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67만 명 추정…실제 접수는 1%”

입력 2020.07.27 (19:26) 수정 2020.07.27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피해 규모를 추산한 수치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피해자가 67만 명에 이를 거라는 예상입니다.

그런데 그동안 피해 신고를 한 사람은 1% 정도에 그칩니다.

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지 9년.

피해자들 고통은 여전합니다.

[박수진/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 "둘째 셋째 계속 병원 다닌 것밖에 없어요. 저 아픈 것은 그때 당시 생각할 수도 없었고."]

드러난 피해자가 많긴 하지만, '빙산의 일각'이라는 게 특별조사위원회의 진단입니다.

지난해 8월부터 6달 동안 5천 가구, 만 5천 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한 결과 16%인 830가구가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고 건강 이상을 경험한 사람이 300여 명인 걸로 파악됐습니다.

이 비율에 따라 600만 명 이상 국민들이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고, 피해자 규모는 67만 명에 이를 거라는 게 특조위의 추산입니다.

[홍명근/사회적참사특조위 조사관 : "19세부터 69세 인구인 3천8백만명에 대입하면은, 건강 이상을 경험한 인구는 약 67만명이 됩니다."]

그런데 지난 9년 동안 정부가 공식 접수한 피해자 수는 6천 8백여 명.

67만 명 추산치의 1%밖에 안 됩니다.

[최예용/사회적참사특조위 부위원장 : "(사망자의)10% 정도만이 신고됐고 90% 정도 신고가 안 됐다... 그게 바로 지금 저희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본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특조위는 가습기 살균제로 비염과 폐 질환, 피부 질환, 천식 순으로 환자가 많았을 걸로 추정했습니다.

특조위는 건강보험 기록이나 대형마트 구매 내역을 역추적해 피해자를 더 찾아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환경부는 개인정보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피해자 지원과 찾기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양다운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67만 명 추정…실제 접수는 1%”
    • 입력 2020-07-27 19:27:21
    • 수정2020-07-27 19:45:36
    뉴스 7
[앵커]

가습기 살균제 피해 실태를 조사하고 있는 '사회적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피해 규모를 추산한 수치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피해자가 67만 명에 이를 거라는 예상입니다.

그런데 그동안 피해 신고를 한 사람은 1% 정도에 그칩니다.

전현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가습기 살균제 참사가 세상에 알려진 지 9년.

피해자들 고통은 여전합니다.

[박수진/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 "둘째 셋째 계속 병원 다닌 것밖에 없어요. 저 아픈 것은 그때 당시 생각할 수도 없었고."]

드러난 피해자가 많긴 하지만, '빙산의 일각'이라는 게 특별조사위원회의 진단입니다.

지난해 8월부터 6달 동안 5천 가구, 만 5천 명을 대상으로 방문 조사한 결과 16%인 830가구가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고 건강 이상을 경험한 사람이 300여 명인 걸로 파악됐습니다.

이 비율에 따라 600만 명 이상 국민들이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했고, 피해자 규모는 67만 명에 이를 거라는 게 특조위의 추산입니다.

[홍명근/사회적참사특조위 조사관 : "19세부터 69세 인구인 3천8백만명에 대입하면은, 건강 이상을 경험한 인구는 약 67만명이 됩니다."]

그런데 지난 9년 동안 정부가 공식 접수한 피해자 수는 6천 8백여 명.

67만 명 추산치의 1%밖에 안 됩니다.

[최예용/사회적참사특조위 부위원장 : "(사망자의)10% 정도만이 신고됐고 90% 정도 신고가 안 됐다... 그게 바로 지금 저희가습기 살균제 참사의 본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특조위는 가습기 살균제로 비염과 폐 질환, 피부 질환, 천식 순으로 환자가 많았을 걸로 추정했습니다.

특조위는 건강보험 기록이나 대형마트 구매 내역을 역추적해 피해자를 더 찾아야 한다고 정부에 촉구했습니다.

환경부는 개인정보법을 위반하지 않는 선에서 피해자 지원과 찾기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전현우입니다.

촬영기자:박상욱/영상편집:양다운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