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논산 “공공기관 유치해 인구 소멸 방지”
입력 2020.08.15 (22:12)
수정 2020.08.15 (22: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행정수도 이전과 100여 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발빠르게 유치전을 펴고 있습니다.
공주와 논산은 인구 소멸을 막는 방법은 공공기관 이전밖에 없다며 가장 먼저 유치전에 뛰어들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주시와 시의회는 행정수도 권역을 세종에 붙어있는 공주까지 확장해야 한다며 정치권의 행정수도 논의 구조에 일찌감치 발을 담갔습니다.
기관 유치 청사진도 짰습니다.
이전 기관 종사자들이 공주로 이사올 수 있도록 주거용지 15만㎡와 청사 터 15만㎡를 우선 제공하고, 추가 공급 방안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값비싼 사유지 대신 시유지나 국유지를 활용하면 기관들의 이전 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종운/공주시의회 의장 : "우리 공주에서는 공공기관을 최대한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 공공 스마트 도시 개발을 올해 안으로 착공할 예정입니다."]
논산은 서울에 있는 육군사관학교 유치에 사활을 걸었습니다.
육군사관학교를 공공기관 지방 이전 대상으로 점찍고 벌써 입주 후보지를 물색 중입니다.
유치 경쟁에서 경기도에 밀릴 수 없다며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황명선/논산시장 : "당장 다음 주에 청와대와 국방부를 방문해서 육군사관학교 논산 이전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충청남도와 홍성군도 내포신도시에 기관 입주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공공기관 유치전에 뛰어들 태세입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행정수도 이전과 100여 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발빠르게 유치전을 펴고 있습니다.
공주와 논산은 인구 소멸을 막는 방법은 공공기관 이전밖에 없다며 가장 먼저 유치전에 뛰어들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주시와 시의회는 행정수도 권역을 세종에 붙어있는 공주까지 확장해야 한다며 정치권의 행정수도 논의 구조에 일찌감치 발을 담갔습니다.
기관 유치 청사진도 짰습니다.
이전 기관 종사자들이 공주로 이사올 수 있도록 주거용지 15만㎡와 청사 터 15만㎡를 우선 제공하고, 추가 공급 방안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값비싼 사유지 대신 시유지나 국유지를 활용하면 기관들의 이전 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종운/공주시의회 의장 : "우리 공주에서는 공공기관을 최대한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 공공 스마트 도시 개발을 올해 안으로 착공할 예정입니다."]
논산은 서울에 있는 육군사관학교 유치에 사활을 걸었습니다.
육군사관학교를 공공기관 지방 이전 대상으로 점찍고 벌써 입주 후보지를 물색 중입니다.
유치 경쟁에서 경기도에 밀릴 수 없다며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황명선/논산시장 : "당장 다음 주에 청와대와 국방부를 방문해서 육군사관학교 논산 이전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충청남도와 홍성군도 내포신도시에 기관 입주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공공기관 유치전에 뛰어들 태세입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주·논산 “공공기관 유치해 인구 소멸 방지”
-
- 입력 2020-08-15 22:12:55
- 수정2020-08-15 22:40:23

[앵커]
행정수도 이전과 100여 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발빠르게 유치전을 펴고 있습니다.
공주와 논산은 인구 소멸을 막는 방법은 공공기관 이전밖에 없다며 가장 먼저 유치전에 뛰어들었습니다.
이용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주시와 시의회는 행정수도 권역을 세종에 붙어있는 공주까지 확장해야 한다며 정치권의 행정수도 논의 구조에 일찌감치 발을 담갔습니다.
기관 유치 청사진도 짰습니다.
이전 기관 종사자들이 공주로 이사올 수 있도록 주거용지 15만㎡와 청사 터 15만㎡를 우선 제공하고, 추가 공급 방안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값비싼 사유지 대신 시유지나 국유지를 활용하면 기관들의 이전 비용 부담을 최소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종운/공주시의회 의장 : "우리 공주에서는 공공기관을 최대한 많이 유치하기 위해서 공공 스마트 도시 개발을 올해 안으로 착공할 예정입니다."]
논산은 서울에 있는 육군사관학교 유치에 사활을 걸었습니다.
육군사관학교를 공공기관 지방 이전 대상으로 점찍고 벌써 입주 후보지를 물색 중입니다.
유치 경쟁에서 경기도에 밀릴 수 없다며 동원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황명선/논산시장 : "당장 다음 주에 청와대와 국방부를 방문해서 육군사관학교 논산 이전에 대한 타당성을 설명하고 협조를 적극적으로 이끌어내도록 하겠습니다."]
이런 가운데 충청남도와 홍성군도 내포신도시에 기관 입주를 최우선 과제로 삼아, 공공기관 유치전에 뛰어들 태세입니다.
KBS 뉴스 이용순입니다.
-
-
이용순 기자 sh6558@kbs.co.kr
이용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