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오징어, 서·남해로 이동한 이유? “먹이사슬 변화 때문”
입력 2020.08.23 (10:03)
수정 2020.08.23 (10: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지방의 대표 특산물이던 오징어가 최근 몇 년 사이 서해와 남해로 서식지를 대거 옮긴 것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먹이사슬 변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 '장기해양생태계 연구'에 참여한 이충일 강릉원주대 교수와 이상헌 부산대 교수 연구팀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닷속 플랑크톤 종(種)의 변화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이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관측된 동해의 온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의 연평균 표층 수온이 20여 년 전인 1980년대보다 약 0.65℃ 상승했습니다.
바다 표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해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밀도가 높은 저층 해수와 잘 섞이지 않는 '혼합 약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름이 밀도가 높은 물 위에 떠 있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혼합 약화 현상은 식물플랑크톤에 대해 대형 종보다 소형 종이 더 많이 번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연구팀은 "이는 바다 저층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필요한 중요 영양염 공급이 감소했기 때문인데, 이런 환경 조건에서는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큰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유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의 크기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결국 오징어가 양질의 동물플랑크톤을 찾아 여름에는 서해로, 겨울에는 남해로 이동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오징어 서식지 적합지수 산출 결과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였다"면서 "여름철에 서해의 적합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겨울철에는 남해의 적합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하구·연안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하구와 연안'(Estuaries and Coasts) 5월호에 게재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 '장기해양생태계 연구'에 참여한 이충일 강릉원주대 교수와 이상헌 부산대 교수 연구팀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닷속 플랑크톤 종(種)의 변화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이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관측된 동해의 온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의 연평균 표층 수온이 20여 년 전인 1980년대보다 약 0.65℃ 상승했습니다.
바다 표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해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밀도가 높은 저층 해수와 잘 섞이지 않는 '혼합 약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름이 밀도가 높은 물 위에 떠 있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혼합 약화 현상은 식물플랑크톤에 대해 대형 종보다 소형 종이 더 많이 번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연구팀은 "이는 바다 저층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필요한 중요 영양염 공급이 감소했기 때문인데, 이런 환경 조건에서는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큰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유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의 크기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결국 오징어가 양질의 동물플랑크톤을 찾아 여름에는 서해로, 겨울에는 남해로 이동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오징어 서식지 적합지수 산출 결과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였다"면서 "여름철에 서해의 적합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겨울철에는 남해의 적합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하구·연안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하구와 연안'(Estuaries and Coasts) 5월호에 게재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동해 오징어, 서·남해로 이동한 이유? “먹이사슬 변화 때문”
-
- 입력 2020-08-23 10:03:04
- 수정2020-08-23 10:08:02

동해 지방의 대표 특산물이던 오징어가 최근 몇 년 사이 서해와 남해로 서식지를 대거 옮긴 것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먹이사슬 변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 '장기해양생태계 연구'에 참여한 이충일 강릉원주대 교수와 이상헌 부산대 교수 연구팀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닷속 플랑크톤 종(種)의 변화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이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관측된 동해의 온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의 연평균 표층 수온이 20여 년 전인 1980년대보다 약 0.65℃ 상승했습니다.
바다 표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해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밀도가 높은 저층 해수와 잘 섞이지 않는 '혼합 약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름이 밀도가 높은 물 위에 떠 있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혼합 약화 현상은 식물플랑크톤에 대해 대형 종보다 소형 종이 더 많이 번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연구팀은 "이는 바다 저층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필요한 중요 영양염 공급이 감소했기 때문인데, 이런 환경 조건에서는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큰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유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의 크기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결국 오징어가 양질의 동물플랑크톤을 찾아 여름에는 서해로, 겨울에는 남해로 이동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오징어 서식지 적합지수 산출 결과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였다"면서 "여름철에 서해의 적합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겨울철에는 남해의 적합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하구·연안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하구와 연안'(Estuaries and Coasts) 5월호에 게재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수부 '장기해양생태계 연구'에 참여한 이충일 강릉원주대 교수와 이상헌 부산대 교수 연구팀은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닷속 플랑크톤 종(種)의 변화를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이 1985년부터 지난해까지 관측된 동해의 온도를 분석한 결과 2000년대의 연평균 표층 수온이 20여 년 전인 1980년대보다 약 0.65℃ 상승했습니다.
바다 표층의 온도가 상승하면 해수의 밀도가 낮아져서 밀도가 높은 저층 해수와 잘 섞이지 않는 '혼합 약화' 현상이 나타납니다.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름이 밀도가 높은 물 위에 떠 있게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입니다.
이런 혼합 약화 현상은 식물플랑크톤에 대해 대형 종보다 소형 종이 더 많이 번식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연구팀은 "이는 바다 저층으로부터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필요한 중요 영양염 공급이 감소했기 때문인데, 이런 환경 조건에서는 작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이 큰 식물플랑크톤에 비해 유리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로 인해 식물플랑크톤을 먹고 사는 동물플랑크톤의 크기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결국 오징어가 양질의 동물플랑크톤을 찾아 여름에는 서해로, 겨울에는 남해로 이동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오징어 서식지 적합지수 산출 결과에서도 이런 모습을 보였다"면서 "여름철에 서해의 적합지수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겨울철에는 남해의 적합 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하구·연안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저명 학술지 '하구와 연안'(Estuaries and Coasts) 5월호에 게재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오현태 기자 highfive@kbs.co.kr
오현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