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혁신도시 대토론회…시군간 유치전 점화

입력 2020.07.28 (23:57) 수정 2020.07.29 (04: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정치권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논의되는 이전 기관은 100개가 넘을 거란 전망이 나와, 벌써부터 물밑에서 유치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엄기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역균형발전'이란 깃발 아래, 2005년부터 시작된 혁신도시.

원주혁신도시에 12개 공공기관이 새 둥지를 트는 등 153개 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수도권 인구가 전체의 50%를 넘기는 등 '서울 집중'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시작된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논의에 힘이 실리는 이윱니다. 

[이해찬/더불어민주당 대표/24일 : "2차(혁신도시)를 어떻게 추진할 것이냐, 그걸 가지고 내부적인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이전) 기관이 결정된 것은 아니고."]

굵직굵직한 국책은행을 비롯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공공기관이 100개 넘게 물망에 오른 걸로 알려졌습니다. 

혁신·기업도시 고도화 전략을 짜는 국회의원모임에 여야 의원 16명이 머리를 맞대는 등 각 지역의 관심은 비상합니다. 

[송기헌/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국가균형발전의 문제 그러한 큰 철학 안에 행정수도 문제, 기존의 혁신도시·기업도시를 활성화 하는 문제, 추가 공공기관 이전 문제도 같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원도는 도대로, 시군들은 시군대로 유치전도 치열할 전망입니다. 

원주는 혁신·기업도시를 발판으로 한 자족형 도시의 완성을 꿈꾸고 있습니다. 

춘천과 강릉 등 다른 시군도 2기 혁신도시는 우리 차례라며 유치전에 속속 뛰어들고 있습니다. 

[임성원/강원도 투자유치과장 : "강원도에서도 공공기관이 어디로, 어떤 기관이 어느 시군으로 가야할지 이런 것들을 자체 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전 대상 기관의 명단은 올 연말쯤에나 확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지자체들의 소리없는 전쟁은 이미 시작된 모양세입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기 혁신도시 대토론회…시군간 유치전 점화
    • 입력 2020-07-28 23:57:24
    • 수정2020-07-29 04:01:06
    뉴스9(강릉)
[앵커] 정치권에서 공공기관 지방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논의되는 이전 기관은 100개가 넘을 거란 전망이 나와, 벌써부터 물밑에서 유치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엄기숙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역균형발전'이란 깃발 아래, 2005년부터 시작된 혁신도시. 원주혁신도시에 12개 공공기관이 새 둥지를 트는 등 153개 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했습니다.  하지만, 지난해 말, 수도권 인구가 전체의 50%를 넘기는 등 '서울 집중'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에서 시작된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논의에 힘이 실리는 이윱니다.  [이해찬/더불어민주당 대표/24일 : "2차(혁신도시)를 어떻게 추진할 것이냐, 그걸 가지고 내부적인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 (이전) 기관이 결정된 것은 아니고."] 굵직굵직한 국책은행을 비롯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공공기관이 100개 넘게 물망에 오른 걸로 알려졌습니다.  혁신·기업도시 고도화 전략을 짜는 국회의원모임에 여야 의원 16명이 머리를 맞대는 등 각 지역의 관심은 비상합니다.  [송기헌/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 "국가균형발전의 문제 그러한 큰 철학 안에 행정수도 문제, 기존의 혁신도시·기업도시를 활성화 하는 문제, 추가 공공기관 이전 문제도 같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강원도는 도대로, 시군들은 시군대로 유치전도 치열할 전망입니다.  원주는 혁신·기업도시를 발판으로 한 자족형 도시의 완성을 꿈꾸고 있습니다.  춘천과 강릉 등 다른 시군도 2기 혁신도시는 우리 차례라며 유치전에 속속 뛰어들고 있습니다.  [임성원/강원도 투자유치과장 : "강원도에서도 공공기관이 어디로, 어떤 기관이 어느 시군으로 가야할지 이런 것들을 자체 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전 대상 기관의 명단은 올 연말쯤에나 확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공공기관 유치를 위한 지자체들의 소리없는 전쟁은 이미 시작된 모양세입니다. KBS 뉴스 엄기숙입니다. 촬영기자:홍기석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강릉-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