

하지만 이런 친환경차 전환이 누군가에겐 달갑지 않은 얘기일 수도 있습니다. 기존 내연기관차가 친환경차로 바뀌면서 줄어드는 산업과 인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가장 큰 차이는 이겁니다. 내연기관차의 엔진, 변속기, 클러치 등이 전기차에서는 배터리, 모터로 변경되는 겁니다. 산업연구원은 동력전달장치 부품은 37%, 기존 내연기관용 전장품의 70%가 사라질 전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차 안에 들어가는 부품이 달라지니 산업 생태계도 바뀔 수밖에 없습니다.

전기차의 생산 비중이 늘어나면 우선 배터리, 모터 부분 산업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 커넥티드카, 자율주행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 센서와 카메라, 클러스터 등의 시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내연기관 관련 부품인 엔진, 변속기, 오일류, 연료탱크 등은 친환경차 시대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

■ 전기차 제조 인력, 내연기관차 '3분의 1' 수준

전기자동차는 부품 수뿐만 아니라 조립에도 더 적은 노동력이 소요됩니다. 전기모터 또는 배터리 제조에 걸리는 시간은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40% 적고, 전기자동차 제조에 엔진이나 변속기 및 관련 부품은 아예 필요 없습니다.

Cambridge econometrics 연구에 따르면 순수전기차 1만 대 제조에 필요한 고용 인력은 3,580명입니다. 1만여 명이 필요한 내연 기관차의 3분의 1 수준입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완성차 업계 노동자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 노조가 지난해 발행한 '미래형 자동차 발전 동향과 노조의 대응’보고서에 따르면, 신차 생산량 중 전기차 비중이 2025년 15%, 2030년 25%로 늘어날 경우, 현대자동차에서만 2025년 최대 1,629명, 2030년 최대 2,837명의 인원 감축이 예상됩니다.

같은 시나리오를 적용할 때, 기아자동차도 2030년까지 최대 2,207개 일자리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는 현대기아차 직원들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로, 협력 업체 등까지 포함하면 더 많은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다는 얘깁니다.

부품 업계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산업연구원은 2023년부터 전기차 생산이 본격화될 경우 부품산업, 특히 파워트레인 등의 부품산업에서 고용 감소가 예상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2022년 전기차 생산 비중이 10.5%로 늘어날 때 부품산업에서 4,718개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 '고학력·전문화' 일자리 증가 … 자동차산업 일자리 양극화?

전문가들은 자동차업계 일자리의 양이 감소하는 문제뿐 아니라, 고용 구조가 양극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합니다.

자동차산업 분야에서 전기동력과 자율주행화가 발전하면서 고학력 근로자의 고용은 증가하고, 저학력 근로자 수요는 감소한다는 겁니다.

또 숙련공과 연구 개발직 등은 안정적인 형태로 고용되지만, 단순 기능공의 고용은 상대적으로 불안정할 것이란 분석도 나옵니다. 이에 따라 자동차산업의 소득 양극화가 심화될 우려도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이미 이런 상황에 대비해 다양한 정책을 운용 중입니다. 미국은 자동차산업 생산직의 학력 증진을 통해 이직이 가능한 경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 미국 GM은 기업 차원에서 향후 5년간 미래차 전환을 위해 미국과 캐나다의 12개 대학에서 전가동력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인력을 채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포드 역시 유사한 방안을 검토하며, 생산직뿐만 아니라 연구 개발직의 구조개편 등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우선 올해 58억 원을 들여, 기존 내연기관차 부품업체 80곳의 사업재편 컨설팅과 제품 개발 등을 지원한단 계획입니다. 하지만 이는 1차 부품업체의 10% 수준으로, 전체 업체 수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합니다.

친환경차를 통한 그린 뉴딜 산업,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줄어드는 일자리와 산업 분야가 신성장 산업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는 등 촘촘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