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집계 ‘세계 집값 상승률’…한국은 63개국 중 37위

입력 2020.08.12 (09:30) 수정 2020.08.12 (09: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집값이 글로벌 초저금리와 막대한 유동성 등으로 역대 최고로 치솟은 가운데 한국의 집값 상승률은 중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세계 실질 주택가격 지수(Global Real House Price Index)는 167로 해당 지수 집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IMF는 2000년 2분기를 기준(100)으로 물가 상승을 반영한 세계 63개국의 집값을 단순 평균한 해당 지수를 분기마다 산출하고 있습니다.

지수는 2008년 1분기 160까지 상승했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에 따른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11년 4분기~2012년 3분기에 144까지 하락했습니다. 이후 차츰 살아나 2017년 2분기(160)에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뒤 꾸준히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세계 집값 상승은 무엇보다도 각국 중앙은행의 초저금리·통화완화 정책으로 풀려난 글로벌 유동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 7월 말 10년여 만의 첫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지난해 하반기에만 미·중 무역분쟁 여파 대응 등을 위해 세 차례 금리를 낮췄습니다.

게다가 올해는 코로나19 사태에 맞서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이 기준금리를 사실상 '제로'로 내리고 양적 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각국 주식 등 다양한 자산 가격이 일제히 급등하고 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2018년 4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 63개국 중 45개국의 집값이 오른 가운데 한국 집값 상승률은 1.1%로 중간보다 낮은 37위에 그쳤습니다. 이중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7개국만 보면 한국 집값 상승률은 26위로 중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63개국 중 가장 집값이 많이 오른 국가는 필리핀(20.0%)이었고 포르투갈(10.5%), 라트비아(10.4%) 등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또 독일(3.4%), 프랑스(2.3%), 중국(2.3%), 미국(1.6%) 등 주요국을 비롯해 싱가포르(1.6%), 대만(1.4%) 등도 한국보다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반면 일본(1.0%), 이탈리아(0.1%), 영국(-0.6%), 홍콩(-4.4%), 호주(-5.3%) 등은 한국보다 낮았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IMF가 제시한 한국 집값 상승률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가격이 많이 오른 아파트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덜 오른 빌라 등 모든 유형의 주택까지 포함한 데다 물가 상승률까지 반영된 것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한편 IMF가 2010년을 기준(100)으로 집계한 OECD 소속 32개국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도 한국(90.56)은 이탈리아(90.36)에 이어 소득보다 집값이 2번째로 덜 오른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임대료 대비 주택가격(2010년=100)도 한국은 99.65로 해당 수치가 있는 39개국 중 33위에 그쳐 임대료 대비 집값이 상대적으로 덜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OECD도 어제(11일) 공개한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에서 한국 집값과 관련해 "장기 추이로 볼 때 전국 단위의 실질 주택가격 등은 OECD 평균과 비교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MF 집계 ‘세계 집값 상승률’…한국은 63개국 중 37위
    • 입력 2020-08-12 09:30:49
    • 수정2020-08-12 09:34:00
    경제
전 세계 집값이 글로벌 초저금리와 막대한 유동성 등으로 역대 최고로 치솟은 가운데 한국의 집값 상승률은 중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 통계를 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세계 실질 주택가격 지수(Global Real House Price Index)는 167로 해당 지수 집계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IMF는 2000년 2분기를 기준(100)으로 물가 상승을 반영한 세계 63개국의 집값을 단순 평균한 해당 지수를 분기마다 산출하고 있습니다.

지수는 2008년 1분기 160까지 상승했다가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에 따른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11년 4분기~2012년 3분기에 144까지 하락했습니다. 이후 차츰 살아나 2017년 2분기(160)에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한 뒤 꾸준히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세계 집값 상승은 무엇보다도 각국 중앙은행의 초저금리·통화완화 정책으로 풀려난 글로벌 유동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해 7월 말 10년여 만의 첫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으로 지난해 하반기에만 미·중 무역분쟁 여파 대응 등을 위해 세 차례 금리를 낮췄습니다.

게다가 올해는 코로나19 사태에 맞서 미국 등 주요 국가들이 기준금리를 사실상 '제로'로 내리고 양적 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각국 주식 등 다양한 자산 가격이 일제히 급등하고 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 2018년 4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 63개국 중 45개국의 집값이 오른 가운데 한국 집값 상승률은 1.1%로 중간보다 낮은 37위에 그쳤습니다. 이중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7개국만 보면 한국 집값 상승률은 26위로 중하위권에 머물렀습니다.

63개국 중 가장 집값이 많이 오른 국가는 필리핀(20.0%)이었고 포르투갈(10.5%), 라트비아(10.4%) 등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또 독일(3.4%), 프랑스(2.3%), 중국(2.3%), 미국(1.6%) 등 주요국을 비롯해 싱가포르(1.6%), 대만(1.4%) 등도 한국보다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반면 일본(1.0%), 이탈리아(0.1%), 영국(-0.6%), 홍콩(-4.4%), 호주(-5.3%) 등은 한국보다 낮았습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IMF가 제시한 한국 집값 상승률이 서울뿐만 아니라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가격이 많이 오른 아파트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덜 오른 빌라 등 모든 유형의 주택까지 포함한 데다 물가 상승률까지 반영된 것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한편 IMF가 2010년을 기준(100)으로 집계한 OECD 소속 32개국의 소득 대비 주택가격도 한국(90.56)은 이탈리아(90.36)에 이어 소득보다 집값이 2번째로 덜 오른 국가로 나타났습니다. 임대료 대비 주택가격(2010년=100)도 한국은 99.65로 해당 수치가 있는 39개국 중 33위에 그쳐 임대료 대비 집값이 상대적으로 덜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OECD도 어제(11일) 공개한 '2020 OECD 한국경제보고서'에서 한국 집값과 관련해 "장기 추이로 볼 때 전국 단위의 실질 주택가격 등은 OECD 평균과 비교해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