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명이 58명 감염…방역수칙 무시, 혹독한 대가 치러
입력 2020.09.08 (21:54)
수정 2020.09.08 (21: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선 무엇보다 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하죠.
광주광역시의 한 대형교회 집단감염 사례는, 이런 수칙을 무시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도에 최송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천여 명의 신도가 다니는 광주광역시의 한 대형교회입니다.
지난달 24일, 이 교회를 다니는 여성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역학조사 결과, 이 확진자는 서울도심집회에 참여한 뒤 확진판정을 받기 전까지 3차례나 예배에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때문에 신도 671명이 진단검사를 받았고, 현재까지 감염된 신도만 58명에 달합니다.
광주광역시의 지역감염 사례 가운데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겁니다.
확진자 한 명을 통해 대규모 집단감염이 이뤄진 이유는 뭘까.
방역당국은 방역수칙 미준수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확진 신도 58명 가운데 33명이 성가대원인데, 이들이 지하에서 마스크도 쓰지 않은 채 합창은 물론 식사까지 한 사실이 역학조사에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결국, 성가대원 2명 가운데 1명 꼴로 코로나19에 감염됐습니다.
[박향/광주광역시 복지건강국장 : "지하에서 성가 연습을 했고 식사도 함께 했습니다. 그걸로 인해 확진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최근 들어 자가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는 신도들도 잇따르면서 확진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큰 상황입니다.
대형교회의 대규모 집단감염 사례는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무시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송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선 무엇보다 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하죠.
광주광역시의 한 대형교회 집단감염 사례는, 이런 수칙을 무시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도에 최송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천여 명의 신도가 다니는 광주광역시의 한 대형교회입니다.
지난달 24일, 이 교회를 다니는 여성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역학조사 결과, 이 확진자는 서울도심집회에 참여한 뒤 확진판정을 받기 전까지 3차례나 예배에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때문에 신도 671명이 진단검사를 받았고, 현재까지 감염된 신도만 58명에 달합니다.
광주광역시의 지역감염 사례 가운데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겁니다.
확진자 한 명을 통해 대규모 집단감염이 이뤄진 이유는 뭘까.
방역당국은 방역수칙 미준수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확진 신도 58명 가운데 33명이 성가대원인데, 이들이 지하에서 마스크도 쓰지 않은 채 합창은 물론 식사까지 한 사실이 역학조사에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결국, 성가대원 2명 가운데 1명 꼴로 코로나19에 감염됐습니다.
[박향/광주광역시 복지건강국장 : "지하에서 성가 연습을 했고 식사도 함께 했습니다. 그걸로 인해 확진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최근 들어 자가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는 신도들도 잇따르면서 확진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큰 상황입니다.
대형교회의 대규모 집단감염 사례는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무시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송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1명이 58명 감염…방역수칙 무시, 혹독한 대가 치러
-
- 입력 2020-09-08 21:54:13
- 수정2020-09-08 21:56:23

[앵커]
전파력이 높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해선 무엇보다 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하죠.
광주광역시의 한 대형교회 집단감염 사례는, 이런 수칙을 무시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걸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도에 최송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천여 명의 신도가 다니는 광주광역시의 한 대형교회입니다.
지난달 24일, 이 교회를 다니는 여성이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역학조사 결과, 이 확진자는 서울도심집회에 참여한 뒤 확진판정을 받기 전까지 3차례나 예배에 참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때문에 신도 671명이 진단검사를 받았고, 현재까지 감염된 신도만 58명에 달합니다.
광주광역시의 지역감염 사례 가운데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발생한 겁니다.
확진자 한 명을 통해 대규모 집단감염이 이뤄진 이유는 뭘까.
방역당국은 방역수칙 미준수를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확진 신도 58명 가운데 33명이 성가대원인데, 이들이 지하에서 마스크도 쓰지 않은 채 합창은 물론 식사까지 한 사실이 역학조사에서 드러났기 때문입니다.
결국, 성가대원 2명 가운데 1명 꼴로 코로나19에 감염됐습니다.
[박향/광주광역시 복지건강국장 : "지하에서 성가 연습을 했고 식사도 함께 했습니다. 그걸로 인해 확진된 사람들이 많습니다."]
최근 들어 자가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는 신도들도 잇따르면서 확진자가 더 늘어날 가능성도 큰 상황입니다.
대형교회의 대규모 집단감염 사례는 기본적인 방역수칙을 무시하면 혹독한 대가를 치를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최송현입니다.
촬영기자:김강용
-
-
최송현 기자 ssong@kbs.co.kr
최송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