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코로나19 유전자형 유행해 ‘재감염’ 가능하다고 판단”
입력 2020.09.21 (15:33)
수정 2020.09.21 (15: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완치됐어도, 재감염이 가능하다고 방역당국이 밝혔습니다. 재감염이 가능한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킬 수 있고 평생 면역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늘(2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3월 코로나19에 확진됐던 20대 여성이 4월 초 다시 확진된 사례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이 여성의 사례를 재감염 사례로 확정지어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여성은 격리해제되고 6~7일 만에 다시 증상이 생겨 격리 입원을 한 상황으로 굉장히 짧은 기간에 재입원했기 때문에 항체가 충분히 형성이 안 됐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례가 주는 함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겠다라는 의미이며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에는 재감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늘(2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3월 코로나19에 확진됐던 20대 여성이 4월 초 다시 확진된 사례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이 여성의 사례를 재감염 사례로 확정지어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여성은 격리해제되고 6~7일 만에 다시 증상이 생겨 격리 입원을 한 상황으로 굉장히 짧은 기간에 재입원했기 때문에 항체가 충분히 형성이 안 됐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례가 주는 함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겠다라는 의미이며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에는 재감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러 코로나19 유전자형 유행해 ‘재감염’ 가능하다고 판단”
-
- 입력 2020-09-21 15:33:33
- 수정2020-09-21 15:40:12

코로나19에 감염됐다 완치됐어도, 재감염이 가능하다고 방역당국이 밝혔습니다. 재감염이 가능한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킬 수 있고 평생 면역 유지가 되지 않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늘(2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3월 코로나19에 확진됐던 20대 여성이 4월 초 다시 확진된 사례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이 여성의 사례를 재감염 사례로 확정지어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여성은 격리해제되고 6~7일 만에 다시 증상이 생겨 격리 입원을 한 상황으로 굉장히 짧은 기간에 재입원했기 때문에 항체가 충분히 형성이 안 됐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례가 주는 함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겠다라는 의미이며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에는 재감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오늘(2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올해 3월 코로나19에 확진됐던 20대 여성이 4월 초 다시 확진된 사례와 관련해 이같이 설명했습니다.
정 본부장은 “이 여성의 사례를 재감염 사례로 확정지어 말씀드리기는 어렵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 여성은 격리해제되고 6~7일 만에 다시 증상이 생겨 격리 입원을 한 상황으로 굉장히 짧은 기간에 재입원했기 때문에 항체가 충분히 형성이 안 됐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례가 주는 함의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플루엔자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겠다라는 의미이며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에는 재감염이 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이효연 기자 belle@kbs.co.kr
이효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코로나19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