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두 美 영사관 35년만에 폐쇄…미중 갈등 고조되나?
입력 2020.07.27 (19:28)
수정 2020.07.27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의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에 맞서 중국 측의 조치로 청두 미 총영사관이 오늘 35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
중국에서는 양국 관계가 통제 불가능한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타이완과 남중국해 등을 폭발력이 큰 갈등 지점으로 꼽았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관료들과 방역 요원들이 중국 청두 미 총영사관에 들어갑니다.
중국시각 오전 10시, 중국 외교부는 "미 영사관을 폐쇄하고 주관 부문이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앞서 오전 6시 18분, 영사관에 걸려 있던 미국 성조기도 내려왔습니다.
1985년 개설된 청두 미 총영사관이 35년 만에 문을 닫는 순간입니다.
일부 시민들이 중국 공안의 제지를 받기도 했지만 비교적 평온하게 사흘 동안 폐쇄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나는 평범한 애국 시민입니다. (여기서 빨리 떠나세요.)"]
중국 외교부는 책임은 미국에 있다고 비난하면서도 관계 정상화를 요구했습니다.
[왕원빈/중국외교부 대변인 : "우리는 미국이 잘못을 시정하기를 바랍니다. 양국관계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합니다."]
중국 매체는 대체로 양국이 파국까지는 가지 않을 거라는 전망입니다.
그러면서도 영사관 추가 폐쇄, 남중국해에서 미중의 군사적 충돌, 미국과 타이완의 수교 등을 넘지 말아야 할 선으로 꼽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이 항공모함 훈련을 했던 남중국해 근해에서 다음 달 2일까지 실탄 공격 훈련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김형균/그래픽:강민수
미국의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에 맞서 중국 측의 조치로 청두 미 총영사관이 오늘 35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
중국에서는 양국 관계가 통제 불가능한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타이완과 남중국해 등을 폭발력이 큰 갈등 지점으로 꼽았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관료들과 방역 요원들이 중국 청두 미 총영사관에 들어갑니다.
중국시각 오전 10시, 중국 외교부는 "미 영사관을 폐쇄하고 주관 부문이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앞서 오전 6시 18분, 영사관에 걸려 있던 미국 성조기도 내려왔습니다.
1985년 개설된 청두 미 총영사관이 35년 만에 문을 닫는 순간입니다.
일부 시민들이 중국 공안의 제지를 받기도 했지만 비교적 평온하게 사흘 동안 폐쇄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나는 평범한 애국 시민입니다. (여기서 빨리 떠나세요.)"]
중국 외교부는 책임은 미국에 있다고 비난하면서도 관계 정상화를 요구했습니다.
[왕원빈/중국외교부 대변인 : "우리는 미국이 잘못을 시정하기를 바랍니다. 양국관계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합니다."]
중국 매체는 대체로 양국이 파국까지는 가지 않을 거라는 전망입니다.
그러면서도 영사관 추가 폐쇄, 남중국해에서 미중의 군사적 충돌, 미국과 타이완의 수교 등을 넘지 말아야 할 선으로 꼽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이 항공모함 훈련을 했던 남중국해 근해에서 다음 달 2일까지 실탄 공격 훈련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김형균/그래픽:강민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두 美 영사관 35년만에 폐쇄…미중 갈등 고조되나?
-
- 입력 2020-07-27 19:29:17
- 수정2020-07-27 19:45:49

[앵커]
미국의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에 맞서 중국 측의 조치로 청두 미 총영사관이 오늘 35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
중국에서는 양국 관계가 통제 불가능한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타이완과 남중국해 등을 폭발력이 큰 갈등 지점으로 꼽았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관료들과 방역 요원들이 중국 청두 미 총영사관에 들어갑니다.
중국시각 오전 10시, 중국 외교부는 "미 영사관을 폐쇄하고 주관 부문이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앞서 오전 6시 18분, 영사관에 걸려 있던 미국 성조기도 내려왔습니다.
1985년 개설된 청두 미 총영사관이 35년 만에 문을 닫는 순간입니다.
일부 시민들이 중국 공안의 제지를 받기도 했지만 비교적 평온하게 사흘 동안 폐쇄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나는 평범한 애국 시민입니다. (여기서 빨리 떠나세요.)"]
중국 외교부는 책임은 미국에 있다고 비난하면서도 관계 정상화를 요구했습니다.
[왕원빈/중국외교부 대변인 : "우리는 미국이 잘못을 시정하기를 바랍니다. 양국관계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합니다."]
중국 매체는 대체로 양국이 파국까지는 가지 않을 거라는 전망입니다.
그러면서도 영사관 추가 폐쇄, 남중국해에서 미중의 군사적 충돌, 미국과 타이완의 수교 등을 넘지 말아야 할 선으로 꼽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이 항공모함 훈련을 했던 남중국해 근해에서 다음 달 2일까지 실탄 공격 훈련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김형균/그래픽:강민수
미국의 휴스턴 중국 총영사관 폐쇄에 맞서 중국 측의 조치로 청두 미 총영사관이 오늘 35년 만에 문을 닫았습니다.
중국에서는 양국 관계가 통제 불가능한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 속에, 타이완과 남중국해 등을 폭발력이 큰 갈등 지점으로 꼽았습니다.
베이징 안양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중국 관료들과 방역 요원들이 중국 청두 미 총영사관에 들어갑니다.
중국시각 오전 10시, 중국 외교부는 "미 영사관을 폐쇄하고 주관 부문이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앞서 오전 6시 18분, 영사관에 걸려 있던 미국 성조기도 내려왔습니다.
1985년 개설된 청두 미 총영사관이 35년 만에 문을 닫는 순간입니다.
일부 시민들이 중국 공안의 제지를 받기도 했지만 비교적 평온하게 사흘 동안 폐쇄 작업이 진행됐습니다.
["나는 평범한 애국 시민입니다. (여기서 빨리 떠나세요.)"]
중국 외교부는 책임은 미국에 있다고 비난하면서도 관계 정상화를 요구했습니다.
[왕원빈/중국외교부 대변인 : "우리는 미국이 잘못을 시정하기를 바랍니다. 양국관계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여건을 조성해야 합니다."]
중국 매체는 대체로 양국이 파국까지는 가지 않을 거라는 전망입니다.
그러면서도 영사관 추가 폐쇄, 남중국해에서 미중의 군사적 충돌, 미국과 타이완의 수교 등을 넘지 말아야 할 선으로 꼽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미국이 항공모함 훈련을 했던 남중국해 근해에서 다음 달 2일까지 실탄 공격 훈련을 진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안양봉입니다.
촬영기자:윤재구/영상편집:김형균/그래픽:강민수
-
-
안양봉 기자 beebee@kbs.co.kr
안양봉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